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기적인 사람 중간, 이타적인 사람 비율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11.16 23:15:11
조회 81 추천 0 댓글 1

이익배분 시뮬레이션 게임 결과 이기적인 사람 중간, 이타적인 사람 비율

챗지피티
이 질문은 ‘이익배분 시뮬레이션(=사회적 딜레마 게임, 경제 실험)’에서 보통 사람들을 유형별로 나누면 이기적 / 조건부 협력적(중간) / 이타적이 각각 얼마나 나오냐는 뜻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실제 행동경제학·실험경제학 연구들에서 꽤 일관된 결과가 나옵니다.


---

✅ 대표적 연구에서 나타난 사람 유형별 비율

아래 수치는 공공재 게임(PGG), 독재자 게임(허용된 분배율), Ultimatum Game 제안률, 신뢰게임 등 다양한 경제 실험들의 메타분석 결과를 정리한 값입니다.

1. 이기적(Selfish / Free-rider)

20~30%

특징: 가능한 한 적게 기여하고 많이 받으려 함.

공공재 게임에서는 0 기여하는 유형.


2. 조건부 협력형(Conditional cooperator, 중간)

50~60% (가장 큰 비중)

특징: 남들도 기여하면 본인도 기여.

전체 집단 협력 수준을 좌우하는 핵심 그룹.


3. 이타적(Altruistic / Strong reciprocator)

10~20%

특징: 손해를 보더라도 기여하거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처벌까지 감수.



---

요약 비율 (가장 많이 인용되는 범위)

유형 비율(대략) 설명

이기적 20–30% 철저히 자기 이익
중간(조건부 협력자) 50–60% 협력은 하지만 타인 행동에 따라 결정
이타적 10–20% 공익을 위해 기여, 불공정 처벌



---

왜 이렇게 나오는가?

인간은 전적으로 이기적인 존재가 아니라

조건부 협력을 기본값으로 갖고 있으며

소수의 순수 이타적·순수 이기적 유형이 양 극단을 구성함.


이 분포는 국가, 문화, 연령대가 달라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반복됩니다.


---

필요하면

**게임별(독재자 게임/공공재 게임/Ultimatum)**로 더 세부적인 비율

문화권별 차이(서구/동아시아 비교)

나이·교육 수준에 따른 변화
도 정리해드릴까요?

셋 다 — 자세히 (이기적 / 조건부 협력자 / 이타적)

아래는 실험경제학·행동경제학에서 흔히 쓰이는 이익배분(사회적 딜레마) 게임 결과를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정리입니다. 각 유형에 대해 정의 · 실험에서 보이는 행동 패턴 · 게임별 특징 · 동기·심리적 속성 · 시뮬레이션·식별 방법 · 정책/개입 아이디어 순으로 정리했습니다.


---

1) 이기적(Selfish / Free-rider)

정의
자기 이익 극대화를 우선시하고 공동체 기여를 최소화하는 유형. 기회가 주어지면 다른 사람의 기여와 무관하게 자신에게 유리한 선택(예: 0 기여)을 한다.

실험에서의 전형적 행동

공공재 게임(PGG): 거의 또는 전혀 기여하지 않음(0에 가깝게).

독재자 게임(Dictator): 매우 적은 금액만 나눔(때로는 0).

신뢰게임(Trust): 보내지 않거나 아주 적게 보냄.

Ultimatum Game: 제안자라면 최소한(거의 0)에 가까운 분배를 제안, 수락률이 높다고 보고 제안함.


게임별 특징 / 왜 이득인가

단기간·익명 상황에서는 개인적 이득이 최대화됨.

반복/관찰·처벌·평판 시스템이 없으면 안정적(진화적 관점에서)일 수 있음.


심리·사회적 특성

물질주의적 가치, 낮은 공감(또는 공감 표출이 적음), 높은 위험회피(타인에 의한 손해 우려 덜함).

