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한국의 파시스트 - ‘이대남’의 탄생과 파괴적 행보 ㅇㅇ
- 방송에서 영어를 할수 없다는 딘딘.jpg 뽀까칩
- 아름답다고 평가받는 일본의 전통 춤..gif 이시라
- 9/11 날루수완 마지막 따이빙..후기 여긴잠수시티
- 싱글벙글 좌빨의 좋은 점 말하기 대회...jpg 아우스레제
- 구 소비에트 연방국가 지역의 특이한 버스정류장들 흐리스토보테프
- 성형 100회 중국여자...JPG ㅇㅇ
- 특실만 존재하던 새마을호 ㅇㅇ
- 아빠가 프랑스어 밖에 못해서 국제결혼이 고민인 프랑스녀.ㄷ 너구리
- 싱글벙글 한국이름 만들고 싶어서 철학관에 의뢰한 파브리.jpg 수인갤러리
- 강릉에 밤새 비 100mm 왔대 타락천사
- 폴란드 "러시아는 하룻밤에 20번이나 실수하냐?"...트럼프 발언에 반박 NMH-523
- 해군일기 육상편7 - 초임하사편 공노비96
- 띠용띠용 점점 파묘되는 찰리 커크 암살범의 과거 시절들 ㅇㅇ
- 이젠 연애말고 결혼하고싶어 디씨망령
베트남전쟁에서의 미군 저격소총들
(맨 위는 M70이고 가운데가 M1C, 맨 아래는 M40)먼저 M1C와 M1D 저격소총.한국전쟁 이후 한동안 저격수의 존재가 필요 없어졌던 미 육군과 미 해병대 모두 사단 편제에서 '저격수'라는 직책은 빠진 지 오래였고 베트콩, 북베트남군 저격수에 제대로 당한 다음 부랴부랴 가용한 저격소총을 찾았을 때, 1965년 기준 존재했던 유일한 저격총이었던.그나마 해병대는 66년에 M70, M40을 도입했다만 육군의 경우 XM21이 채택된 것이 1969년이었기에 미 육군은 베트남전에서 지상전이 가장 치열했던 기간 내내 '저격소총'으로 명시된 화기는 이 M1C/D가 유일했을 만큼 나름 존재감이 컸던 무기.2.2배율의 한계로 본격적으로 육군과 해병대가 저격팀을 운용한 시점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았지만 해병대 정찰저격수들의 초기 사진에서 M70 사이에 가끔 섞여있는 모습을 보면 근거리 저격용으로는 수요가 조금 남아있었던 것 가타요.공식적으로 저격총은 아니었지만 임시방편으로 사용된 M14/M16의 현지개조 저격총들.앞에서 말했지만 미 육군이 XM21을 채용한 건 생각보다 한참 뒤인 1969년이고 그 전까지 M1C/D로만 버텨야했던 육군, M70/M40이 있다고는 해도 정찰저격소대가 다 가져가버렸기에 즉각 저격이 가능한 저격총은 부족했던 해병대는 알아서 M14, M16을 저격총으로 개조한.해병대의 분대지원화기용 M14A1까지도 잘 맞는 총이라 예외없이 M1C/D의 M84 스코프, 개머리판 덮개 등의 부속품을 가져와 개조했고 정찰저격수들에게 요구되는 명중률은 당연히 충족하지 못했으나 일반적인 소총 유효사거리, DMR로는 없는 것보다는 훨씬 나았다고.M16의 경우에는 간편하게 캐링핸들에 장착이 가능한 콜트 3배율 스코프가 있었지만 의외로 이건 정식 보급품이 아니었던 만큼 야전에서 즉시 구하기 어려웠던지라 캐링핸들을 잘라내고 M84 스코프를 달기도 해따.엄밀히 말하자면 '저격소총'은 아니지만 소총수들을 위한 스코프 달린 소총 정도로 생각하면 되는...요건 미 해병대의 상징적인 M70 저격소총.이미 2차 세계대전에 미 해병대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소총 중 가장 정확한 소총'이라는 평가와 함께 M70을 소수 시험 목적으로 도입했으나 이미 M1903 계열 저격총이 자리를 잡은 상황에서 추가 구매의 메리트가 없다는 의견 하에 기각된 바 있었음.결국 전쟁 맛은 거의 보지 못했지만 2머전 종전 뒤로도 소량이 구매되어 사격 경기용으로 활용되던 M70은 베트남전 발발 이후 가용한 저격소총이 M1C/D밖에 없는 상황에서 신형 저격소총 도입 이전까지 소방수 역할을 위해 전선으로 보내져따.대부분 4배율 이하의 스코프를 사용하던 2머전 시점에서 이미 8배율을 제공한 M1903A1용 유너틀 스코프가 기본적으로 장착된데다가 총기 자체의 명중률도 훌룡해서 베트남전 초기 미 해병대 정찰저격수의 주력으로 널리 활약.총 자체는 나무랄 데가 없었지만 아무래도 소수가 배치되었을 뿐인 민간 총이라 유지보수 측면에서 새로 도입된 M40에 비해 불리했기에 점차 대체되었음.대망의 M40.3-9x 가변 배율 스코프가 기본적으로 장착된 당대 최고의 정밀도를 자랑하는 저격소총으로 레티클 하단의 눈금을 통해 600m까지 배율과 탄 낙차를 보정해 사격할 수 있어씀.1966년부터 대량 도입되어 미 해병대 정찰저격수들의 표준 저격소총으로 빠르게 자리 잡았구 ㅈ격질 싫어하는 보닌이 쌀폭풍2에서 유일하게 자주 쓰는 저격소총.탄낙차도 원래 거의 없는데 그냥 9배율 땡겨버리면 사실상 그런 거 계산 없이 쏴도 조준한 곳에 정확히 꽂히기 때문에 가만히 있는 사람 쏠 때는 이것 만한 총이 없는.탄속이 빨라서 움직이는 사람 쏘는 것도 어렵지 않은지라 리드샷은 연습하면 쉽게쉽게 가능.마지막으로 대망의 XM21.해병대를 상징하는 저격소총이 M40이라면 육군을 상징하는 저격소총은 바로 이 놈인데 사실 이게 채택된 시점은 벳남전의 주요 지상전이 다 끝난 뒤였음.