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방탄소년단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방탄소년단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한국 사회에 대한 설문조사.jpg ㅇㅇ
- 양궁협회 ‘극우 SNS’ 징계 검토…“엄중하게 사태 파악” 여론조사공정
- 감독이 인도 유학파 출신이면 생기는 일 ㅇㅇ
- 흉기차 노조 근황ㅋㅋㅋㅋㅋ ㅇㅇ
- 싱글벙글 레고로 만든 스타 유닛들 ㅇㅇ
- 이재명 옆자리에서 영화 관람한 조진웅 행적...jpg 어깨왕
- 싱글벙글 일본 직장내 이지메 클라스 로갓노
- ㅓㅜㅑ 오뎅 한개에 삼천원..깜짝...jpg 티롱씨4
- 싱글벙글 현장 모른다고 까인 건축교수 ㅇㅇ
- GTA 온라인보다 핵으로 더 곱창난 레데리 온라인 근황 ㅇㅇ
- 커리어 손해로 괴로워하는 아내(블라) 긷갤러
- 2030 돈 없으면 애 안 낳는다 나봉쟝
- BIC 2일차 후기(완) 실 성
- 필름 한 롤 닭둘기*
- 요즘 엄청 달달하다는 유명 뮤지션들 저작권 판매 부갤러
대출? 받아도 안 되는데요…"너도? 나도 없어" 1천만 육박.jpg
월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경제부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자기가 사는 집이 전월세로 사는 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요?2023년 전국 무주택가구가 961만 8천 가구가 넘는데요, 전년보다 약 7만 7천 가구가 늘었습니다.전체가구의 43.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일단 무주택 가구가 뭔지, 정확한 개념부터 설명을 드리겠습니다.가구원 중에 단 한 명도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가구를 뜻하는데요.자기 집이 없어 전세나 월세를 살고 있는 가구라는 뜻입니다.내집 마련의 꿈은 점점 멀어지고 있는 모습인데요.무주택 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2020년에 처음 900만 가구를 넘어선 뒤에 2년 만에 950만 가구를 넘어섰는데요.집값이 너무 뛰고 있는 데다가, 청년층과 고령층에서 저소득 1인 가구가 늘어난 점도 주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지역별로 보면, 가장 많이 무주택 가구가 몰려 있는 곳은 수도권인데요.서울, 경기, 인천이 506만 가구가 넘어서 전체의 절반이 넘었고요.경기지역이 238만 3천 가구가 육박해 17개 시도 중 가장 많았고, 서울이 214만 3천 가구가 넘어 그 뒤를 이었습니다.수도권 인구가 많으니까, 무주택 가구 수도 많겠죠. 근데 무주택 가구의 비율도 수도권이 높아요.네, 그렇습니다.서울 무주택 가구는 서울지역 전체의 51.7%를 차지했는데요, 서울 절반이 넘게 내 집이 없다는 뜻입니다.17개 시도 중 무주택 가구 비율이 50%를 넘는 곳은 서울이 유일합니다.그 외 나머지 16개 시도는 무주택 가구 비율은 다 50%를 밑돌고 있습니다.증가세로 봐도 서울이 단연 눈에 띕니다.2021년 51.2%였던 서울 무주택가구 비율은 2022년 51.4%를 기록한 뒤 2023년 2년째 올랐습니다.이렇게 상승세를 보이는건 서울이 유일한데요, 전국 시도 중 2년 연속 나홀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겁니다.전년과 비교해 2023년 무주택 가구 비율이 상승한 곳은 울산과 강원도 2곳이었고 나머지는 보합 또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서울에 유독 무주택 가구 비중이 높은 이유는 뭔가요?특히, 강남 노른자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집값이 떨어지지 않고 있죠.사람이 몰리고, 집값은 올라가고 내집 마련이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겁니다.2023년 1월 이후 올해 4월까지 서울지역의 주택매매가는 16.1% 상승했는데요.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 주택매매 가격은 1.7% 떨어졌습니다.좀 더 기간을 늘려서 보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약 20년동안 서울 지역의 집값 상승률은 400% 넘게 뛰었는데, 당연히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이렇게 집값이 뛰는 이유, 바로 투자열기 때문인데요.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주택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상위 1천 명이 사들인 주택이 4만 4천 건이 넘는데, 1인당 무려 44채를 사들였다는 계산이 나옵니다.내 집 마련의 벽이 높아지는 또 다른 이유, 부동산 투기 열기로 집값은 고공행진하는데, 반면 가구 소득과 자산은 천천히 늘어서 그렇습니다.주택구입물량지수라는 게 있는데요.중위소득 가구가 보유한 순자산과 소득을 기준으로 대출을 끼고라도 살 수 있는 아파트 수 비율을 뜻하는데, 2012년 32.5였던게, 2022년 3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10년 만에 10분의 1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는 건데, 다시 말해 중위소득 가구가 살 수 있는 가격 범위의 주택이 2012년엔 서울 주택 3채 중 1채에서 10년 만에 100채 중 3채로 급감했다는 뜻이 됩니다.지금 이게 2023년 기준으로 낸 자료잖아요?그럼 서울 집값이 강세를 보인 작년과 올해에도 서울에서 무주택 가구가 더 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서울에 집이 없는 것뿐만 아니고요, 서울의 높은 집값은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도 이어지고 있죠.높은 집값과 고강도 대출규제로 내집 마련 계획을 미룬 서민들이 높은 주거비 부담까지 짊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