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피의 게임3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피의 게임3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우울우울 점점 비어가는 나라 곳간 ㅇㅇ
- 싱글벙글 가격 인상 지코바, 브라질산 닭고기 국내산으로 적발 ㅇㅇ
- 싱글벙글 고주사율 모니터 관련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 니지카엘
- 싱글벙글 우리회사 보건휴가 때문에 ㅈ창났다 ㅋㅋ 삑빅소리
- 42세에 꼭 출산하고 싶다고 의학이랑 기싸움하는 87년생 아줌마 갓럭키
- 텃밭을 망가뜨린 범인을 검거한 유튜버 ㅇㅇ
- 게임이 너무 하고 싶다는 한전업주부 독박육아 유부남 ㄷㄷ 갓럭키
- 파브리 폭로한 나폴리 맛피아 파브리 걍 한국 사람 아니냐고ㅋㅋㅋㅋㅋㅋ ㅇㅇ
- 싱글벙글 재매이햄이랑 동갑인 사람들.JPG ㅇㅇ
- 일본 특수부대 전역자가 직접 까는 부대 썰jpg 4321_
- 日, 도시락 때문에 72명 집단 식중독 1명 사망 (도치기현) 난징대파티
- 10년전 디시글 보고 일본가서 수류탄 발굴하고 온 이야기 리소르지멘토
- 주택가에서 차가 찌그러지도록 주먹질하며 난동부린 남성 ㅇㅇ
- 중국, 몸무게 50kg 이하 외출 금지 ㄹㅇ..jpg 감돌
- 싱글벙글 문과는 입만터는 존재일까? ㅇㅇ
4.13 (일), 부코 후기입니다
무서운 이야기) 이 사람은 지지난 행사 때 발에 물집잡혀놓고도 정신을 못차려서, 오늘 절뚝거리면서 집으로 갔다.무서운 이야기2) 이 사람은 행사장 안 메이드 카페 앞 지나가다가, 지난 번 행사 때 메이드카페 갔던게 생각나서 현기증이 올라와 갤베에서 쉬다가 갔다.신세계의 신이 되기위해 열심히 필기중이신 라이토님.유명한 사랑꾼 비에고. 사진보다 실물이 더 키가 크셔서 아주 멋있었습니다. 디테일도 그렇고.엉엉 울면서 봤던 어른 제국의 역습의 빌런 켄. 극장판 빌런들 너무 멋있어서 늘 좋아요.사진 다시보니 웃음이 또 나는 ESG. 학생 때 야자시간 전 교실에서 처음 봤던 기억이 있어서 괜히 남다릅니다, 원래도 색소폰 좋아하기도 하고...버스킹도 오며가며 잘 들었습니다. 나중에 보니 공원쪽으로 자리 옮기셨던데 코믹월드 쪽에서 부탁드린건지 잘 모르겠네요.옷이 아주 멋있는 텍사스님. 검을 자리에 두고오셔서 서로 아쉬웠던 기억...레식도 좋아하고 방독면 캐릭터도 좋아해서, 두 배로 좋아합니다.야호.뜨거운 커피를 원샷하시는 고도 선생님.산책중인 지우와 귀여운 피카츄. 놀랍게도 아이들이 좋아했어요. 저도 좋아합니다.아주 귀여우신 협곡의 버섯 재배꾼. 일반인 선생님이 지나가시면서 “너구리 귀엽다~” 라고 하신게 기억나네요.수십 번 박치기했던 공포의 탈룰라.현직 다스베이더와 만달로리안 (멋있다)계단에서 하늘을 등지고 계셨던 갑옷 기사 선생님. 구도가 폭력적이라 개인적으로는 다크소울 할 때가 떠올랐습니다.총총 거리며 걷는게 너무 귀여웠던 하치와레. 허락받고 뒷모습으로 찍었습니다.제 동년배들이,,. 다들 좋아하는@@ 란마입니다 *^~^*제가 사진을 너무 못찍어서 그렇지 진짜 다 담지못한 미키17의 미키. 진짜 볼 줄 몰랐는데 너무너무 멋있으셨습니다.예전에 데스 스트랜딩 하셨던 분 맞는지 잘 모르겠네요.바람에 흔들리는 민주주의.현직 단국인이지만 염국은 인정합니다, 쉐이 최고.무시무시하셨던 (칭찬) 키류 카즈마.모이면 더 멋있는 마블 선생님들.검이랑 옷이 아주 멋있으셨던 클라이브. 저는 검정 + 빨강을 보면 눈이 돌아가요.코난에서 제일 좋아하는 세 캐릭터가 한 번에 계셨습니다. 하이바라 최고.햄부기햄북햄북어햄북스딱스함부르크햄부가우가햄비기햄부거햄부가티햄부기온앤온을주문중이신기사님.겨울왕국의 한스와 안나. 한스 분 턱을 살리신 분장이 아주아주 인상적이었어요, 사진에서는 가려서 아쉬울 뿐.+부스중에 이런 느낌 에반게리온 프린팅 티셔츠를 파는곳이 있었는데, 초호기 디자인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여쭤봤는데 105사이즈밖에 안남았다고 하셔서 아주아주 아쉬웠습니다 :(++ 사진사? 분 옷이 너무 예쁘셔서 여쭤봤더니 편집샵에서 구매한거라 정확한 제품은 모르겠다고, 바로 벗어서 택 보여주시길래 찍어왔습니다. 매우 친절하셨어요.ㅡㅡㅡㅡㅡ(TMI 스킵 권장)보통 행사는 양일로 오는 편인데, 이번에는 일이 생겨서 일요일만 오게 됐네요. 당일로 왔다갔다하는거라 짐이 적어서 오히려 좋기도 하고... 가까우니 진짜 편하긴 하네요.이번에 2전시장이라 그런가 너무 좁은 느낌이라 아쉽긴했습니다. 넓은 광장이 그립네요.그리고 다음부터는 반드시 편한 신발로 신고오는걸로... 늘 생각 하다가 ‘이 옷에는 이 신발이지!’ 라고 하면서 세상 딱딱한 신발을 신어버리니 발이 늘 고생이네요.아무튼, 다들 고생하셨습니다. 5월에 서울/경기 행사 많던데 다들 잘 즐기시길 바라요 :) 저는 지방이라 하나만 골라서 가겠습니다..._^-^b(바람이 엄청 불던 갤촬 사진으로 마무리, 늘 찍어주시는 선생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작성자 : 독갤빌런고정닉
우주스압 우주의 신비 2탄...jpg
