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플레이션

쿠팡매매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5.20 15:55:01
조회 34909 추천 190 댓글 149


viewimage.php?id=23b8df35f1dd3bad&no=24b0d769e1d32ca73dec8efa11d02831b210072811d995369f4ff09c9fd14d9e2f127698f0c8addd260b01fc67d8d96347125ebd9090ea2fe2b12eb734771dbb466551




코로나 폭락장으로부터 정확히 1년이 지났습니다.


그래서 4월 비농업 고용지표가 무척 중요한 지표였고, 인플레이션과 테이퍼링에 대한 우려로 시장이 흔들렸다가 고용지표 쇼크 나오고선 오히려 증시가 달렸습니다.


그리고선 시장은 이 고용지표가 일시적일 거라며 다시 인플레이션과 테이퍼링을 우려하며 자산시장에 조정이 나오는 모습인데요,


특이한 건 이번엔 "모든 자산"의 가격이 빠지고 있다는 겁니다.


그 전에 증시만 빠졌을 땐 비트코인, 오일, 기타 원자재 등은 물론 각의 이유가 따로 있긴 하지만, 어쨌든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며 자산가격이 상승했는데


이번엔 이 가격이 빠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만약 시장이 정말 인플레이션을 우려하고 금리가 상승할 거라고 생각했다면, 사실 진작 원자재들도 빠졌어야 맞습니다.


지금의 모습이 진짜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로 자산시장의 가격이 빠지고 있는 모습이 아닌가 싶습니다.



현재 snp, 나스닥 할 거 없이 미 증시에 조정이 나오는 흐름인데, 또 또 그놈의


"FOMC를 앞둔 불확실성 증대"라는 이름 붙여서 지랄입니다.


이쯤되면 병입니다, 병.


fomc 회의록 공개는 fomc 회의 2주 뒤에 발표가 되는 것이고


그동안의 연준 인사들의 발언을 보면 이번 fomc에서도 딱히 새로울 내용이 없을 가능성이 큰데


사실 이번 fomc 회의록 공개에 대한 우려가 아닌


"그 다음 단계"에 대한 우려가 아닌가 싶습니다.



어제 모 유튜버 영상 가져와서 인플레 지랄하는 거랑 해당 영상의 댓글을 보고


진짜 머리가 어지러워서 당장이라도 주식 다 빼야하나 그런 생각(현타)이 처음으로 들었었습니다.


'인간지표' 댓글들이 어지러웠고


정말로 주식시장에 이런 돈들이 무지성으로 몰려와있는 건가 하고 처음으로 느꼈습니다.


실물을 직접 보니 느낌이 다르더라고요.


연준의 평균물가목표제(AIT)를 언급하며 이걸


"물가상승 가지고 테이퍼링이라든가 금리 인상에 대한 얘기도 꺼내지 말라"는 뜻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영상에다


와 정말 대단하다느니, 이런 걸 이해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냐느니


댓글들이 정말 처참했습니다.




옐런이 금리 인상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발언, 카플란이 계속 테이퍼링을 주장하는 모습은


작년 모두가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지속해야함을 말하던 분위기와는 조금 달라진 모습입니다.


투자자라면 이런 변화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이 말의 뜻은 경제위기로부터 벗어났다고 판단이 된다면 그때는 자산매입을 축소한다는 뜻인데,


이에 대한 판단은 고용지표와 평균 인플레이션이 됩니다.


평균 물가 상승의 속도는 연준의 정책 판단에서 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평균물가목표"의 뜻 자체가 인플레를 무제한 허용하겠다는 뜻이 아니니까요.




인플레이션에는 공급 측면의 인플레이션과 수요 측면의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공급 측면의 인플레이션은 지금과 같이 자산 가격이 급격하게 뛰고 소비의 여력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공급의 측면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며 물가가 뛰는 현상입니다.


지금의 모습과 비슷합니다.


이번 원자재 랠리의 모습과 비슷하고, 이런 인플레이션은


1) 수요가 뒷받침 되지 못하면 결국 가격이 정상화되며 오래가지 못하거나


2) 자산가격이 오르는데 총수요가 받쳐주지 못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가거나


3) 자산가격이 계속 상승하는데 고용률이 높아 총수요가 계속 증가하며 같이 선순환의 인플레이션을 만들게 됩니다. 이때가 경제의 활황기인데, 기존에 연준이 돈을 많이 풀었던 걸 생각한다면, 이 상황에서도 결론은 금리 인상으로 가게 되겠죠.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경기가 활황으로 접어들며 총수요의 증가로 물가가 상승하는 모습인데,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결국 꾸준한 인플레이션 압력, 즉 임금의 상승압력이 필요합니다.


지금 경제의 모습은 고용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공급 측면의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서 연준이 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다음의 2가지입니다.


1) 자산 가격은 높이 뛰는데 실업률은 하락한다. 실업률이 증가하고 총수요가 감소하는데 물가만 높이 뛴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되는 겁니다. ->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 해야함



2) 자산 가격이 상승하며 인플레의 일시적 슈팅이 나왔지만 고용이 정상화되며 총수요가 회복되고 경제가 다시 균형상태를 찾아간다.


