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고객 예금 15억 빼돌려놓고…돌연 자수, 왜? 깐부
- 정보 얻으려고 맘카페 갔는데 수준 떨어진다는 블라인 ㅇㅇ
- 진호햄 모든걸 준비하고 있었노 ㅋㅋㅋㅋㅋ ㅇㅇ
- 가속 페달 끝까지 밟았더니...울산 택시에 시범 설치 깐부
- 와들와들 싱붕이들은 입구컷 당하는 정자기증센터 기쁜사람
ㄱㅇㄷ) 기계식 시계의 역사
비록 진자의 등시성을 발견한 건 갈릴레이(1564-1642) 였지만 유럽에서 기계식 시계의 역사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감.그럼 그때는 뭘로 시간을 쟀냐 하면 폴리오트(foliot) 라고 하는 물건임.구조는 매우 간단한데, 막대기 양끝에 추를 매달아놓으면 됨. 여기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F=ma니까 회전가속도가 일정함.현재의 기계식 손목시계들도 진자가 아니라 오히려 이 폴리오트의 직속후계인 밸런스휠로 무브먼트를 구성함.그렇다면 여기에 일정한 힘을 어떻게 가하냐면 그냥 원통에 밧줄로 감아서 밧줄 끝에 추를 매달면 끝임.여기에 버지 탈진기라는 원시고대 탈진기를 결합하면 무브먼트가 완성되고 이걸 이용한 시계가 기록상으로는 13세기까지 거슬러올라감.1379년 제작된 시계의 폴리오트 그림폴리오트 무브먼트의 작동방식 gif16세기의 폴리오트 벽시계태엽도 역사가 생각보다는 오래되었는데 15세기부터 메인스프링, 즉 원시고대 태엽이 있었음.구조는 태엽이랑 거의 비슷하지만 태엽만큼 얇고 탄성이 좋지가 않아서 납작한 원통케이스 안에 집어넣어서 썼고 지속시간도 기껏해야 반나절 수준이었다고 함.그리고 바짝 당겨졌을 때와 거의 다 풀렸을때 탄성력이 차이나는 걸 보정하기 위해 여기에 원뿔형으로 체인을 감아 많이 감겼을때는 직경이 작다가 체인이 많이 풀리면 직경을 크게 해서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퓨지(fusee) 같은 부품도 발명됨.현존 최고(最古)의 메인스프링 시계는 1430년경 제작된 부르고뉴 공작(선량공 필리프 3세)의 시계로 현재 뉘른베르크 박물관에 있음.이게 그 레플리카임
작성자 : 대붕이고정닉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