우주는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습니다 거짓 진공 이론에 따르면, 우리 우주는 안정적으로 보이는 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실제로는 터진 풍선처럼 갑자기 더 안정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거짓 진공은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불안정한 준안정 상태입니다. 만약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참 진공으로의 전환은 빛의 속도로 퍼져나가며 그 경로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할 것입니다. 만약 우리 우주가 실제로 거짓 진공 상태에 있다면, 어떤 양자 요동이라도 이 파괴적인 과정의 시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참 진공으로 전환될 때 모든 물리 법칙과 상수들이 변할 것이며, 이는 알려진 모든 구조물의 즉각적인 소멸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 가설은 이러한 준안정 상태의 존재를 허용하는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과 장 이론에 기반합니다. 모든 외계인이 감마선에 의해 파괴되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추측은 뉴욕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외계 생명체 탐사 과정을 가르치는 프레더릭 월터 천문학 교수가 제기했습니다. 그는 '죽음의 광선'으로 알려진 감마선 폭발이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은하수 내 행성의 지적 문명을 파괴했을 수 있다고 추정합니다. 이 감마선 폭발은 은하계 행성의 상당 부분을 살균할 수 있으며, 이는 우주에서 지적 생명체가 발견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감마선 폭발 GRB 221009A가 지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약 500km 고도의 지구 전리층에서 그 영향의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 인류는 아직 감마선 폭발의 완전한 영향을 경험하지 못했지만, 과거 지구에서 대량 멸종을 일으켰을 수 있습니다. 월터 교수는 어떤 은하계에서든 1억 년마다 적어도 한 번의 감마선 폭발이 발생하며, 이는 생명체에게 상당한 위협이 된다고 지적합니다. 별들의 다리 — Arp 104 은하 상호작용 ✨ 켄트 우드가 432mm 돌-커크햄(Doll-Kirkham) 반사굴절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사진에는 별들의 다리로 연결된 상호작용하는 은하 Arp 104가 담겨 있습니다. 이 다리는 '캠벨 쌍(Campbell pair)'으로도 알려진 NGC 5216 은하와 NGC 5218 은하 사이의 중력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성되었습니다. 중력은 은하들을 늘리고 왜곡시키며 가스, 먼지, 별들로 이루어진 다리를 만듭니다. 브라이언 디아스가 촬영한 렌즈형 은하 NGC 1269 이 이미지는 610mm 돌-커크햄(Doll-Kirkham) 반사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얻어졌습니다. 시속 135,000km의 속도로 13P/올버스 혜성이 지구를 향해 날아오고 있습니다 단주기 혜성 13P/올버스가 68년 만에 태양계 내부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이 혜성은 이미 6월 30일에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 도달했으며, 곧 밤하늘에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혜성은 7월 20일 토요일에 지구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게 됩니다. 이후 이 혜성은 2094년에야 다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혜성은 큰곰자리에 있지만, 북서쪽 하늘의 작은사자자리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 혜성은 2억 8,350만 km 거리에 있을 것입니다. 13P/올버스 혜성의 밝기는 6.5등급에서 7등급 사이로, 상당히 밝은 편입니다. 하지만 맨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관측하려면 최소한 쌍안경이 필요합니다. 더 이상 별은 없을 것입니다 ☠️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우주에 있는 모든 별의 약 95%는 이미 형성되었습니다. 별 형성의 정점은 약 110억 년 전에 일어났으며, 그 이후 이 과정의 활동은 30배 감소했습니다. 이는 우주에서 점차 '소멸' 과정이 시작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별들은 연료를 소진하기 시작하여 백색 왜성,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로 변할 것입니다. 결국, 수조 년이 지나면 이러한 별의 잔해들조차 식어서 보이지 않게 될 것입니다. 더 이상 별 형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우주는 어둡고 황량해질 것입니다. 이는 우주가 최대 엔트로피 상태에 도달하고 모든 열역학적 활동이 멈추는 '열적 죽음' 시나리오로 이어질 것입니다. 제임스 웹(James Webb)이 오리온 성운의 원시 행성 원반 114-426에서 물 얼음을 발견했습니다 ✨ 이는 강렬한 자외선 복사가 있는 성단의 밀집된 환경에서도 얼음이 형성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거대 가스 행성 위성에도 정말 생명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거대 가스 행성의 위성인 유로파와 엔셀라두스는 태양계에서 생명체를 발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힙니다. 