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건축의 이해 - 10부 [탑파건축 각론 上]앱에서 작성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7.01 09:30:01
조회 5788 추천 34 댓글 38

이미 언급한 바 이번 글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탑파건축의 흐름을 알아보려 함.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824ea0c4624529e16e63277940381e602a7644d8909788f382e296b9ee82f075d2adb5c

[익산 미륵사지 석탑(639), 국보 제11호. 사진 : 문화재청]

최초의 석탑이라고 할 수 있는 미륵사지(彌勒寺址) 석탑은 모든 부재가 목탑과 같이 조립식인 이른바 조립형 석탑이었음.

7fed8272b5846af751ee87e04f837773ee409a7a911dfd1f9dea7c1d0106252c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국보 제9호. 사진 : 문화재청]

639-660년경 제작된 정림사지(定林寺지) 오층석탑은 여전히 조립형 석탑으로 미륵사지석탑을 계승했지만, 미륵사지석탑에서의 강한 모방성을 탈피하고 석탑으로서의 독창성과 추상성이 나타나기 시작했음.

7fed8272b58068f751ef8ee44e847d73f9f994525b1ad77507c9bd7da2bcf218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682), 국보 제112호]

통일신라 석탑의 출발점은 감은사지(感恩寺址) 삼층석탑임. 감은사는 신문왕이 자신의 아버지 문무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찰로, 문무왕릉이 보이는 언덕 위에 세워졌음. 정림사탑과 최소 22년의 격차가 있는데, '석탑'이라는 개념에 있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듦. 감은사탑 또한 탱주와 면석 등 여러 부재를 결합한 '조립형 석탑'이었음.

7fed8272b5846af451ed86e5428372733c668bf2d57018ffb07c5a181253e7a9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초층 옥개석.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은 최초의 신라계 석탑이었기에 목탑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 비록 목탑에 견줄 수는 없으나, 감은사탑은 최초의 석탑임과 동시에 가장 큰 규모의 통일신라계 석탑임. 이렇게 큰 규모는 제작하기도 어렵고 비효율적이기에 점차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

7fed8272b5846af451ed86e543807073bfb3485e90e48910897b47b35a4e579b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노반.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은 최초의 석탑으로, 여러 시행착오가 많았을 것으로 생각됨. 동탑과 서탑을 비교하자면 동탑이 서탑보다 먼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동탑에서 보인 찰주공의 문제점이 서탑에서 해소되었으며, 이후 제작된 고선사탑도 서탑과 같기 때문임.

7fed8272b5846afe51ef8ee645817473b376cf1a1a47d76cda6ad733ff550c80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의 기단부 탱주 수(양쪽 끝 기둥 사이의 기둥 수)는 하층기단에서 3개(4칸), 상층기단에서 2개(3칸)임. 고선사탑도 마찬가지인데, 탱주의 수는 신라 후대까지 점차 수가 줄어드는 양상으로 변화하였음. 따라서 석탑의 편년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음. 아래에서도 여러 번 언급되니 잘 살펴보기 바람.

7fed8272b5846af451ed86e544847273e0cd885d80573478aef5e10503b0ebb7

[감은사지 삼층석탑 옥개석.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은 이후의 석탑들과는 달리 옥개석을 4분할하여 이어붙였음. 이런 4분할 옥개석은 감은사탑 등 초기 석탑들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임. 현재는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에서만 확인할 수 있지만, 아래의 봉화대곡 탑재를 보면 이런 형태의 탑이 더 있었음을 알 수 있음.

7fed8272b58068f751ee84e44480747383450231b802973dadffaa6dd25cedf7

[경주 남산 봉화곡 제1사지 옥개석 탑재]

이렇게 여러 부재로 이루어진 옥개석은 상단에 나비장을 통해 고정하였음. 나비장이란 나비 모양(▶◀) 금속부재로, 석재를 접합시키는 역할을 함.

a76f0daa260e072cbd7f5a51d65dc6f1ad41ccd3364eb29ef948c2e0c533ad0d1b669275b8202de8e60fa4a820c3fe91

[암곡동 시절 고선사지 석탑. 1975년 이전 촬영. 사진 : 문화재청]

고선사(高仙寺)는 본래 감은사가 있던 감포에서 경주 시내로 들어오던 추령 고갯길을 넘으면 나오는 암곡동에 있던 사찰임. 고선사는 원효대사가 주지로 있었던 사찰인데, 원효는 686년(신문왕 6) 입적하였으며 앞서 말한대로 682년 건립된 감은사탑보다는 연대가 늦으므로 682년부터 686년 사이의 시기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1975년 덕동댐 건설로 수몰지구에 포함되자 경주박물관으로 이전되었음.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ca34e83d1d7c8b1b6c6c403550c899be43e1327c5d19c18dbc6223aeeb90a44

[고선사탑과 감은사탑 비교. 표 : 「감은사지 쌍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 비교 고찰」 (한정호, 2010)]

고선사지 삼층석탑은 감은사지의 두 탑과 규모나 구조적인 면에서 완전히 동일하여 같은 조각집단에 의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감은사 쌍탑이 고선사탑보다는 먼저 제작되었지만, 거의 같은 시기의 작품임.