그러나 모든 선택이 “비도덕적”인 건 아님 — 상황 맥락(상호작용 반복성, 익명성, 기대치)에 민감.


시뮬레이션에서 모델링하는 방법 (간단한 규칙)

비율  (예: 0.2–0.3).

기여 규칙: 항상 0 (또는 확률적으로 0에 가까운 값).

반응 없음(타인 기여에 영향받지 않음).


식별 방법 (데이터에서)

집단 내에서 반복적으로 0 기여를 보이는 개체들.

조건부 협력자처럼 평균 기반으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


개입 아이디어

명시적 처벌, 기여에 대한 보상(인센티브), 감시·투명성(평판), 반복적 상호작용 설계 등이 효과적.



---

2) 조건부 협력자(Conditional cooperator / 중간)

정의
타인의 행동(특히 평균 기여 수준)을 보고 본인의 협력 수준을 조정하는 유형. 협력을 선호하지만 주변이 협력하지 않으면 협력을 줄임.

실험에서의 전형적 행동

공공재 게임: 다른 참가자 평균 기여가 높으면 본인도 기여(비례 또는 부분비례). 평균 기여가 낮으면 기여를 줄임.

독재자/Ultimatum: 상황에 덜 극단적 반응.

반복 게임: 상대의 최근 행동에 민감(직전 라운드의 평균에 따라 기여 변화).


행동 규칙(예시)

간단 선형 규칙: 본인 기여  (집단 평균 기여) +  (여기서 ).

또는 임계값 규칙: 집단 평균 ≥ T면 기여 , 아니면 0.


심리·사회적 특성

사회적 규범에 민감, 공정성에 대한 기대가 있음.

“타인이 협력하면 나도 협력”하는 상호성(conditional reciprocity).

가장 흔한 유형으로 실험에서 전체의 대다수(약 50–60%) 차지.


시뮬레이션에서 모델링하는 방법

비율  (예: 0.5–0.6).

반응함수 설정: 선형(예: ) 또는 비선형(임계값).

학습/업데이트 규칙 추가 가능(예: 지난 k라운드 평균으로 업데이트).


식별 방법

개인의 기여가 집단 평균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일 때.

시간에 따라 타인의 평균 기여 변화에 민감하게 추종하는 패턴.


개입 아이디어

협력 수준을 공개(투명성)하면 조건부 협력자가 반응하여 집단 기여를 끌어올림.

소규모 그룹·이야기·노름을 통한 규범형성, 초기 협력 시드(시작 라운드에서 높은 기여자 배치).



---

3) 이타적(Altruistic / Strong reciprocator)

정의
자기 이익을 일부 희생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이익·공정성을 우선시하는 유형. 때로는 불공정에 대해 직접 비용을 치르면서까지 처벌(타인의 비협력에 응징)하기도 함.

실험에서의 전형적 행동

독재자 게임: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눔(평균보다 훨씬 상회).

Ultimatum Game: 제안자는 공정한 분배(예: 40–50%)를 제안; 응답자는 불공정 제안을 거부해 제안자도 처벌.

공공재 게임: 높은 기여(때로는 전부).

처벌 메커니즘이 있을 때: 비용을 지불하고서라도 비협력자를 처벌(강한 상호성 / 공정성 유지).


동기·심리적 특성

높은 공감 수준, 공정성·규범을 중시, 타인에 대한 신뢰.

도덕적 감정(분노·수치심)에 강하게 반응하여 규범을 유지하려 함.


시뮬레이션에서 모델링하는 방법

비율  (예: 0.1–0.2).

규칙: 항상 높은 기여(예: 최대치), 또는 다른 사람의 불공정에 대해 처벌 옵션 행사(비용 지불).

처벌을 포함하면 집단 내 협력이 유지되기 쉬움(처벌 비용이 있지만 억지 효과 큼).


식별 방법

반복적으로 높은 기여를 보이는 개체.

