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깊어지는 건설경기 침체에 수주액 '뚝'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2 18:28:58
조회 65 추천 0 댓글 0
														


고금리 장기화 기조 등의 영향으로 국내 건설경기의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다.ⓒ연합뉴스


[서울=서울미디어뉴스] 배진영 기자 =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우려, 원자재 가격 상승, 고금리 장기화 등 해소되지 않는 숱한 악재에 국내 건설업계의 불황이 길어지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건설 수주액은 34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47조5000억원) 대비 28.0% 감소했다. 금액으로는 13조3000억원이 줄어들었다.

특히 민간시장의 침체가 깊었다. 공공부분 수주가 지난해 1분기 12조8000억원에서 올 1분기 12조원으로 5.9% 감소할 때 민간 수주액은 34조8000억원에서 22조2000억원으로 36.2%나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는 2015년 21조6000억원을 이후 9년 만에 기록한 가장 낮은 실적이다.

건축 부문에선 재개발이 37.7% 줄었고, 공장·창고(55.9%)와 사무실·점포(56.4%) 역시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토목 부문은 기계설치(64.7%), 도로‧교량(29.6%), 치산치수(34.5%) 등이 지난해와 비교해 줄었다. 그 결과, 올해 1분기 수주 실적을 공개한 국내 상위 건설사 10곳의 정비사업 수주액은 3조9994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4조5242억원) 보다 11.5% 줄었다.

건설 수주는 지역별로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통계청의 건설경기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수도권의 건설 수주액은 18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지만, 지방은 15조원으로 같은 기간 35.2% 줄어들었다.