7fed8272b5846af251ee82e44f837473ce94f6236510fe49888cd3e9ff31d203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2층 탑신. 사진 : 문화재청]

탑신석을 잘 보면 2층 탑신석이 하나의 돌이 아님을 알 수 있음. 초기 신라 석탑은 2층 탑신까지 내부를 비우고 돌로 채웠는데, 당시 기술로는 어느 크기의 돌까지 들어올릴 수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음.

a65234ad2c06072cbb725d66c2eeaeefd588ae3b268ae41cac6576aaf4a6f70f20791b9690f512e10f9991699e76d47bcf3f1999a57a447dbbc597a6b55bff68e9104e1ae2c1b234137bb9a7a5d113d8dfe6a9cb2aeb9ab3215571a42fba06630eccffe48f1ca19372ce1b4c52a4cf22be

[감은사지 삼층석탑 종단면도. 도면 : 문화재청]

위 그림과 같이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은 2층 탑신까지 내부가 비어 있어 돌을 채워 넣었음을 알 수 있음.

7fed8272b5846af751ee85e447847173ad6e93164206648acf99b76c00a6ed18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국보 제38호. 사진 : 문화재청]

이렇듯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은 신라 최초의 석탑들로 규모가 몹시 커 장중함이 돋보이지만 동시에 경쾌한 반전으로 마냥 무겁게만 보이지는 않음.

7fed8272b58068f451ee85e5428273738fd97b33be01f98b5a1c0a6afe6dbfb4

[경주 구황동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692), 국보 제37호]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이 세워진 지 약 15년 이후인 692년(효소왕 1) 세워진 전 황복사지(皇福寺址) 삼층석탑은 시간차는 몹시 작지만 꽤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음.

7fed8275b48068f351ee87e54e8276734da25382911c8d4e6582407b6b12d851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 금동사리외함 뚜껑 명문]

1942년 조사에서 석탑 내부에서 사리함이 발견되었음. 사리함의 뚜껑에는 명문이 있어 탑의 건립 경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 수 있었음. 명문에 따르면 황복사탑은 692년 32대 효소왕(孝昭王)과 효소왕의 어머니이자 신문왕의 부인인 신목태후(神穆太后)가 신문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들었으며, 700년 신목태후가, 702년 효소왕이 사망하자 그의 동생 33대 성덕왕(聖德王)이 효소왕의 명복을 같이 빌며 706년에 추가로 공양품을 봉양했음이 적혀 있음.

7fed8274b5806af551ee8ee642817d73b9f2f46171b4a548fa424894c5e59b61

7fed8274b5806af551ee8ee6428073737d9d9f3e963e32b2976899adecde7b4e

[구황동 금제여래좌상(上), 금제여래입상(下). 국보 제79, 80호.]

금동사리함 내부에서 발견된 두 구의 불상은 국내에 전하는 몇 안되는 순금불상으로, 조성양식에 차이가 있어 입상이 692년 최초 봉안 시, 좌상은 706년 2차 봉안 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두 불상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3층에서 볼 수 있음. (금동사리외함은 1층에서 전시중임)

7fed8272b5846af251ee83e446857d73824f11d2ae16e1c0091c14879ad9ff3a

[경주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 탑신부. 사진 : 문화재청]

황복사탑은 이전의 감은사탑이나 고선사탑에 비해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음. 또한 기단이 높아지고, 여러 장의 석재를 붙여 만들던 옥개석은 단일 석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변화하였음.

7fed8272b5846af751ee81e140847673c753494c554d1b0b531b129b1091ebaf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기단부의 탱주 수를 본다면 상층기단은 2개(3칸)이 유지되고 있지만 하층기단은 기존의 3개(4칸)에서 2개(3칸)으로 줄어들었음. 아래의 라원리탑과 창림사탑에서는 아직 하층기단 탱주가 5개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두 탑을 좀 더 이른 시기의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음.

a76f0daa260e072d8c475a4ee65ae2f1ebcb132330f4ceff938bab7118b9178d1b2c9785a2835ddc2f599ce0cf108fad

[경주 라원리 오층석탑, 국보 제39호. 사진 : 문화재청]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과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경주 현곡면의 라원리사지 오층석탑은 황복사탑과 형태가 꽤나 유사한데, 탑신의 부피가 커서 당당함이 묻어남. 전반적으로 사용된 화강암의 재질이 이끼가 잘 끼지 않아 나원백탑이라고도 불림.