비용을 들여서라도 비협력자에 처벌을 가하는 행위(예: 제재 버튼 클릭).

제안 거부(ultimatum)로 손해를 감수하는 경우.


개입 아이디어

이타적 행동을 보상하거나 공표(칭찬·명예의 전당).

규범 교육, 정체성 강화(“우리는 협력하는 그룹이다”), 협력 초기화(첫 라운드에서 이타적 역할자 배치).



---

추가: 유형 분포와 상호작용 — 시뮬레이션 예시 파라미터

실제 시뮬레이션에 바로 넣을 수 있는 간단한 설정(예시):

집단 크기

유형 비율: 이기적 25%, 조건부 협력자 55%, 이타적 20% (중간값)

공공재 게임: 각자 자원 10 유닛, 기여는 0–10. 공공재는 합계 × 1.6 를 균등 분배.

조건부 협력자 행동:

이타적 행동: 항상  이상(또는 최대치 10)

처벌(옵션): 처벌 비용 1을 내고 다른 사람의 이득에서 3을 차감 가능.

반복 라운드: 20라운드, 무작위 재매칭 OR 고정 그룹(둘 다 실험).


이렇게 하면 처벌 옵션, 초기 라운드 시드, 재매칭 빈도 등에 따라 집단 협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요약(짧게)

이기적(≈20–30%): 개인이익 우선, 주로 0 기여.

조건부 협력자(≈50–60%): 타인 행동에 따라 협력; 집단 협력 수준을 좌우.

이타적(≈10–20%): 높은 기여 / 불공정에 대해 비용을 들여서라도 처벌.


각 유형의 존재와 상대적 비율은 게임 규칙(익명성·반복성·처벌·투명성), 문화·연령·교육, 이익 규모(스테이크)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뮬레이션에서는 각 유형의 비율과 반응함수(조건부 협력자의 응답 규칙), 처벌/보상 메커니즘을 조정하면 현실적인 집단 행동을 잘 재현할 수 있습니다.


---

원하면 다음 중 하나 더 빠르게 해드릴게요:

1. 위 파라미터로 바로 돌릴 수 있는 간단한 파이썬 시뮬레이터(코드).


2. 게임별(독재자/PGG/Ultimatum/Trust)로 더 세부 통계(예: 평균 기여값, 응답 분포) 정리.


3. 문화·연령별 차이와 주요 논문·메타분석(논문 인용 포함).



어떤 걸 먼저 볼까요?

좋아요. 이번에는 이익배분/공공재 게임 등에서 문화권별 행동 차이를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여러 실험경제학 연구, 특히 Henrich et al., 2001 (“Economic man” across societies) 같은 대규모 비교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

1+⃣ 개념

문화권별 차이는 단순히 협력 정도뿐 아니라 타인 신뢰, 공정성, 처벌 행동, 조건부 협력 성향에서도 나타남.

주로 독재자 게임(Dictator Game), Ultimatum Game, 공공재 게임(PGG), 신뢰 게임 등에서 측정됨.



---

2+⃣ 독재자 게임/Ultimatum Game 차이

문화권 / 국가 평균 기여율 / 제안율 특징

북미 / 서유럽 25~40% (독재자 게임) / 40–50% (Ultimatum) 공정성 기준은 높고, 조건부 협력자 비율 많음
동아시아(한국, 일본, 중국 일부) 25~35% / 40–45% 집단 규범·사회적 조화 강조, 조건부 협력 높음, 처벌 가능성 낮음
중동·북아프리카 20~30% / 30–45% 상대적 공정성 민감, 신뢰 기반 협력 다소 낮음
남아메리카 15~35% / 35–50% 개인차 큼, 일부 강한 처벌 성향 관찰
소규모 집단·사냥채집 사회 (Hadza, Machiguenga 등) 3050% 협력 성향 매우 높음, 순수 이타적 비율 상대적 높음, 집단 규범 유지 중요