이 위성들의 얼음 아래 바다는 생명체가 탄생하는 데 필요한 온도와 물질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위성들은 각자 모행성의 강력한 방사선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유럽 과학자들은 방사선이 생명체 탄생에 얼마나 방해가 될 수 있는지 알아냈습니다☢️ 최근 감마선에 노출된 아미노산을 이용한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그 결과, 강한 방사선에도 불구하고 아미노산이 얼음 표면 아래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유로파에서는 아미노산이 20센티미터 및 그 이하 깊이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엔셀라두스에서는 어떤 깊이에서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이 위성들에서 생명체를 발견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은하단 MACS J0416 이것은 우주에서 가장 큰 천체 중 하나로, 약 1000개의 은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은하단은 수백 또는 수천 개의 개별 은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초고온 가스로 이루어진 거대한 구름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허블 및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얻은 이미지에서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 톤으로 빛나는 은하들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실제 거리 이 컬러 합성 지구와 달 이미지는 오시리스-렉스(OSIRIS-REx) 탐사선이 지구 주변에서 중력 도움 기동(gravity assist maneuver)을 수행한 지 10일 후인 2017년 10월 2일에 촬영되었습니다. 탐사선에서 우리 행성(지구)까지의 거리는 약 5,120,000km였습니다. 참고로,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는 384,400km입니다.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 완벽한 아인슈타인의 고리 촬영 2023년 7월 1일, 유럽 우주국(ESA)의 유클리드 망원경은 우주의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연구하는 임무에 착수했습니다. 불과 두 달 만에 망원경은 첫 이미지들을 전송했고, 그중 하나에서 천문학자들은 아인슈타인의 고리를 발견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고리는 중력 렌즈 효과로, 먼 은하의 빛이 거대한 천체(여기서는 은하)를 지나면서 휘어져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 경우 렌즈 역할을 한 것은 우리로부터 5억 9천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NGC 6505 은하입니다. 놀랍게도, 이 은하 자체는 1884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고리는 이제서야 발견되었습니다. 고리를 형성하는 빛의 근원인 배경 은하는 훨씬 더 먼 44억 2천만 광년 거리에 있습니다. 중력 렌즈는 암흑 물질, 우주 팽창, 그리고 멀리 있는 천체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유클리드는 수십억 개의 은하를 포함하는 우주의 가장 큰 3D 지도를 만들고 있습니다. 임무 기간 동안 희귀한 아인슈타인의 고리를 포함하여 약 10만 개의 중력 렌즈가 발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N44 성운의 슈퍼버블 이것은 지구로부터 약 17만 광년 거리에 있는 대마젤란 은하(Large Magellanic Cloud)에 위치한 복잡한 성운입니다. 이 성운은 빛나는 수소 가스, 어두운 먼지 띠, 그리고 다양한 나이의 별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성운의 두드러진 특징은 어두운 "슈퍼버블"입니다. 직경 약 250광년인 이 "버블"은 중심에 있는 거대 질량 별들의 항성풍이나 오래된 초신성의 팽창하는 껍질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 있습니다. 웹(Webb)이 우리와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 중 하나를 촬영했습니다 왼쪽에 빛나는 주황색 공은 오렌지색 왜성(주황색 왜성)인 인디언자리 엡실론(Epsilon Indi)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의 직접 촬영 이미지입니다. 