7fed8272b5846af251ee81e441807373632028cda23d855e6f9536445583007d

[경주 라원리 오층석탑 초층 탑신. 사진 : 문화재청]

이 탑은 황복사탑과 같이 옥개석을 한 매의 석재로 구성하였지만, 옥개석의 크기가 4×4m로 몹시 커서 감은사탑이나 고선사탑과 같이 옥개석을 상하로 분리하였음. 대규모 석탑들은 이와 같이 옥개석을 상하 2매의 석재로 조립하는 경우가 있음.

28bc8819b5816c9967ed98bf06d60403acef87cb8df94fd733e34e

[라원리 오층석탑 옥개석 해체 모습. 사진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이렇게 최초 석탑인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에서 초기 석탑인 황복사탑, 라원리탑의 세대로 넘어가면서 탑의 규모는 줄어드는 양상이 나타났음. 한편, 탑신석의 폭에 대한 옥개석의 폭이 이전에 비해 줄어들며 이전에 비해 부피감이 커지며 당당한 인상을 줌.

7fed8272b5846afe51ef8ee7438074739a2caf24d0aa037d2e68140ae83b01c8

[라원리 오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라원리탑의 하층기단 탱주 수는 3개인데, 이것을 근거로 황복사탑보다 고식으로 추정되기도 함.

7fed8272b5846afe51ef8ee44e857773ec0adbccdd555664985409ee710fbc4f

[경주 천군동 동 · 서 삼층석탑, 보물 제168호. 사진 : 문화재청]

천군동사지의 쌍탑 또한 감은사탑과 불국사탑 사이의 작품임. 이 시기 작품 중에서는 유일한 쌍탑인데, 전반적인 비례감이 황복사탑과 많이 유사함.

7fed8272b5846afe51ef8ee745807c737b58508a60927807ff4c16b3d8f756e1

[천군동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황복사탑과 동일하게 기단부 탱주는 2-2로 유지되고 있음.

7fed8272b5836bf751ee80e547817373cfa7ea7ced73587eb2e2302ac33ab60d

[경주 창림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1867호]

감은사탑, 고선사탑부터 불국사 삼층석탑 사이의 기간 동안 제작된 석탑은 나원리탑과 황복사탑만 찾아볼 수 있는데, 이외에도 이 시기의 탑으로 추정되는 것이 있음. 바로 창림사지 삼층석탑인데, 전반적인 비례가 황복사탑과 몹시 유사함. 1824년 추사 김정희가 창림사탑 안에서 발견한 무구정탑원기에 의하면 855년 제작되었다고 적혀 있어 이때 제작된 것으로 보았으나, 창림사지에는 탑이 여러 기 있었기에 이 탑이 반드시 9세기의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음.

7fed8272b5846afe51ef87e14e82747367d846db623f33f3cb2aeb3b2cdd3307

[창림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창림사탑을 7세기 말의 작품으로 보는 측에서는 하층기단은 탱주가 3개(4칸)인 점을 드는데, 황복사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층기단 탱주가 3개로 나타나는 것은 황복사탑 이전의 극초기 양식이기 때문임.

하지만 상층기단 탱주가 1개(2칸)으로 줄어든 것은 불국사탑 이후에나 나타나는 양식이고, 특히나 팔부중상이 새겨지기 시작한 것은 8세기 말부터인데, 이 때문에 반드시 황복사탑 전후의 양식으로 단정할 수는 없음. 아직까지는 조성시기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해 보임.

7fed8272b5846af751ee85e4428572739228118afdf10653b51ceaa0301bc63d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742), 국보 제21호. 사진 : 문화재청]

682년 감은사탑 이후 석탑의 조영은 점차 규모가 합리적으로 축소되고 기존의 '목탑성'에서 탈피해 석탑 고유의 개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변화했는데, 그 변곡점상에 서 있는 탑이 바로 불국사 삼층석탑임.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5e6b721be3c53a0bfb92aa4a3787f6c3ff750718c69531251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진 : e뮤지엄]

불국사 삼층석탑, 일명 석가탑은 742년(경덕왕 1) 옆의 다보탑과 같이 쌍탑으로 제작되었음. 나원리탑이나 황복사탑의 경우에는 초층 탑신석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에서 정사각형에 가깝다면, 불국사 삼층석탑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임. 이런 변화를 통해 더 상승감 있고 날렵해진 인상을 줌.

