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저번에 교육학논술 봐달라고 올린 학생인데 이렇게 쓰면 두괄식인가요

dd(27.35) 2017.09.28 17:31:53
조회 646 추천 0 댓글 5

1년동안 ㅈㅌㄹ식으로 공부해서 자꾸 ㅈㅌㄹ 핵심톡톡 외운대로 쓰고 교육학 예제문제 모범답안 외웠던거 형식대로 끌여가게되네요ㅠㅠㅠㅠ이렇게 쓰면 안된다고 하는데 이래쓰면 교육학 8점도 못받는다고 주위에서 그러네여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적응하고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로 학생들을 성장시켜야한다. 이를 위해서 교육과정, 교육전략, 평가 등의 변화를 통해 학생의 성장을 촉진하는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본글에서는 다양한 지식을 활용하여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과정활동과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식교육의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설계의 핵심적 원리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성장에 중점을 둔 평가의 유형과 그 장점과 문제점과 현재 교육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 학생들의 부족한 능력에 대해서 논할 것이다.

최교사가 강조하는 교육과정 활동은 교육과정 재구성활동이다.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다양한 교과 지식을 활용하여 교과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통합하여 새로운 교과를 구성하여 교육과정이 제시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이에 근거했을 때 교과서 중심 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식을 활용하여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최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은 교육과정 재구성활동이다. 이를 준비하기 위해 교사가 분석해야할 핵심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정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학교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단위학교의 여건에 맞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목표와 학습경험을 선정하도록 해야한다. 둘째,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한다. 학습자의 연령, 지식, 능력 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학습과제와 학습목표를 제시하여 학습의 효과와 효율을 높일 수 있어야한다. 셋째, 학교여건을 분석한다. 학부모, 학교의 인적물적 자원, 예산 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여 당해 학교에 적합한 활동을 하기 위함이다.

박교사가 언급한 지식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교수설계 핵심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적과제를 제시한다. 학습자에게 실제적 상황과 관련이 있는 과제를 제시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지식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협동학습이다. 실제적과제는 비구조화 되고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의사소통을 하며 협력을 한다면 실제 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역할은 안내자, 촉진자, 모델이다. 교사는 더 이상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도록 수업의 방향을 안내하고 시범을 보이며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도록 해야할 것이다.

민교사가 언급한 평가의 참조유형은 성장지향평가이다. 성장지향평가란 수업 이전에 평가를 실시하고 수업 후 학습자가 이전에 성취에 비해 얼마나 성장했는지 비교하여 더 많은 성장을 했을 시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평가의 참조유형이다. 이에 근거했을 때 학생 개개인의 지식에 대한 이해와 관점이 얼마나 향상되고 있는지 중시하는 민교사의 평가 참조유형은 성장지향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 평가 참조유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학습자는 경쟁상황이 아닌 자신의 성장을 위한 학습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개개인의 성장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자가 얼마나 성장했는지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개개인의 성장이 얼마나 이뤄졌는지 판단하여 개별적인 지도가 가능하다. 반면 성장지향평가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도가 저하된다. 평가의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조건이 제시되지 않고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신뢰되가 저하된다. 초기 평가에 비해 얼마나 성장했는지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고의로 초기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교사가 언급한 학생들에게 부족한 능력은 감성지능이다. 감성지능이란 자신이 느끼는 것이 무엇이며, 이를 표현하고 타인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이다. 이에 근거했을 때학생들에게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다른 사람과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한다고 언급한 능력은 감성지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의 핵심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다룰 수 있어야한다. 자신에게 감정이 생겼을 때 이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한다. 둘째, 타인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어야한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그들이 느끼는 감정을 이해하고 감정을 잘 이끌어서 그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한다. 셋째, 자신에게 동기를 부여해야한다. 목표를 성취하는데 필요한 감정을 만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자극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야한다.

