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다이어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다이어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당근 거래 하려고 왔는데 판매자가 집에 숨어있음 ㅇㅇ
- '미성년자 성범죄' 서준원, 부정선수 신분 야구장 출입 논란 ㅇㅇ
- 마그네슘을 먹었더니 악몽을 꾼다 ㅇㅇ
- 트럼프의 금리 인하 요구는 취임 직후 채권 대량 구매 때문?! 시마시마
- 여자어 썻다가 서운해짐 디씨망령
- 싱글벙글 여초에서 아무리 귀칼 욕해도 안 와닿는 이유 ㅇㅇ
- 화들짝... 탈영하는 병사 속출에 분노하는 시민들 ㅇㅇ
- 안웅기 돌았나 페이커 내려치는 거 보소 차라의숲
- 싱글벙글 군자의 복수는 2년이 걸려도 늦지 않는다 굴르
- 오늘자 새벽 홍대 메가커피 대박사건 .jpg 딸배
- 8월 22일 시황 우졍잉
- '무엇이든 물어보살' 직접 기획한 서장훈 ㅇㅇ
- 변사 현장 금목걸이 사라져... 경찰관 5명 조사 ㅇㅇ
- 낭만낭만 그리운 10여년전 리모델링전 코엑스몰 모습들 수인갤러리
- 싱글벙글 양웹에서 논란되는 한국 성형짤 추종자0
집밥 해 먹으래서 봤더니 "가격이…" 말도 안 나와.jpg
금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22일)도 경제부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 준비한 얘기는 뭔가요?물가 얘기인데요. 7월 생산자 물가지수가 120.2로 전달보다 0.4% 높아졌습니다. 반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일단 생산자 물가가 뭔지 설명을 좀 드리면, 국내 생산자가 내수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말하는데요. 2020년 수치를 기준으로 100으로 환산해서 비교를 합니다.최근 추세를 살피기 위해서 주 지표로 전월 대비 수치를 보고 있고요.보조 지표로 전년 동월 대비 수치를 사용합니다.그래서 주 지표인 생산자 물가의 전월 대비 상승률을 좀 보면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까지 오르다가, 2월과 3월에는 0%로 보합세를 기록했고요.이후 4월과 6월 하락했다가 6월부터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건데요.그런데 이 생산자물가를 눈여겨봐야 하는 게, 보통 한 달에서 석 달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반영이 되기 때문인데요.그런데 이 생산자물가가 올해 1월 이후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6월과 7월 두 달 연속 오름세입니다.또, 아까 보조 지표라고 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봐도 0.5%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걸로 봐서 앞으로 소비자물가에 얼마나 반영이 될지 우려가 되는 상황인데요.한마디로 정리하면 앞으로 물가는 더 오른다는 겁니다.채소가 특히 많이 오른 모양인데 시금치는 한 달 만에 거의 3배 가까이 올랐네요.특히 잎채소들이 직격탄을 맞았는데요.시금치는 전월 대비 171.6% 올랐고, 배추 같은 경우는 전월 대비 51.7% 올랐습니다.더위와 폭우에 밭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 공급이 줄면서 가격이 폭등했습니다.농림수산품 전체로 봤을 때 전월 대비 5.6% 올랐는데요. 그중 농산물이 8.9% 올랐고요.폭염과 폭우에는 동물들도 힘들잖아요.생육 부진과 폐사가 늘었고, 또 여름 휴가철 수요가 늘어난 것까지 겹쳐서 쇠고기가 6.5%, 돼지고기가 4.2% 뛰면서 축산물도 3.8% 올랐습니다.지금 다 나오는 게 생산자물가잖아요.앞으로 소비자물가에 착착 반영이 되면 밥상 물가 부담은 더 커질 걸로 보입니다.이 밖에도 공산품이나 서비스도 전월보다 각각 0.2%, 0.4%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또 참고로 생산자물가와 수입 물가지수를 합해서 산출하는 7월 국내 공급 물가는 더 올랐는데요.전월 대비 0.8% 올라서 넉 달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수입 물가와 환율, 또 유가상승 때문인데요.원재료와 중간재, 최종재가 모두 올랐습니다. 생선도 많이 올랐나 보죠?식탁에 자주 올라오는 게 고등어구이와 고등어조림, 이런 건데 귀해졌습니다.7월 냉장 고등어 한 마리가 4천380원인데요. 1년 전보다 28.4%나 뛰었습니다.냉장뿐 아니라 냉동 고등어 가격도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고등어 가격이 이렇게 뛴 이유, 바로 국내에서 소비되는 중·대형어 생산이 줄어서 그런데요.이 또한 폭염 때문인 걸로 추정이 되는데, 고수온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하고 어군이 분산된 것으로 분석됩니다.또 밥상에 많이 올라오는 생선은 갈치죠.냉장 갈치 가격이 한 마리에 6천383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6.5% 높고요.냉동 갈치 가격은 한 마리에 5천700원이 넘어 지난해보다 38.9% 높았습니다.참조기도 지난달 금어기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고 대형 소매점 할인율이 떨어지면서 가격이 높게 책정됐는데요.한 마리 가격이 2천143원으로 작년보다 30.1% 올랐습니다.정부는 고등어 같은 대중성 어종의 비축 수산물 1천100톤을 방출했고요.수입산 고등어 1만 톤에 한정된 기간에만 낮은 세율을 매기는 할당 관세를 도입해서 공급을 늘리고 있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