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광주/전라지역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광주/전라지역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강릉시장 "이해력 딸려 대통령 말씀 이해 못해".mbc ㅇㅇ
- '흑백요리사2', 12월 공개 확정… ㅇㅇ
- '노무현조롱'이 놀이가된 교실 교사들“민원 무서워 아무말 안해요" 관심종자
- [주말의냐] 민둥산 조약이
- 어린 팬 모자 강탈한 CEO 공식 사과 ㅇㅇ
- 옆부서 막내가 퇴사하는 이유 이해간다 vs 안간다 묘냥이
- 영화 제작 지원 사업 슈킹 때리는 방법 ㅇㅇ
- 여성차별 빼액!! 나거한 여탕 사건 떴다.news ㅇㅇ
- 약종원이라 불리는 여에스더 알아보자 ㅇㅇ
- 실베 간 안 씻는 메벤남 근황 ㅇㅇ
- 공자가 우리나라 사람이 아닌 이유 ㅇㅇ
- 최교진, 청문회 내내 도게자 이회창
- 90년대생의 집을 찾습니다 ≪청년 기획 – 고장 난 사다리≫ㄷ 너구리
- '더 센' 상법 개정안·노란봉투법 국무회의 의결 후니훈훈
- 분노분노 예식장 레전드 ㅇㅇ
윤정수, 12살 연하 아내는 '광저우 여신' 원자현
방송인 윤정수의 아내가 스포츠 전문 리포터 출신 원자현이었다.윤정수는 지난달 한 방송에서 12살 연하의 필라테스 강사와 올해 결혼할 계획이라고 밝혀 화제를 모았다. 이후 유튜브 채널을 통해 최근 혼인신고를 마치고 법적 부부가 됐음을 직접 알렸으며, 결혼식은 오는 11월 말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에서 올릴 예정이다.YTN star 취재 결과, 윤정수의 아내는 프리랜서 방송인 원자현으로 확인됐다. 원자현은 KBS 리포터, 웨더뉴스 글로벌 웨더자키, 교통캐스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2010년 MBC 스포츠 전문 리포터로 활약하며 광저우 아시안게임 당시 '광저우의 여신'으로 불리며 주목받았다.또한 MBC '스포츠 하이라이트', XTM '남자공감 랭크쇼 M16', 손바닥TV '원자현의 모닝쇼', 더 엠 '원자현의 분데스리가 쇼' 등 여러 프로그램의 MC를 맡아 안정적인 진행 실력을 인정받았다.또한 피트니스 모델로 전향해 2015년 머슬마니아 피트니스 세계대회 선발전에서 모델 여자 숏 부문과 미즈 비키니 종목에서 각각 2위를 차지했다. 2017년부터는 필라테스 강사로 활동하며 새로운 커리어를 이어오고 있다.윤정수는 방송을 통해 "아내와는 10여 년 전부터 알던 동생 사이였고, 4~5개월 전부터 급속도로 가까워졌다"고 소개했다. 두 사람은 TV조선 예능 프로그램 '조선의 사랑꾼' 출연을 확정했으며, 러브스토리의 자세한 내용은 방송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53살 윤정수 41살 원자현 결혼 발표- 감동감동... 원자현 아나운서랑 결혼하는 정수햄 일화윤정수 방송인이 광저우 아시안게임 진행으로 큰 인기를 끈 원자현 아나운서(지금은 필라테스 강사)와 결혼을 한다.그런 정수햄에게 정말 감동적인 일화가 있다.후배의 사업에 빚보증을 잘못서서 무려 30억이 넘는 빚을 진 정수햄결국 청담동 집까지 처분해야했는데...(그 집이 지금은 반포 원베일리라고 한다.부동산이 많이 올라 지금은 평당 2억원이라고... 예능 나와서 집을 지켰어야 한다고 굉장히 후회했다)그럼에도 다 갚지 못해 결국 파산을 신청했다.파산하면 빚은 안갚아도 되는데..그럼에도 도의적으로 다 갚아야 한다며결국 빚을 다갚아 많은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이제는 새 사랑과 행복만 가득한 삶을 살기를...