이 별과 행성은 우리로부터 12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나이와 금속성(중원소 함량) 면에서 이 별은 우리 태양과 비슷합니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인디언자리 엡실론에 외계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해 왔습니다. 웹 덕분에 그들은 자신들의 추측을 확인했습니다. 이 행성은 가스 거성이며 목성 질량의 2배에 달합니다. 행성의 평형 온도는 2도로 추정됩니다. ✨ 1950년대 캘리포니아 마운트 윌슨 천문대에서 촬영된 안드로메다 은하 사진 ✨ 부메랑 성운 (PGC 3074547) - 우주에서 우리가 아는 가장 차가운 천체입니다. 이 성운을 형성하는 가스의 온도는 섭씨 -272도, 즉 켈빈 온도 +1도에 불과합니다. 이는 부메랑 성운이 절대 영도보다 겨우 1도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GC 3074547은 별이 벗어던진 "껍질", 즉 외부 껍질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별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한 종류의 핵융합 연료(예: 수소)를 소진하고 다른 종류(예: 헬륨)로 전환될 때 발생합니다. 하지만 무엇이 이 가스 구름을 이토록 차갑게 만들었을까요? 일반적으로 답은 명확합니다: 부메랑 성운은 다른 모든 행성상 성운처럼 팽창하고 있으며, 팽창할 때 모든 가스는 냉각됩니다. 그러나 왜 PGC 3074547이 유독 그렇게 심하게 냉각되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태양계에 알파 센타우리에서 온 천체들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 천문학자들은 우리로부터 4광년 거리에 위치한 알파 센타우리에서 얼마나 많은 천체가 태양계에 도착했을 수 있는지 계산했습니다. 그 결과, 이러한 천체들이 우리를 방문할 뿐만 아니라, 아마도 우리의 혜성과 소행성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추정에 따르면, 이 항성계에서 온 약 백만 개의 큰 천체들이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오우무아무아나 보리소프 혜성과 같은 성간 방랑자들은 항성계들이 물질을 교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천체들은 별 및 행성과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인해 성간 공간으로 방출됩니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태양계 역시 자체 물질의 일부를 잃습니다. 온타리오 대학의 연구자들은 많은 성간 천체들이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항성계인 알파 센타우리에서 올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이 항성계는 약 50억 년 된 성숙한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의 세 별은 태양의 가장 가까운 이웃일 뿐만 아니라, 초속 22km의 속도로 우리를 향해 움직이며 그 과정에서 작은 천체들을 잃고 있습니다. 이 천체들은 우리가 지구에서 관측하는 유성우처럼 항성계의 궤적을 따라 줄지어 늘어섭니다. 계산에 따르면, 현재 오르트 구름에는 알파 센타우리에서 온 약 백만 개의 천체가 있을 수 있으며, 그 대부분은 천만 년 이내에 이곳에 도달했습니다. 이 천체들이 태양계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는 드뭅니다: 토성 궤도 안쪽에서 이러한 천체를 발견할 확률은 백만 분의 일입니다. 하지만, 매년 알파 센타우리에서 온 미세 운석들이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와 완전히 타버립니다. 약 6천만 광년 떨어진 두 은하 – NGC 4038과 NGC 4039 – 의 충돌로 형성된 우주 속 하트입니다 말머리 성운의 새로운 세부 모습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말머리 성운의 새로운 사진은 이전에는 관측할 수 없었던 세부 사항들을 보여줍니다. 이 성운은 지구로부터 약 1300광년 떨어진 오리온 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인근의 뜨거운 별에 의해 밝혀진, 붕괴 중인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입니다. 성운 '갈기' 부분의 폭은 약 0.8광년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성운이 앞으로 5백만 년 안에 해체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그 전까지 항성 복사와 성간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독특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적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WISE 우주 망원경이 안드로메다의 적외선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파란색은 성숙한 별들이며, 노란색과 빨간색은 새로 태어난 거대 질량 별들에 의해 가열된 먼지입니다. 과학자들이 우리 은하 중심을 빠르게 가로지르는 별과 그 행성계를 발견했습니다 만약 이 가설이 확인된다면, 이 시스템은 초속 540km를 초과하는 속도로 추정되어 모든 알려진 외계 행성계 중 가장 빠른 기록 보유자가 될 것입니다. 