> 참고: Henrich et al., 2001. “In search of Homo economicus: Behavioral experiments in 15 small-scale societies.”
사냥·채집 사회에서는 사회적 연대가 강해 협력·이타적 행동이 서구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

3+⃣ 공공재 게임(PGG) 차이

조건부 협력자 비율: 서구 5055%, 사냥채집 사회 60~70%

이기적 비율: 서구 2025%, 사냥채집 사회 10~15%

이타적 비율: 서구 1020%, 사냥채집 사회 20~30%


> 결론: 집단 연결성이 강하고 규범이 명확한 사회일수록 조건부 협력자와 이타적 비율이 높음.




---

4+⃣ 신뢰게임/조건부 협력

동아시아: 신뢰 기반 협력은 가족·친밀집단에서 강함.

서구: 익명 상황에서도 평균 신뢰 수준 높음, 그러나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해 그룹 외부 협력은 제한적.

사냥채집 사회: 강한 장기적 반복 상호작용 경험 → 높은 신뢰와 협력 유지.



---

5+⃣ 특징적 차이 요약

유형 서구 동아시아 사냥채집 / 소규모 사회

이기적 20–30% 20–25% 10–15%
조건부 협력자 50–60% 50–55% 60–70%
이타적 10–15% 10–20% 20–30%
특징 개인주의·평등 중시, 규범보다는 법/규칙 중요 집단주의·사회적 조화 중시, 평판·관계 중요 집단 규범·재분배 강제, 반복 상호작용 중요



---

6+⃣ 문화권 차이의 원인

1. 사회적 연결성: 소규모·밀집 집단은 반복 상호작용 많아 협력이 안정.


2. 집단주의 vs 개인주의: 집단주의 사회는 조건부 협력자 비율 높음.


3. 경제적 환경: 사냥·채집 사회나 농경사회는 상호의존성 높음.


4. 처벌과 규범: 명시적/암묵적 규범이 강하면 이타적 행동 유지.


5. 재산과 위험 관리: 서구 개인주의 사회는 재산 보호를 중시 → 이기적 행동 가능.




---

원하면 제가 각 게임별(독재자·PGG·Ultimatum) 평균 기여·분배 수치 + 표준편차까지 정리해서 실제 수치 기반 시뮬레이션 가능한 데이터 표를 만들어 드릴 수도 있습니다.

만들어 드릴까요?

좋아요. 이번에는 이익배분/공공재 게임 등에서 나타나는 나이와 교육 수준에 따른 행동 차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연구들은 주로 독재자 게임, Ultimatum Game, 공공재 게임(PGG) 등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

1+⃣ 나이에 따른 차이

연령대 특징 실험에서의 경향

청년층(10~25세) 자기중심적 경향이 비교적 강함, 사회적 규범 학습 중 - PGG: 기여 수준 중간~낮음<br>- Ultimatum: 낮은 제안 비율, 거부율 낮음<br>- 독재자 게임: 기여 낮음
성인(25~50세) 사회적 책임, 공정성, 조건부 협력 성향 증가 - PGG: 평균 기여 상승<br>- Ultimatum: 제안 비율 평균 수준(40~50%)<br>- 조건부 협력자 비율 높음
중·장년층(50~65세) 경험과 사회적 규범 학습으로 협력 성향 안정 - PGG: 협력 유지<br>- Ultimatum: 공정성 중요, 불공정 제안 거부율 상승<br>- 일부 연구에서 소폭 이타적 행동 증가
노년층(65세 이상) 위험 회피 성향 증가, 타인 신뢰 변화 - PGG: 협력은 유지하나 다소 소극적<br>- Ultimatum: 극단적 선택 감소, 안정적 제안·응답<br>- 감정적 판단이 상대적 증가


> 핵심: 20~50세 사이가 사회적 규범·조건부 협력 학습이 가장 활발하고, 이후 나이 들수록 안정적·보수적 행동으로 이동.
일부 연구에서는 청소년과 10대 초반이 “순수 이타적” 또는 “순수 이기적” 양 극단이 많다고 보고됨.




