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런 업적이있는 대통령을 한방에보내다니 시발럼들앱에서 작성

김관진(223.38) 2017.03.11 16:48:05
조회 199 추천 5 댓글 0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초기부터 일관성 있는 대북 기조를 유지하면서 개성공단 중단 등의 압박 정책을 계속 폈다. 종북 논란이 있던 통합진보당을 해산하기도 했다. 북한인권법·테러방지법 등도 성사시켰다. 경제 분야에서는 '창조 경제'를 내걸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을 통한 경제성장을 추진했다. 또 매년 수조원의 적자가 예상됐던 공무원연금을 개혁했다. 하지만 '최순실 게이트'로 각종 외교·안보정책과 경제정책은 중단되게 됐다.

통합진보당 해산은 박근혜 정권의 주요 결과물로 꼽힌다. 2013년 당시 이석기 의원 등이 'RO(지하혁명조직) 사건'으로 구속된 이후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 주도로 이뤄진 통진당 해산은 보수·중도층에서 큰 호응을 받았다. 계속되는 북한의 도발과 핵·미사일 위협의 악순환을 끊겠다는 기조로 마련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남북 간 대화를 중단시켰다는 비판도 있지만, 북한에 끌려 다니던 일방적 남북 관계에 변화를 불러왔다는 평가도 있다.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 위협을 막기 위해 개성공단을 폐쇄하고, 적극적인 외교전으로 북한을 국제 무대에서 고립시키는 전략도 사용했다. 또 중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의 한반도 도입이라는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11년간 국회에 머물러 있던 북한인권법을 제정하고, 북한 등의 테러 방지를 위한 테러방지법을 추진한 것도 주요 정책이었다. 북한 정권의 인권 침해 사례들을 정부가 직접 기록해 보관할 수 있는 내용이 골자인 북한인권법은 향후 북한 집권층의 인권 범죄 처벌 근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 사업 역시 주요 사업이었지만 야당 등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미완에 그쳤다.

박 전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로 청년 실업, 저성장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른바 '창조 경제'를 추진했다. 전국 주요 도시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대기업이 함께 지역 창업가를 후원해 청년 실업 문제와 저성장을 극복하겠다는 내용으로 일정 부분 성과를 냈다는 평가도 나왔다. 청와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2016년 기준 1426억원의 투자 유치 효과를 냈고, 800여개 중소기업의 혁신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여러 대선 주자들 역시 "창조 경제의 기본 콘셉트는 충분히 존중할 만하다"고 했다. 2015년엔 한·중 FTA를 공식 발효시키며 한·중 경제 협력의 전성기를 열기도 했다.