메릴랜드 대학의 숀 테리(Sean Terry)에 따르면, 이 시스템의 행성은 금성과 지구의 궤도와 비슷한 거리에서 저질량 별 주위를 도는 슈퍼 해왕성(super-Neptune)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시스템은 중력이 시공간을 왜곡하여 먼 별의 빛을 증폭시키는 현상인 미세 중력 렌즈 효과(microlensing)를 연구하는 MOA 프로젝트 덕분에 2011년에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이 시스템의 한 천체가 다른 천체보다 약 2300배 더 무겁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를 통해 두 가지 가설이 제기되었습니다: 별과 행성이거나, 외계 위성(exomoon)을 가진 거대 떠돌이 행성(rogue planet)이라는 것입니다. 이 시스템은 우리로부터 24,000광년 떨어진 은하 팽대부(bulge)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 엄청난 속도는 우리 은하(Milky Way)의 탈출 속도를 초과할 수 있으며, 이는 미래에 이 시스템이 우리 은하를 영원히 떠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화성행 우주비행사, 태양 폭풍 조기 경보 받게 될 것 ☢️ 태양 복사선은 심우주 유인 임무의 주요 위협 중 하나입니다. 화성까지의 비행은 수개월이 걸리지만, 태양 플레어를 예측하는 것은 현재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위험한 수준의 방사선으로부터 대피할 시간을 벌기 위해 승무원에게 폭풍 발생을 신속하게 경고할 방법을 찾았습니다. 이미 화성에서 작동 중인 장비가 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의 연간 방사선 노출량은 약 220mSv(밀리시버트)이며, 우주비행사의 허용 한도는 전체 경력 동안 600mSv입니다. 하지만 화성 왕복 비행만으로도 우주비행사는 약 930mSv를 받게 되는데, 이는 대기가 희박하고 자기장이 약한 행성 표면에서의 영향을 제외한 수치입니다. 이 데이터에는 노출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플레어 및 코로나 질량 방출(CME)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보호를 위해 우주비행사에게는 특수 우주복과 화성의 지하 대피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방사선 위험 접근을 미리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일, 미국, 중국의 연구원들은 이를 위해 큐리오시티(Curiosity) 로버에 탑재된 방사선 평가 검출기(Radiation Assessment Detector, RAD)의 데이터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 검출기는 2011년부터 작동하며 15분마다 방사선 수치를 기록합니다. 데이터 분석 결과, 태양 폭풍은 최대치에 도달하기 전에도 방사선 배경 수치가 25% 증가하는 현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승무원은 몇 분에서 몇 시간의 준비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플레어가 강력할수록 가속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므로, 보호를 위한 시간이 더 많이 주어집니다. 때로는 며칠 동안 대피소나 특수 복장 안에 머물러야 할 수도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RAD 장비 또는 그와 유사한 장비가 유인 우주선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장비는 우주비행사가 제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방사선 수치 초과 시 자동으로 신호를 보내야 합니다. 죽음에서 부활한 별들 ♂️ 좀비 별은 초신성 폭발 이후에 형성됩니다. 거대 질량 별이 연료를 모두 소진하면 폭발하여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같은 밀도 높은 핵을 남깁니다. 하지만 때때로 이들은 이웃 별의 물질을 흡수하여 '부활'하고 다시 별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강착(аккреция)이라고 하며, 이는 중성자별 표면에서 핵융합 반응을 재개시켜 별이 다시 살아나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부활한' 별들은 강렬한 X선 복사를 방출하며 고에너지 X선원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흡수된 물질이 극한의 온도로 가열될 때 발생합니다. 이들은 종종 쌍성계에서 발견되는데, 이 경우 두 번째 별이 점차 자신의 물질을 좀비 별에게 빼앗기게 됩니다. 이 강착 과정은 수백만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좀비 별의 생명을 유지시켜 줍니다. 만약 수박이 광속으로 지구에 충돌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수박이 대기의 밀집된 층에서 타버리지 않고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상황을 가정한다는 점을 밝혀둘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완전한 광속이 아닌, 그 99%의 속도를 고려할 것입니다. 