작성자 : 긷갤러고정닉
"라면도 부담스러워"…국민 괴롭히는 '먹거리 물가'...jpg
화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2일)도 경제부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가구별로 먹는데 쓰는 돈을 많이 줄였다는 통계가 나왔다면서요?올해 2분기 기준으로 가구 먹거리 소비가 9년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습니다.순수하게 2분기 가구별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에 지출한 돈, 그러니까 이 명목 소비지출은 42만 3천 원인데요.1년 전보다 1.8% 늘었습니다. 하지만 이 명목 소비지출은 물가 상승분을 포함한 거거든요.1년 전보다 물가가 엄청나게 올랐죠.물가 상승분을 제외하고 봐야, 얼마나 소비가 줄었는지 알 수 있겠죠.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은 34만 1천 원으로 전년 대비 1% 줄었습니다.먹거리 지출액 자체는 늘었지만 실제 소비 규모는 줄었다는 뜻입니다.2분기만 봤을 때 식료품, 음료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9%에 달했습니다.이렇게 실질 지출만 뽑아서 보니까, 2023년 4분기부터 네 개 분기 연속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4분기 1.8% 늘면서 반등을 딱 한 번 했습니다.하지만 올해 1분기부터 0.4%로 다시 쪼그라들더니, 2분기에는 마이너스로 전환된 겁니다.아까 실질 지출액이 34만 1천 원이라고 했잖아요.같은 기준으로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최저치고요.그 이전까지 기간을 늘리면 9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먹거리 물가가 오른 걸 감안해도 지출을 줄였다는 건데 이유가 뭔가요?아무래도 고물가에 지갑을 닫았겠죠.먹거리 고물가 왜 그런가 봤더니 폭염, 폭우 이상 기후가 있었을 거고요.또 가공식품이 가격이 줄줄이 인상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난해 기억하실 텐데요. 지금 그래프 보시면 작년 연말에 원 달러 환율이 아주 가파르게 올라가는 게 보이시죠.환율이 아주 크게 올랐습니다.그러면서 우리가 수입하는 원자재에 반영이 되면서 식품 기업들이 출고가를 줄줄이 올렸고요.또 올해 상반기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이어지면서 여기저기 가격 올리는 데가 많았죠.결국 이런 영향으로 밥상에 올라오는 식자재가 다 올랐고, 소비자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겁니다.먹거리 물가가 서민들 힘들게 한다는 얘기는 어제오늘 얘기가 아닌데요.그동안 5년 넘게 전체 물가를 훨씬 웃돌고 있습니다.이렇게 물가 상승분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올해 2분기 식료품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125.33까지 올랐는데요.전체 물가지수 116.32를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이건 정부가 시행하는 새로운 정책인가 보네요?지난달 29일에 발표한 예산안에는 밥값 지원 사업이 포함돼 있는데요.인구 감소 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월 4만 원 상당의 식비가 지급된다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직장인 든든한 한 끼'라는 이름의 이 시범 사업인데요.총 79억 원이 들어가고요. 근로자 5만 3천 명에게 지원이 됩니다.사업은 크게 '천 원의 아침밥'과 '든든한 점심밥' 두 종류로 나눠볼 수가 있겠는데요.'천 원의 아침밥'은 백반이나 덮밥같이 쌀을 활용한 식사나 김밥 같은 간편식을 한 끼당 1천 원에 제공하는 겁니다.예를 들어, 단가가 5천 원이라면 정부가 2천 원, 지자체와 기업이 각각 1천 원씩을 지원해서 직장인은 단돈 1천 원만 내면 되는 겁니다.'든든한 점심밥' 사업은 근로지 내에서 외식할 때 점심시간, 그러니까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결제한 금액의 20%를 월 4만 원 한도로 지원해 줄 예정입니다.또 이미 대학생을 상대로 지원됐던 '천 원의 아침밥'은 다들 잘 아시죠.내년 예산을 111억 원을 잡아서 지원 학교를 39개 늘려서 240개로, 대상자는 90만 명을 늘려서 540만 명으로 확대했습니다.신규로 시행되는 사업도 있는데요.초등학교 1, 2학년 늘봄 학교 대상으로 예산 169억 원을 들여서 주 1회 과일 간식을 지급하게 됩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