공무원연금 개혁은 박근혜 정부 치적 중 하나로 꼽힌다. 매년 수조원의 만성적 적자를 보였던 공무원연금은 개혁이 필요했지만, 공무원 전체를 적으로 돌릴 수 있다는 점에서 역대 어떤 정권도 손대지 못했다. 하지만 지난 2015년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의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국회를 통과했고, 향후 70년간 333조원의 재정을 절약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근혜 정부 일부 정책은 '최순실 게이트'로 순수성을 의심받기도 했다. 한류의 전 세계적 확산 등을 내건 문화 융성 사업은 최순실·차은택 등의 사적 이익에 이용당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2014년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등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국정 동력이 약화되기도 했다. 정권 내내 경색됐던 한·일 관계를 위안부 합의를 통해 호전시켜 보려 했지만 미완에 그쳤다. 한·중 관계는 정권 초반 경제 협력 등으로 큰 진전을 이뤘으나, 후반기 미·중 갈등의 와중에 사드 배치 등을 둘러싸고 경색된 상태로 임기를 마치게 됐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1530423 나무시발아 ㅇㅇ(223.62) 17.06.07 49 4
1530422 맞다 공덕은 족발로 유명하지 [1] 에도가와(223.62) 17.06.07 102 0
1530421 보형물 삽입시 모유수유때 실리콘 섭취함 [2] ㅇㅇ(223.33) 17.06.07 129 1
1530420 원래 집근처에선 소비욕이 안생김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7 62 0
1530419 족발은 공덕동아님? [3] 발르다 김슨상(223.62) 17.06.07 147 1
1530417 신사동 송이족발이 뭔가 찾아봤다 [5] 에도가와(223.62) 17.06.07 172 0
1530416 옥수동이 지형만 더 좋았어도 한남동급임 [4] ㅇㅇ(1.238) 17.06.07 204 5
1530415 상암 ㅆㅆㅆㅆㅆㅅ(221.142) 17.06.07 153 9
1530414 최진기이새끼도 선대인급이네. [3] 영등포보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7 254 9
1530413 술자리에서 가계부채 말했다가 배부른소리한다고 욕먹었다 ㅇㅇ(223.33) 17.06.07 64 0
1530412 젖탱이 수술한 지지배는 [4] ㅋㅋ(58.143) 17.06.07 457 2
1530411 역시 부갤엔 부자새끼들밖에 없네 [3]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7 121 0
1530408 유동으로 부갤질 꽤 오래 했는데 기억나는 닉들ㅋ [3] ㅇㅇ(49.166) 17.06.07 128 0
1530407 족발은 신사동 송이족발 [3] 영등포보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7 122 0
1530405 가계부채가 어떻다는건 서민은 관심도 없고 대출되냐 안되냐에 관심있더라 ㅇㅇ(223.33) 17.06.07 50 0
1530404 옛날엔 젖 큰 여자 만나기가 쉬웠는줄 아냐 [2] ㅇㅇ(223.62) 17.06.07 364 0
1530403 옥수동 언덕이라 안좋다고 하는데 솔직히 [3] ㅇㅇ(124.53) 17.06.07 320 5
1530402 연신내 ㅋㅋㅋㅋ(221.142) 17.06.07 120 0
1530401 키 160대 체격 외소한 남자는 ㅁㅁ(117.111) 17.06.07 80 0
1530400 나무야 당산에 허브족발 [1] ㅇㅇ(175.113) 17.06.07 56 0
1530399 게으르고 일하기 싫습니다.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2] (124.59) 17.06.07 76 0
1530398 대출규제로 대출문턱올리면 그게 서민괴롭히기 아니냐 ㅇㅇ(223.33) 17.06.07 37 0
1530397 @@요즘 강남에서 핫한 디오픈 가라오케 길대표입니다@@@ @@길대표 @(183.98) 17.06.07 59 0
1530396 배곧은어떤가요 [2] ㅋㅋ(223.62) 17.06.07 221 0
1530394 앞으로 뜰 좋은 곳들 참 많다 밍밍(110.14) 17.06.07 99 0
1530393 육성으로다가 터졌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175.113) 17.06.07 126 1
1530392 서울 행정구역별 지가 상승률 순위 1987->2017 [1] ㅇㅇ(210.91) 17.06.07 260 0
1530391 ltv환원 dsr규제 전월세상한제등 한번 서민들 등돌려봐야 안할듯하다 [1] ㅇㅇ(223.33) 17.06.07 59 2
1530390 맥도날드 강구역 인증하심 3분내로 나갑니다 :) [3]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6.07 103 0
1530388 GTX-A선 개통되면 입지에 대한 정의가 순식간에 바뀔 수 밖에 없음 밍밍(110.14) 17.06.07 254 4
1530387 종부세 때문에 정권교체된걸 뻔히 아는데 또 하겠음? [4] 잠실누나(175.223) 17.06.07 235 5
1530386 옥수동이 한강조망에도 불구하고 왜 폭발적으로 오르지 못하냐면 [8] ㅇㅇ(175.113) 17.06.07 1128 9
1530384 압구정 구현대면 어느정도냐 [5] (223.62) 17.06.07 349 0
1530383 연신내 ㅇㅈ 한다 [2] 밍밍(110.14) 17.06.07 217 1
1530381 호주 부동산 폭락과 홍콩 하락 얘기는 쏙 들어갔네! [2] ㅇㅇ(123.228) 17.06.07 185 0
1530380 상가 공실이 많다는 건 경기가 어렵다는건데 왜 아팟 가격만 상승해? [9] 리얼(123.228) 17.06.07 257 2
1530379 옥수 극동이 현대보다 비싼이유 알려줄께 [3] ㅇㅇ(175.113) 17.06.07 311 8
1530378 형이 점을 쳐보니까 연신내랑 응암역세권이 시세 급등한다거 나옴 ㄷㄷㄷㄷ [1] 부라리(61.72) 17.06.07 111 0
1530377 직장, 사회 생활 할때 자주 쓰면 좋은 말.ex)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1] ㅇㅇ(124.59) 17.06.07 189 4
1530375 목동쪽에는 명문고가 없는게 문제지. [2] ㅇㅇ(59.15) 17.06.07 225 2
1530374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천 송도에 본사 짓는다 [1] ㅇㅇ(59.27) 17.06.07 369 2
1530373 옥수극동이 옥수현대보다 역에서 멀리떨어지고 경사인데 더 비싸냐? [6] ㅇㅇ(203.249) 17.06.07 367 0
1530372 솔직히 말해서 서울지역에서 가장 투자할 만한 동네는 연신내가 절대 갑임 부라리(61.72) 17.06.07 101 0
1530371 연신내 장점이 광화문 종로 상암 배후지역임 그런 동네에 gtx 노선마저 부라리(61.72) 17.06.07 101 0
1530370 gtx 노선이 예정대로 2022년에 완공된다믄 연신내는 공덕 레벨로 시세 [1] 부라리(61.72) 17.06.07 177 0
1530369 연신내역 인근을 눈여겨보는 이유 당연히 지티액스 애이 노선 때문임 ㄷㄷㄷ [1] 부라리(61.72) 17.06.07 218 0
1530367 형이 요즘 연신내 주변 떡방 좆나 돌아다니거 잇다 저렴한 단독매물 잡을려 [2] 부라리(61.72) 17.06.07 181 0
1530366 GTX A 착공 가능성 높아졌다는게 국토부 장관 인선 때문ㅋㅋㅋㅋㅋㅋㅋㅋ [2] ㅇㅇㅇ(223.194) 17.06.07 186 0
1530365 개인적으로 앞으로 서울에서 가장 큰 상승장이 열리는 곳은 연신내역 인근임 부라리(61.72) 17.06.07 133 0
1530364 역세권은 법률적으로 다 정해져 있는데 개소리들 난사하지 마시구요 [1] ㅇㅇ(210.91) 17.06.07 9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