그럴 경우 결과는 심각할 것입니다. 질량 약 10kg의 수박은 광속의 99% 속도에서 5.48x10^18 줄(Joule)에 해당하는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됩니다. 이는 약 13억 1천만 톤의 TNT 폭발 에너지에 필적합니다. 이러한 충돌은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거대한 위력의 원자폭탄 폭발과 유사한 파괴적인 영향을 일으킬 것입니다. 충돌 지점에는 거대한 분화구가 형성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이러한 충돌은 강력한 지진파와 대기 중 파괴적인 충격파를 일으킬 것입니다. 반경 수백 킬로미터 내의 모든 생명체는 전멸할 것입니다. 지구 자기장 역전은 언제 일어날까요? ↕️ 자기장(자기 극) 역전은 불규칙한 빈도로 발생합니다. 마지막 역전은 약 78만 년 전에 일어났습니다. 역전 중에는 지구 자기장이 상당히 약해지며, 이는 지표면에 도달하는 우주 방사선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기장 약화는 위성 통신, 항법 시스템 및 전력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역전은 태양 및 우주 방사선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는 자기장의 기능이 약화되기 때문에 기후 변화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다음 역전이 향후 수천 년 내에 일어날 수 있다고 추정합니다. 이는 지자기장을 생성하는 지구 핵 내부 액체 철의 움직임 변화 때문입니다. 우주에서 가장 큰 은하 IC 1101은 우주에서 알려진 가장 큰 은하입니다. 이 은하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0억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거대한 타원은하의 지름은 약 6백만 광년으로, 이는 우리 은하(지름 약 10만 광년)보다 60배 더 큽니다. 이 은하는 약 100조 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약 1000억~4000억 개로 추정되는 우리 은하의 별 개수를 훨씬 뛰어넘습니다. 얼음 성운 속 뜨거운 별 — 콜드웰 69 2004년 허블 망원경은 벌레 성운(Bug Nebula)으로도 알려진 콜드웰 69(Caldwell 69) 성운의 이미지를 전송했습니다. 이 성운의 중심에는 섭씨 250,000도가 넘는 온도의 죽어가는 별이 있습니다. 성운 자체의 온도는 훨씬 낮은 약 섭씨 18,000도인데, 이는 방출된 별의 물질이 우주 공간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밀집된 먼지와 가스 덩어리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사우론의 눈"과 닮은 이미지는 별 포말하우트와 그 원시 행성 원반의 사진입니다 포말하우트 별은 태양보다 질량이 약 두 배 더 크며 비교적 젊은 별입니다. 바로 이 때문에 이 별은 아직 원시 행성 원반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유사한 구조가 한때 우리 태양 주위에도 있었지만, 태양의 진화 과정에서 이 구조의 일부는 별 내부의 복사압으로 인해 흩어졌고, 나머지 물질 일부로부터는 행성들이 형성되었습니다. 이 사진은 허블(Hubble) 망원경 덕분에 촬영되었습니다. 천체 사진가 앤드류 맥카시(Andrew McCarthy)가 촬영한 최신 사진으로 우리의 이웃 은하, 안드로메다의 근황 우주에는 은하가 몇 개나 있을까요? 애리조나 행성 과학 연구소(Planetary Science Institute) 과학자들의 데이터에 따르면, 우주에는 1000억 개에서 2조 개 사이의 은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추정치들은 우주의 크기와 은하 구조의 한계 질량 분석, 그리고 뉴 호라이즌스(New Horizons) 우주선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우주선은 하늘의 여러 영역에서 총 빛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계산 결과의 차이는 서로 다른 방법과 관측 데이터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성간 겨울 — 은하 구름과 빙하기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과거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성간 공간을 떠도는 밀집된 가스-먼지 구름을 통과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름은 햇빛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지구에 빙하기를 유발했을 수 있습니다. 돈 페팃이 촬영한 사진 속에 안드로메다 은하(M31), 삼각형자리 은하(M33), 대기광, 그리고 오로라가 담겨 있습니다 ✨ 이 사진은 국제우주정거장(ISS) 내부에서 직접 만든 천체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되었습니다. 