사실 해병대도 적잖은 숫자를 가져가서 사용했는데 벳남전 후반에는 M40보다는 요 XM21을 사용하는 사진도 꽤 많이 보이는.뭣보다 전용 소음기+아음속탄을 사용한 소음 저격총이라는 가치를 생각해보면 M40 만큼이나 당대 저격기술을 선도했던 저격소총이다...이 저격소총에 기본적으로 사용된 스코프는 레더우드 ART 스코프라는 물건으로 M40에 장착된 것과 유사한 3~9배율 가변배율이지만 레티클 중앙의 십자선을 통해 표적의 크기에 맞게 배율을 맞추면 자동으로 탄낙차가 보정되는 원리가 들어가있음.이게 쌀폭풍2에는 가까운 거리를 고배율로 쏘고 싶어서 배율을 올리면 영점 거리가 600m로 고정되서 쏘기 어려워지는 병신같은 기능이지만 실전에서는 더 빠르게 저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인데스.해병대에서도 모셔감+소음 저격 가능+당대 기준으로 나름 혁신적인 조준경까지 3박자가 갖춰진 소총이지만 사실 베트남에서는 습도 때문에 목제 부품이 쉽게 상해 명중률 하락과 직결되는 마운트와 총몸 사이 유격이 빈번했어서 명중률 자체는 요즘 나오는 그런 전문적인 저격소총 생각하면 안됨.물론 베트남 기후가 씹창이었던거지 정작 미 육군은 이후 M21 정식채용해서 M24 도입 전까지 DMR이 아닌 '저격소총'으로 오래 사용했음을 감안하면 베트남이 아니고서야 명중률은 제법 확보가 되었던 것으로 보임.그냥 정리해봤웡
작성자 : Berkut고정닉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만든 일본제국 영화..gif
https://www.youtube.com/watch?v=QAdWPcUYgwY<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2006)> 태평양 전쟁의 격전지인 이오지마 전투 당시 이오지마 주둔 일본군 사령관 중장 쿠리바야시 다다미치가 집으로 보낸 편지와 가족의 이야기 등을 묶은 책과, 이를 기반으로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영화 아버지의 깃발과 함께 만든 영화. 영화의 주된 내용은 이오지마 전투에 임했던 일본군의 시선에서 전투 및 그에 관련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이다.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메가폰을 잡고 세계적인 배우 와타나베 켄과 아라시의 니노미야 카즈나리가 주연을 맡은 이 작품은 이오지마 섬의 화산재 뒤덮인 지형을 담은 황토빛 영상미가 무척 아름다우며 훌륭한 카메라 워크와 편집을 거친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영화 내에 흐르는 배경음악이 매우 뛰어나다. 제79회 아카데미 시상식 음향편집상 수상작 /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후보작이다. 서구권에서 미군의 시선으로 만든 아버지의 깃발보다 더 높게 평가받는다. 이 영화엔 실존인물 2명이 나오는데 니시 타케이치 중령 일본제국 제26전차연대 지휘관이자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승마 장애물경주 금메달리스트. 니시는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이후 당시 미국 사교계에서 유명인이 되어 '니시 남작(Baron Nishi, バロン西 (バロン・ニシ))'이라는 별명까지 생겼다. 미군은 올림픽의 전설적 영웅인 '바론 니시'가 일본군의 전차 연대장이라는 사실을 알고 "바론 니시, 항복하시오. 우리는 당신을 잃고 싶지 않소"라고 연일 일본어로 투항을 권유하는 방송을 되풀이했으나 니시는 끝까지 여기에 응답하지 않고 죽음을 택했다. 영화 제작자이자 이오지마 전투 당시 미국 제315폭격비행단 소속이었던 시드니 바틀릿은 1966년 도쿄를 방문해 니시가 잠들어있는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구리바야시 다다미치 중장 구리바야시 다다미치는 미국에서도 명장으로 평가받는데 지하터널을 이용한 게릴라로 철저한 지연전을 펼치면서 압도적인 물량과 화력을 가진 미군에 엄청난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당시 미해병대 사령관이자 상륙전의 아버지로 평가받는 홀랜드 스미스 대장은 구리바야시를 이렇게 평가했다. “태평양에서 우리가 만난 적을 통틀어 구리바야시는 가장 무서운 적수였다." 전쟁이 끝나고, 80년이 지난 현재까지 일본과 미국의 전투 생존자 그리고 후손들은 화해와 상호 이해의 정신으로 꾸준하게 만남을 가져왔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leeloo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