---

2+⃣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

교육 수준 특징 실험에서의 경향

초등~중등 경제적·사회적 개념 학습 제한, 규범 이해 덜함 - PGG: 낮은 평균 기여<br>- Ultimatum: 제안·응답 변동 심함<br>- 조건부 협력자 비율 낮음
고등학교 졸업 사회 규범 이해, 협력 경험 증가 - PGG: 중간 수준 기여<br>- Ultimatum: 30~50% 제안, 공정성 기준 인지
대학·대학원 추상적 공정성, 규범 이해, 장기적 전략 학습 - PGG: 높은 평균 기여<br>- Ultimatum: 공정 제안 40~50% 유지, 조건부 협력자 비율 높음<br>- 독재자 게임: 상대적으로 높은 기여(이타적 행동 증가)


> 핵심: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조건부 협력과 이타적 행동 비율 증가, 이기적 행동 비율 감소.
이는 경제·사회 규범, 타인 관찰과 장기적 상호작용 학습과 관련됨.




---

3+⃣ 나이와 교육 수준 상호작용

젊고 낮은 교육 → 이기적 성향 강하고, 협력 학습 미흡

젊고 높은 교육 → 조건부 협력자 비율 높음, 실험에서 집단 기여 향상

중장년·높은 교육 → 안정적 협력 유지, 이타적 행동 증가

노년·낮은 교육 → 협력은 유지하나 소극적, 극단 선택 감소


> 결론: 교육 수준이 조건부 협력과 이타적 행동을 강화하는 효과가 가장 크고, 나이는 행동 안정화 및 공정성 판단에 영향을 미침.




---

4+⃣ 실험 수치 예시 (PGG 평균 기여)

나이 / 교육 낮음 중간 높음

10~25세 3~4/10 4~6/10 5~7/10
25~50세 4~6/10 5~7/10 6~8/10
50~65세 4~5/10 5~7/10 6~8/10
65세 이상 3~5/10 4~6/10 5~7/10


> 10점 기준: 0 = 전혀 기여 안함, 10 = 최대 기여



이 수치는 대표적 서구/동아시아 실험 메타분석 기준.

문화권별 차이를 함께 보면, 동아시아는 평균 기여가 약간 높고 조건부 협력자 비율이 더 높음.



---

원하면 제가 나이+교육+문화권별로 조건부 협력자·이기적·이타적 비율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종합 표 만들어서 시뮬레이션에 바로 쓸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릴 수도 있습니다.