반물질로 이루어진 천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요? 반물질이란 반입자로 이루어진 물질의 한 형태입니다. 이 입자들은 일반적인 입자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전하를 띤 전자의 반입자는 양(+)전하를 띤 양전자입니다. 입자와 반입자가 충돌하면, 이들은 쌍소멸하여 순수한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과학자들은 실험실 환경에서 소량의 반물질을 생성할 수 있지만, 자연에서 이를 발견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습니다. 완전히 반물질로 이루어진 우주 천체의 존재는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만약 별이나 행성이 반물질로 만들어졌다면, 일반적인 별이나 행성과 유사한 물리적 특성을 가질 것이지만, 일반 물질과 접촉하면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쌍소멸이 일어날 것입니다. 이는 감마선 폭발과 같은 독특하게 관측 가능한 효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우주의 중력파 관측소 LISA 프로젝트(Laser Interferometer Space Antenna,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는 우주에서 중력파를 탐지하고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NASA와 ESA의 공동 임무입니다. 이 관측소는 250만 킬로미터 길이의 변을 가진 정삼각형을 형성하는 3대의 우주선으로 구성될 계획입니다. 이 우주선들은 태양 주위 궤도를 돌며, 중력파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우주선 간의 미세한 거리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간섭계를 사용할 것입니다. LISA는 0.1 mHz에서 1 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진 중력파를 탐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LISA의 주요 목표는 블랙홀, 중성자별 및 기타 거대 질량 천체들의 병합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이 임무의 발사는 2030년대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우주의 질량 한계 우주에는 물리 법칙과 형성 과정에 따라 다양한 천체들이 가질 수 있는 질량의 한계가 정해져 있습니다. 행성 — 붕괴 없이 견딜 수 있는 질량과 압력에 한계가 있습니다. 가장 큰 행성들은 목성 질량의 최대 13배까지 가질 수 있으며, 그 이상이 되면 중수소를 연소하기 시작하여 갈색 왜성이 됩니다. 갈색 왜성은 핵에서의 약한 핵융합 반응 때문에 매우 차가운 별과 같은 천체(준항성 천체)입니다. 이들은 다시 목성 질량의 최대 80배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별 — 별 역시 붕괴 없이 견딜 수 있는 질량과 압력에 한계가 있습니다. 극대거성과 같은 가장 큰 별들은 태양 반경의 최대 1500배까지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질량은 대략 태양 질량의 150-200배로 제한됩니다. 이보다 질량이 큰 별들은 불안정해져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스스로 파괴됩니다. ⚫️블랙홀 — 질량은 주변에서 끌어올 수 있는 물질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십억 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가장 작은 블랙홀 ⚫️ 과학자들은 외뿔소자리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작은 블랙홀을 발견했습니다. 계산에 따르면, 이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3.04±0.06배이며, 지름은 18.6km입니다. 이 외뿔소자리 블랙홀은 지구로부터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어, 알려진 가장 가까운 블랙홀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아마도 나중에는 더 작은 질량의 블랙홀도 발견될 것입니다. 다만 문제는 작은 블랙홀은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항성 질량 블랙홀은 오직 함께 공통 질량 중심 주위를 도는 이웃 별의 미세한 위치 변동을 통해서만 발견할 수 있습니다. 화성의 구름 ☁️ 화성의 구름은 지구만큼 뚜렷하지 않습니다. 이 구름은 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기 상층부에서 영하 123°C 이하의 온도에서 형성됩니다. 