세부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2.1%), 대구(29.0%), 인천(129.5%), 대전(283.3%), 전남(22.9%), 경북(15.4%, 충남(72.0%) 등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주가 증가했지만, 광주(-69.8%), 울산(-87.4%), 세종(-61.5%), 충북(-63.7%), 전북(-62.3%) 등의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일부 지역의 수주가 늘어난 것도 건설 경기와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지난해 실적이 부진해서 나타난 기저효과라는 이유에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수도권의 건설 수주가 증가한 것은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공사 등으로 토목 공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지방은 미분양 문제로 건축 수주가 좋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건설업자의 폐업 건수도 크게 증가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종합건설업 폐업 건수는 10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5.3% 늘었다. 해당 업종 폐업 건수는 지난 1월(35건)과 2월(68건)에도 전년대비 각각 12.9%, 33.3% 늘었다. 전문건설업 폐업 건수도 지난달 618건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10.7% 증가했다. 반면, 신규 등록 업체 수는 갈수록 줄고 있다. 지난 3월 종합건설업 신규 등록 업체 수는 104곳으로 지난해 동월(333곳) 대비 68.7%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건설경기의 침체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선 민간 시장만으론 건설 경기를 살리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나경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은 "일본의 경우 소규모 지자체 또는 인프라 시설을 그룹화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했다"며 "우리나라도 자연재해(태풍, 장마 등)에 따른 국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교량터널, 항만, 댐, 옹벽, 절토사면, 상·하수도시설 등 노후 인프라에 대한 획기적 전환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 청년주택 드림 청약통장 가입자 100만명 돌파▶ 美, CPI 둔화에 활짝 웃은 투자 시장▶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現 경제상황에 맞지 않아"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4750 마포구 올해 플랫폼 노동자 지원사업 시작...산재보험료 10개월분 및 우비 지원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1 0
4749 아마존, 포장재에 재활용 종이 도입... 플라스틱 공해 줄인다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3 1 0
4748 멜린다 프렌치 게이츠, 바이든 지지 선언…트럼프 비판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1 0
4747 한국소비자원 부원장에 '이정구' 피해구제국장 임명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6 1 0
4746 금호건설, BTL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2 0
4745 김동연, 22대 국회와 'GTX 플러스' 상생협력 약속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9 0
4744 [박상윤 칼럼] 대한민국을 지켜낸 체제수호 전쟁을 겨우 이렇게만 가르친다고? [36]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160 25
4743 양곡관리법, 野 재상정…尹 거부권에 폐기된 법안 전부 재상정 수순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9 0
4742 전남 경찰관 기강 해이 '점입가경'...음주운전하고 시민 폭행까지 [1]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9 0
4741 '기시다 불신임 결의안' 중의원 제출됐으나 여당 반대로 부결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3 0
4740 당정 "상속세 인적·일괄공제 상향…가업상속공제 확대"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1 0
4739 윤상현, 與대표 경선 출마…"대통령에게 할 말 하는 사람"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2 0
4738 '제주도 도심에 대변 본 중국인' 파장...대만에도 전해지며 '공분' [2]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8 0
4737 與, '민생공감 531 법안' 발의…저출생, 의료 개혁 분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 0
4736 올해 사과 작황 평년 웃돌아...가을 사과값 안정화될 듯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 0
4735 [이 시각 세계] 북한-러시아 관계 강화 움직임, 中이 조용히 주시 外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8 0
4734 '90대 앞둔 현역배우' 이순재, 7월 2일 대구 시민들에 연기인생 푼다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2 0
4733 '이재명은 민주당의 아버지'…與 "민주주의 외치던 사람들 어디 갔나"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9 0
4732 野, 환노위 열어 尹 거부권 사용한 '노란봉투법' 재상정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9 0
4731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출마…23일 국회서 선언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9 0
4730 부천시 "예방백신·치료제 없는 수족구병은 예방이 최선"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0 0
4729 與 전당대회 출렁이는 판세…원희룡 출마·김재섭 불출마 선언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 0
4728 K-OTC시장 '다온기술 - 메디칼스탠다드 - 컴플릿링크 -비즈플레이- 다함이텍' 신규승인... 24일부터 거래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3 0
4727 與 "민주, 원 구성 모든 제안 거부…오만한 말장난만"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2 0
4726 중소기업 어린이제품, 사업자를 위한 역량강화 세미나 열려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9 0
4725 한국 기업 3천여개 진출, 中 장쑤성과 경제협력 강화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8 0
4724 황인상 총영사, 상파울루 명예 시민으로 선정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7 0
4723 美 한인 입양 가족, 네트워크 26번째 연례 행사 개최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 0
4722 북러 "전시 지체없이 상호지원" 조약 공개...美 전문가 "북한 무기 고도화 우려" [9]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45 5
4721 하마스 소탕 두고 이스라엘 군·정간 갈등 표면화...이스라엘, 전쟁 지속 가능할까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 0
4720 신협 부실 심화되나...연체율 6%대까지 오르자 금감원 검사 착수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 0
4719 루이지애나, 공립학교에 십계명 게시법 시행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1 0
4718 미국, B-52H 전략폭격기의 핵무장 능력 복원 추진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0 0
4717 野, 행안위·복지위서 '정부 불참'에 "공무원으로서의 본분 망각"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2 0
4716 "안전은 우리가 지킨다" 어린이 안전 히어로즈 발대식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2 0
4715 尹대통령,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육아휴직 급여 월 250만원 인상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6 0
4714 與, 대표 선출에 '당심 80% 민심 20%' 의결…당헌 개정 확정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2 0
4713 [포토] 이장우 대전시장, 유인촌 문체부 장관과 대전 문화예술 현안 논의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9 0
4712 [포토] 이장우 대전시장, 유인촌 문체부 장관과 대전 문화예술 현안 논의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5 0
4711 [포토] 이장우 대전시장, 유인촌 문체부 장관과 대전 문화예술 현안 논의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4 0
4710 與 '법사·운영위원장 1년씩' 하자…野 "尹대통령 1년간 거부권 행사 않으면 검토"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0 1
4709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뇌물 혐의 추가 기소… 재판부는 동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1 0
4708 [속보] 尹대통령 "첫 3개월 육아휴직 급여 월250만원으로 대폭 인상"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4 0
4707 당정, 내년 '체육활동 마일리지' 사업 예산 8배 확대 추진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3 0
4706 대전시, 글로벌 양자컴퓨팅 협력 강화… 콴델라 및 KAIST와 손잡다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0 0
4705 BNK부산은행, 보훈가족 사랑나눔 성금 전달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9 0
4704 경기도, 여름철 재난안전 총력...시흥서 제5차 시군 부단체장 회의 열어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8 0
4703 용인서부소방서 개서...용인 기흥구‧수지 주민 83만 명 책임진다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7 0
4702 박강수 마포구청장, '홍익하다' 아트페어 개소식 참석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8 0
4701 주일 한국대사관 늑장 대응, '라인야후 사태' 악화시켜 [12]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225 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