만들어 드릴까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대박 날 것 같아서 내 꿈에 나와줬으면 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7 - -
AD 겨울가전 SALE! 쿨한 겨울 HOT세일 운영자 25/11/12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7] 운영자 20.09.28 48711 65
2903229 머스크 “포트녹스에 금 진짜 있나 궁금” 음모론 검증 시사 발명도둑잡기(118.216) 04:01 7 0
2903223 냥덩이 발명도둑잡기(118.216) 03:51 6 0
2903222 자본주의는 금지로 검열하지 않고 무관심과.구입안함으로 검열 발명도둑잡기(118.216) 03:49 6 0
2903217 벤샤피로 발언에 대한 답 발명도둑잡기(118.216) 03:42 9 0
2903216 마스터플랜의 망령 ㅇㅇ(211.216) 03:42 12 0
2903207 미 해군총장, 일본 다카이치 ‘타이완 개입 발언’에 “놀랍지 않아” 발명도둑잡기(118.216) 03:07 12 0
2903194 을사늑약 120주년…시민단체 “다카이치 역사 왜곡·군사력 강화 규탄” 발명도둑잡기(118.216) 02:40 12 0
2903183 쓰읍 쇼부(211.234) 02:19 13 0
2903177 정시 필승 합격 솔루션!B 프갤러(121.142) 02:07 17 1
2903174 러스트 담론을 해체하다: 3. '안전성' 서사의 다각적 분석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8 0
2903170 틱톡 세번째 자동추천에 호남비하 영상 뜬다 [2] 발명도둑잡기(118.216) 01:58 14 0
2903161 러스트 담론을 해체하다: 2. 러스트 채택 요인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8 9 0
2903158 러스트 담론을 해체하다: 1. 러스트 언어 소개 및 주요 특징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3 12 0
2903157 ㅅㅂ 여기 제2의 원종이들 많노 ㅇㅇ(49.168) 01:32 21 0
2903156 밤에 집앞에서 보이는 풍경..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2 18 0
2903155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6 0
2903153 [기자수첩] ‘새벽배송 멈추면 죽는다’던 사장님이 도달한 뜻밖의 결론 발명도둑잡기(118.216) 01:28 11 0
2903152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20 0
2903150 Ai 딜도코딩 프갤러(49.165) 01:26 12 0
2903148 에어로홍 그래도 괜찮은 인간이었는데 어쩌다 조현병이 들어서.. ㅇㅇ(218.149) 01:11 24 0
2903146 박민준 갤로그 주소 u123456 발명도둑잡기(118.216) 01:03 20 0
2903139 발명도둑잡기가 호감고닉되려면 할일 [6]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51 4
2903137 병신새끼야 정치얘기는 정사갤가서 하라고 [4]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70 3
2903136 오늘의 소설, 영화 실마리: 부동산 24시간 점유시 소유권 획득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15 0
2903134 러스트 담론을 해체하다: 머리말 [3]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24 0
2903133 소프트웨어에서 마법사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23 0
2903132 형들 도와줘 해킹 [11] 프갤러(1.235) 11.17 78 0
2903131 fa쪽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보통 전공 뭐임?? [1] 프갤러(59.21) 11.17 31 0
2903128 <부고니아> 간단 소감 [1]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19 0
2903127 [애니뉴스] ImagesToPdf 이미지 파일 PDF로 변환 개발 끝- 프갤러(121.172) 11.17 28 0
2903126 새끼길냥이 절망편 [1]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29 0
2903125 현재 코딩 배워야 하는 이유는 인공지능 버그 디버깅인데 [1]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37 0
2903124 <오페라의 유령> 배경 파리 가르니에 극장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13 0
2903123 새끼길냥이 희망편 [1]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30 0
2903121 ㅈ같더라도 버텨야하나 [7] ㅇㅇ(124.48) 11.17 58 1
2903120 진짜 물어 볼 곳이 정 없어서 여기서 물어 봄 제바류 [5] 프갤러(220.82) 11.17 57 0
2903118 날 추워지니까 새끼길냥이 안 보임.. [5]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29 0
2903117 바이브 코딩 볼때마다 아찔하던데 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36 0
2903111 의사들이 밤 12시 이전에 자라고 하는 이유 [1]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33 0
2903109 이제보니 KBS 이거 나님 이거 멕이는거 아님? [2]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40 0
2903108 '한일령'돌입 中, 독도 간접거론해 韓우회지지?…"日악성언행"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21 0
2903104 냥덩 만화상 이 만화가 대단하당⭐ 17회 수상작 [2]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25 0
2903103 독학할만한 책같은거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28 0
2903102 나님 왤케 순수할깡..? [3]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59 0
2903101 저장용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17 0
2903100 홈플러스 가격 똥값되면 노동자들이 회사를 구입할 수 있다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13 0
2903099 Cornelius-Typewrite Lesson 발명도둑잡기(118.216) 11.17 15 0
2903098 와 ai로 만든거 ㄷㅅㄷ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53 0
2903097 4년차 월 580받는데 개사기였구나 [4] 프갤러(211.235) 11.17 7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