-> 연준이 말한 AIT의 목표를 달성했기 때문에 테이퍼링 실시, 다음은 금리인상.


그러니까 선택할 수 있는 답안지가 2가지라는 겁니다.


인플레를 무한으로 허용하고, 양적완화를 무한으로 허용하고, 고용률에 관계없이 자산가격의 상승을 무제한으로 허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고용 부족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업급여 중단 날짜가 9/6일이기 때문에 여름부턴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나설 것이고


연준 연구원들이 여름에 기대인플레이션을 조사하러 다닐 거라는 정보를 조합하면


고용이 정상화되는 즈음의 8월 말 잭슨홀 회의에서 테이퍼링 실시를 언급하지 않겠냐는 것이 하나의 시나리오인데


이 뒤는 결국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을 얼마나 빨리 할 것이냐, 속도의 문제로 귀결되게 됩니다.



이에 대해선


1) 스태그플레이션이 오면 연준도 어쩌지 못할 것이다, 금리인상을 과격하게 할 수 밖에 없다는 의견과


2) 연준은 최대한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으려고 노력할 것이라는 의견으로 나뉩니다.



지금의 상황을 보면 1)번의 의견이 더 타당해보일 근거가 분명 많습니다만


그래도 저한테 뭘 선택할래라고 묻는다면


저는 그래도 2)번으로 하겠습니다.


뚜렷한 그거가 있어서라기보다


1)번이 아니었으면 하는 바람, 애써 부정하고 싶은 마음, 욕심에 가깝다면 가깝습니다.


그냥 그게 아니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크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서두른다면, 신흥국에서 빠르게 반응이 옵니다.


그나마 우리나라 정도면 좀 아프게 얻어맞고 말 정도겠지만,


정말로 금융시장이 약한 이머징 마켓들은 큰 충격이 올 수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어디 이머징마켓 좀 죽는다고 전 세계 증시에 큰 문제가 생기진 않겠지만


작은 신흥국이 불러온 금융충격이 나비효과처럼 번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시장충격을 최소화하는 것 또한 연준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는 것만큼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는 쪽입니다 저는.


경제학은 과거의 실수들로부터 배우고 반성하며 그것을 반복하지 않으려고 하고


연준은 버냉키 시절 양적완화를 중단하며 남유럽이 무너지며 유럽 전체가 흔들리고, 따라서 전세계 증시가 영향을 받았던 과거를 기억하고 있을 테니까요.



8월 잭슨홀 회의에서 테이퍼링 선언 없이, 별 일 없이 그냥 넘어갈 수도 있겠죠


피터린치 선생님의 말씀처럼 시장을 함부로 예측하려 해선 안 될 것이고, 하나의 경우의 수 정도로만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를 발표하는 순간 그 바로 '전'이 풀린 유동성들이 덜덜 떨게되는 시점일 것이고


저는 비트코인이 크게 하락한 것이 지금의 매크로 상황과 멀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애초에 비트코인이란 게 풀린 유동성들이 화폐가치를 지키기 위해


'자산 -> 무언가'라는 논리를 채우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쓰였다고 생각했고


유동성 파티가 끝난 시점엔 언제 그랬냐는 듯 조용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디파이니 뭐니 온갖 알아들을 수도 없는 난잡한 용어들로 무장하는 걸 보고


'알 수 없는 것', '알지 못하는 것'은 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면 최선이었을 것이고


나는 이게 사기인 줄 안다, 하지만 나는 돈넣고 돈먹기 하러 가겠다, 라고 생각했으면 차선이었을 것이고


"4차산업 혁명으로부터 시작될 정부의 해체와 달러의 탈존엄성이 어쩌고,,," 하며


정말로 이것이 미래를 바꿀 기술이라고 믿고 덤볐다면


그것이 최악이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주식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90