가장 자주 적도 및 극지방에서 관측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화성의 구름이 얇은 흰색 띠나 솜털 같은 덩어리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백색왜성 주위에서도 행성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목성 크기의 외계 행성이 백색왜성 근처에서 형성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행성 중 하나는 WD 1856+534 b로, 2020년에 지구로부터 약 80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 외계 행성은 백색왜성 주위를 매우 가까운 궤도로 돌고 있는데, 이는 이론적으로는 별의 중력 때문에 파괴되었어야 하므로 불가능한 현상으로 여겨졌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행성들이 백색왜성과 그 동반성 사이의 중력적 인력의 결과로 형성될 수 있다고 추측합니다. 이 인력은 백색왜성 주위에 가스-먼지 원반 생성을 유발하며, 이 원반이 회전하면서 새로운 행성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화성에서 가장 컸던, 사라진 호수 유럽 우주국(ESA)은 화성에서 가장 컸던 마른 호수인 에리다니아(Eridania) 호수의 새로운 이미지를 공개했습니다.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 우주선에 장착된 고해상도 카메라를 통해 얻은 이 사진들은 약 37억 년 전에 존재했던 고대 호수의 세부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미지에서는 과거 다른 모든 화성의 호수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물을 담았던 호수의 바닥과 윤곽을 볼 수 있습니다. 크기를 비교하자면, 이 호수는 카스피해보다 더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리다니아 호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말라 버렸고, 화성 표면에 수많은 언덕과 지형 윤곽 형태로 그 존재의 흔적을 남겼습니다. 우리 은하,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오래된 것으로 밝혀져 가이아(Gaia) 우주 관측소의 데이터에 기반한 국제 천문학자 팀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우리 은하에는 수많은 고대 별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별들은 빅뱅 이후 10억 년이 채 지나지 않아 형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은하의 얇은 원반(thin disk)에 위치하며 그 중심 주위를 체계적으로 공전합니다. 일부 별들의 나이는 130억 년을 초과하며, 이는 은하 형성 역사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혀줍니다. 이 발견은 우리 은하 얇은 원반의 형성이 약 80억100억 년 전에 시작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기존에 추정되었던 것보다 40억50억 년 더 이른 시점입니다. 천문학자들은 태양으로부터 반경 3200광년 내의 별들을 연구하여, 그들 중 다수가 초기 우주 별들의 특징인 낮은 금속 함량(중원소 함량)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고대 별들은 우리 태양보다 더 많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은하 진화 초기 단계에서 금속 농축이 더 빠르게 일어났음을 시사합니다. 해파리를 닮은 두 개의 은하 천문학자들은 하와이 주 마우나케아 화산에 위치한 8.2미터 일본 광학 망원경 "스바루(Subaru)"를 이용하여 병합 중인 은하 UGC 9326과 UGC 9327의 이미지를 얻었습니다. 은하들 사이의 중력 상호작용 때문에 그들의 원래 형태가 왜곡되어 해파리처럼 보이게 되었습니다. 이 은하 쌍은 지구로부터 약 7억 7천만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이것은 우리 우주의 두 가지 근본적이면서도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입니다. 암흑 물질은 빛을 방출하거나 흡수하지 않는 물질입니다. 이는 보이는 물질에 오직 중력적 영향만을 미칩니다. 보이는 물질의 질량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은하의 움직임과 은하단의 회전을 관측함으로써 그 존재가 확인됩니다. 암흑 물질은 우주 총 질량-에너지의 약 27%를 차지합니다. 한편, 암흑 에너지는 우주의 가속 팽창을 일으키는 가설적인 형태의 에너지입니다. 우주 총 질량-에너지의 약 68%는 암흑 에너지에 해당합니다. 암흑 물질과 달리, 암흑 에너지는 중력과 상호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인력(끌어당기는 힘)에 대항하는 음(-)의 압력을 가합니다. 중국 과학자들이 초신성 폭발의 초기 단계를 포착했습니다 중국 과학원 산하 윈난 천문대 전문가들이 별의 붕괴 순간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초신성 SN 2024ggi는 지구로부터 약 2천만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관측은 3대의 강력한 망원경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폭발 후 수십 시간 동안 지속적인 고주파 분광 모니터링을 수행했습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싱글벙글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