학생의 성장을 촉진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중심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하며, 이를 위해 교사는 적절한 분석을 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지식 교육에서 지양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위해 실제적과제를 제시하고, 협동학습을 통해 서로 협력하며,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촉진자, 모델, 안내자의 역할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평가 참조유형을 활용하여 개개인의 이해와 관점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중요시해야하며,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학생들이 급변하는미래 사회에 적응하고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성장시켜야한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네이버페이 100% 증정 운영자 24/06/22 - -
2567 횽들 1차발표 [1] ㅇㅇ(223.38) 18.11.30 421 0
2566 선배님들 임용관련 질문드립니다 [4] ㅇㅇ(117.111) 18.11.30 609 0
2565 역사과 임용고시 후기 [4] 12345(125.143) 18.11.29 1787 5
2564 교육학은 걍 1,2월 강의 암거나 듣고 혼자해라 [3] 12345(125.143) 18.11.29 1320 0
2563 특수)설지민 특수교육학 가상계좌 환불해본사람 있어? ㅇㅇ(121.178) 18.11.29 152 0
2561 내년에 시험칠려는데 교육학 [2] 니니니니(123.98) 18.11.28 558 0
2560 쓴소리 할거니까 심기불편한애들은 걸러라 [5] TyrianPurp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28 1837 19
2559 교육학 3달 공부하고 [1] (211.229) 18.11.28 441 0
2558 이번 교육학 여기 갤럼들이 은근 잘 맞춘듯 [4] ㅇㅇ(223.62) 18.11.28 572 0
2557 작년 컷보다 5점 높으면 기대해도 될까요 [1] ㅇㅇ(39.7) 18.11.28 444 0
2556 국어 김치찌개 빌런 후기 아시는분 [2] ㅂㅂ(175.124) 18.11.27 741 1
2555 교육학 1년커리 vs 1.2 + 9.10 + 독학 [5] ㅇㅇ(1.238) 18.11.27 812 1
2554 교육학 몇점 나올까요?ㅜㅡㄴ [1] ㅇㅇ(221.157) 18.11.27 386 0
2552 교육학 서본결 주제 쓰면 5점? [1] ㅇㅇ(59.19) 18.11.26 499 0
2551 역사 쪽은 문제 유출 의혹있다던데? [2] ㅇㅇㅇ(175.199) 18.11.26 761 2
2550 오히려 5급 교육행정이 꿀일수있다 [5] ㅁㄴㅇ(112.184) 18.11.26 1210 0
2549 2차 스터디 때도 전력을 다해서함? [4] ㅇㅇ(223.39) 18.11.26 679 0
2546 수업시연도 과락 있어? [2] ㅇㅇ(211.209) 18.11.26 548 0
2544 평가도구 유의사항뭐써야되? ㅇㅇ(221.155) 18.11.26 136 0
2543 보통 1차 끝나고 바로 2차준비 ㄱㄱ임? [2] ㅇㅇ(223.39) 18.11.26 511 0
2541 내가 좀 부족했다고 인정하면 자존감이 팍 떨어져서 힘든가?? [9] ㅂㅈㄷㄱ(211.36) 18.11.26 454 0
2540 2차 면접이랑 수업 준비랑 시책 이렇게 하면 되나요?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26 664 0
2538 강사탓 개븅신들 맞는데?ㅋㅋ 인생 남한테 맡기고사냐? [9] ㅇㅇ(59.14) 18.11.26 495 3
2537 성님들 교육학 과락 넘길수 있을까요 [1] Dd(110.70) 18.11.26 364 0
2536 공고육붕괴? 안때려서야 ㅋㅋㅋ [12] ㅇㅇ(219.255) 18.11.26 351 2
2535 강사탓하지말라는게 잘못된거냐? [23] ㅂㅈㄷㄱ(211.36) 18.11.26 647 2
2533 올해 난이도 어떰?? [1] ㅇㅇ(61.83) 18.11.26 523 0
2531 교육학 몇점 봐야하지 [7] ㅇㅇ(175.223) 18.11.26 603 1
2528 교육학 칼채 13점이면 ㅇㅇ(220.124) 18.11.25 540 0
2527 시험 끝나니 너무 허무하다... [6] ㅇㅇ(110.47) 18.11.25 687 1
2526 교육학만점인듯 [1] ㅇㅇ(110.70) 18.11.25 618 1
2525 진짜 이번에 시험장 가서 느낀게 뭐냐면 [3] ㅇㅇ(124.5) 18.11.25 1778 8
2524 내년 공부 계획과 2차 공부 계획을 동시에 세우는중 [1] ㅇㅇ(39.7) 18.11.25 280 1
2523 좋은 일 있을거야 [3] 힘내자(14.48) 18.11.25 749 19
2522 질문! ㅇㅇ(183.105) 18.11.25 110 0
2521 2020 초수 교육학 [3] 5959(223.131) 18.11.25 951 0
2520 교육학 답 ㅇㄱㅂ(203.226) 18.11.25 293 0
2519 교육학은 1학년 입학전부터 공부하는데 맞는거같다 [2] ㅇㅇ(223.39) 18.11.25 520 0
2518 교육학 누구꺼 들어야 기본 개념부터 잡아주냐??? [4] ㅇㅇ(124.5) 18.11.25 861 0
2516 지구과학 개쉬웠는데 물화생지에서 너무 징징거리네 [1] ㅇㅇ(124.61) 18.11.25 480 0
2515 교육학 공부 하기싫어도 그냥 닥치고 외우는게 맞아 [14] ㅂㅈㄷㄱ(211.36) 18.11.25 2160 10
2514 국어 어땠냐 [1] ㅇㅇ(118.219) 18.11.25 424 1
2513 나진짜 너무 괴롭다 실수 [5] ㅇㅇ(223.62) 18.11.25 548 0
2512 과거부터 쭈욱 평타이상 쳤으면서 요번거도 맞춘 교육학선생 [4] ㅇㅈㅇ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25 756 0
2511 영어 어려웠냐 쉬웠냐 [3] ㅇㅈㅇ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25 447 0
2510 서울지역 체육 예상컷 몇점생각해? [2] fff(112.150) 18.11.25 528 0
2509 술 존나먹고왓다... [6] (39.7) 18.11.24 701 1
2508 리커트는 대체 어느 책에서 나오는 거임?? ㅇㅇ(39.7) 18.11.24 338 0
2507 변혁적지도성 2점가능한가유ㅠㅠ [2] ㅇㅇ(110.70) 18.11.24 585 0
2506 셤지언제올라와요? 떡갈비만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24 10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