고정닉 13

44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22473
썸네일
[유갤] 광기의 미대생 졸업작품.jpg
[434]
ㅇㅇ(212.103) 04.11 36227 363
2224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에서 보수, 진보 정치용어 기원
[38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4138 317
222470
썸네일
[프갤] 【Full번역】존나 쩔었던 폴헤이먼 명예의 전당 연설 (1부)
[132]
ㅇㅇ(14.42) 04.11 15230 382
222469
썸네일
[기갤] 아빠가 최수종이라서 인생이 힘들다는 딸
[397]
긷갤러(45.12) 04.11 33907 449
22246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말죽거리 잔혹사 의외의 진실.JPG
[220]
Secret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5914 227
222466
썸네일
[국갤] [공식] 한동훈 기자회견문 전문
[13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44080 921
222465
썸네일
[힙갤] 미노이 사건 입장문 웃긴 점
[165]
ㅇㅇ(118.235) 04.11 30914 24
222464
썸네일
[보갤] 사회성이 모자란것 같다고 사회성 훈련 시작한다는 윤성빈
[232]
보갤러(194.99) 04.11 36014 48
222462
썸네일
[카연] 만화팔이 소녀
[168]
G.C(121.140) 04.11 19320 528
222460
썸네일
[야갤] 국민의 힘 대패한 결정적 이유
[1958]
ㅇㅇ(49.172) 04.11 137770 3681
22245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요리 못하는 사람들만 모은 베이킹 서바이벌.jpg
[78]
BlackWolfStudi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9961 69
222456
썸네일
[나갤] 24년 기대작 나는솔로 모태솔로 특집 리뷰 8탄.jpg
[202]
ㅇㅇ(118.235) 04.11 41282 537
222454
썸네일
[싱갤] 싱글정글 초등 급식 클레임
[3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9150 194
222453
썸네일
[야갤] 기안84가 후배들한테 열심히 하라고 말 못하는 이유
[426]
야갤러(5.252) 04.11 31503 330
222452
썸네일
[상갤] 웨스트월드 드라마가 망했던 이유ㅋㅋㅋ..jpg
[1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9349 234
222450
썸네일
[일갤] 성지순례 도쿄 혼여 3일차
[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9337 28
222449
썸네일
[기갤] 판) 지인들과 여행에서 누가 잘못한건지 봐주세요
[107]
긷갤러(45.84) 04.11 16166 31
222446
썸네일
[미갤] 프랑스 여자가 말해주는 한국 남자랑 사귄 후기 .jpg
[3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8839 378
22244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 식당에서 10년 일한 베트남 아주머니의 근황
[3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8102 302
222444
썸네일
[야갤] 황립 금오공대.......... 에타의 현자.jpg
[882]
(182.214) 04.11 73097 2776
222442
썸네일
[이갤] 아이가 큰돈을 잃어버렸어요…
[393]
슈붕이(146.70) 04.11 36545 116
222440
썸네일
[싱갤] 화남화남 도라에몽에서 제일 화나는 새끼.jpg
[2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1035 353
222438
썸네일
[박갤] 나고야 갔다 와서 놀란 후기
[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6118 48
222437
썸네일
[야갤] 대만 입국하자마자 꽁돈벌어서 기분 좋아진 여행 유튜버
[143]
야갤러(211.234) 04.11 25634 65
222436
썸네일
[싱갤] 도로 표지판을 위조한 미국인.jpg
[1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1823 413
222434
썸네일
[야갤] 연령별 득표율 떳다 ㅗㅜㅑ.jpg
[168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73541 534
2224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표차이 당선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
[2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7807 321
222430
썸네일
[기갤] 한국 여자가 일본에서 학교다닐때 겪었던 교토화법 실화
[305]
긷갤러(139.28) 04.11 31683 167
22242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엔씨소프트 부고소식 알려드립니다
[154]
ㅇㅇ(222.116) 04.11 44481 218
222426
썸네일
[야갤] 한덕수 국무총리 사의 표명...jpg
[650]
메좆의야짤타임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6530 573
222425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군대 이야기 + 추가내용 그리고 중대장
[351]
티타늄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7343 199
222424
썸네일
[부갤] 슈카월드네 여직원이 이마트 주식을 매수한 충격적인 이유
[303]
부갤러(146.70) 04.11 37310 258
222422
썸네일
[해갤] 오늘자 이강인 주요장면 모음.....gif
[186]
메호대전종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2776 267
2224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죽음의 껌. 빈랑
[26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8672 201
222420
썸네일
[미갤] 줄리엔강이랑 스파링 해봤다는 김동현 근황 ㄷㄷㄷ...jpg
[1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7425 90
22241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현실에 나타난 이세계 만화 주인공 ㅋㅋ
[29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9261 466
222416
썸네일
[국갤] 벌써 부ㅈ선거 얘기 나오고있네
[8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9991 599
222414
썸네일
[트갤] 연회장 대회에서 클레이로 음식 만들어봄
[42]
편의점엘다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5784 48
22241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닝지구촌 0411
[54]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5334 57
222412
썸네일
[캠갤] 사람 4명이나 죽었네
[285]
신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41758 129
2224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도봉구
[2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6208 379
222409
썸네일
[천갤] 천안 성환시장의 첫번째 국밥집 순대국밥 리뷰
[88]
ㅇㅇ(203.232) 04.11 13887 90
222408
썸네일
[보갤] 감스트 재결합 이후 또다시 헤어짐ㅋㅋㅋㅋ
[356]
보갤러(220.65) 04.11 48772 326
22240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마이클잭슨과 밴드 퀸의 일화
[107]
권유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4497 112
222405
썸네일
[야갤] 여조ㅆ창난 부산이 뒤집을수 있던이유...jpg
[607]
ㅇㅇ(220.65) 04.11 46706 1429
22240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인이 술에 관대한 이유
[265]
ㅇㅇ(180.70) 04.11 45732 175
222401
썸네일
[일갤] 통기타로 일렉만든다고한 사람임 만들어옴 3만원으로
[73]
파란호각(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8606 99
222400
썸네일
[만갤] 그와중에 현재 ㅈ된 오등분의 신부 상황 ㅋㅋㅋㅋㅋㅋㅋㅋㅋ
[288]
성덕라이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40129 326
22239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이대녀 정치성향이 무서운 이유
[8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42622 749
222397
썸네일
[디갤] 갈곳없는 스위스 자투리 사진
[19]
온난전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6415 3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