7fed8272b5846af251ee81e1458071731adc75a222ec9594d9443d30f200cc59

[경주 장항리사지 서 오층석탑, 국보 제236호]

경주의 둘뿐인 오층석탑인 라원리탑과 장항리탑을 비교해본다면 인상이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라원리탑은 탑신이 비대해 당당하고 무거운 느낌을 준다면, 장항리탑은 상승감 있어진 모습임.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5e6b425ba394d3b8f19cddcfa385bca3b4ad1d9e2e429f23d

[무너진 장항리 오층석탑. 사진 : e뮤지엄]

참고로 장항리탑은 잘 본다면 유독 여기저기 불규칙적으로 깨진 곳이 많음. 이는 1923년 탑의 사리장치를 노린 도둑들이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하여 폭파되었기 때문임. 위 사진과 같이 몇 년간 무너져 있다가 1932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었음.

7fed8272b5846af351ee83e1468572737f2833f4ae17160f748b891088670cc4

[경주 마동 장수곡 삼층석탑, 보물 제912호. 사진 : 문화재청]

불국사 삼층석탑이 제작된 이후 불국사탑을 계승한 탑들이 많이 제작되었음. 8세기 말까지 주류 석탑들은 불국사탑을 충실히 모방하여 상층-하층기단의 탱주가 2개-2개(각 3칸)으로 조성되었음. 불국사 바로 옆 언덕에 있는 마동 삼층석탑은 석가탑을 계승한 좋은 예임.

7fed8272b58068f551ee82e742817c73f822a3dac17c6bf3346ceafd3a697135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국보 제34호]

이 시기에는 경주지역 밖에서도 많은 석탑들이 지어지기 시작했음. 가장 대표적인 것이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임. 술정리 삼층석탑은 경주에서 조각공들을 파견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각의 수준에 있어 불국사 삼층석탑을 능가할 정도로 뛰어나기 때문임. 지금 보더라도 일부 깨진 부분만 감안한다면 현대의 작품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보임.

7fed8272b5846af351ee83e0478274734cc3533f5ec3bbeb0b965edf5cebc116

[청도 봉기동 삼층석탑, 보물 제113호. 사진 : 문화재청]

청도 봉기동 삼층석탑 또한 이 시기의 대표적인 탑임. 상층-하층기단 탱주 개수가 4개-4개를 유지하고 있어 전성기 신라석탑을 계승하였음. 술정리와 봉기리의 삼층석탑은 사찰의 내력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두 탑이 위치한 지역은 각각 비화가야와 이서국이란 강력한 세력이 존재했던 곳임. 이들은 삼국 통일 이전 시기에 신라에 복속된 지역으로 통일 이후에는 백제, 고구려 지역들보다는 당대에 더 영향력 있는 집단이었을 거임. 이러한 배경이 이 지역에 수준급 석탑들이 제작된 이유가 아닐까 싶음.

7fed81716e37dc2d815be93eda09a9c4fe115a48491c6997376e06c774f5f667f1f786f2ce258a6fde32295e34870ab864bb01b706a7c81cfd67f0

[김천 갈항사지 서 삼층석탑(758), 국보 제99호. 사진 : 문화재청]

갈항사지(葛項寺址) 쌍탑 또한 불국사탑과 14년 차이로 제작된 탑인데, 상층기단 면석에 이두문으로 758년(경덕왕 17) 후일 원성왕이 되는 김경신의 어머니 조문왕후 3남매에 의하여 제작되었음이 쓰여 있음.

7fed81716e37dc2d815be93eda09a9c4fe115a48491c6997376e06c774f5f667f1f786f2ce258a6fde322a066a8a3a8198a84f92a11a0fda2c70ed2b86f3

[김천 갈항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이렇듯 8세기 중반, 석가탑과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탑들은 날렵하게 변화한 새로운 신라석탑의 비례를 따랐으며 탱주 수는 상하 2개로 유지되었음.

7fed8276b58a69f451ee83e543827773d36f04d666b12328d6c59e066b025903

[산청 단속사지 동 · 서 삼층석탑, 보물 제82 · 83호]

단속사지(斷俗寺址)의 쌍탑을 보면 상층기단 탱주 수가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음. 후대로 갈수록 표현이 간략화되며 상층기단의 탱주 수는 2개에서 1개(2칸)로 변화하였음. 8세기 후반부터 이런 모습이 나타났고, 9세기부터는 상층기단 탱주가 1개인 것이 정형화되었음.

7fed8272b5846aff51ef8ee44285767334f87f19b46cd9f368ea97d75ebe89df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이런 변화는 탑 자체 규모의 축소도 수반했는데, 이건 왕실세력이 축소하며 중앙집권력이 떨어진 영향도 컸음. 36대 혜공왕이 폐위된 이후 내물왕계 세력인 원성왕이 집권하여 한동안 중앙집권적 체제가 유지되는 듯했으나, 애장왕, 희강왕, 민애왕 등 그 후손들이 서로 반목하며 시해되는 상황이 지속되었음. 이런 상황에서 호족 세력이 힘을 키우며 사회가 혼란해진 탓에 이전 시기와 같은 완성도 높은 탑들은 제작되지 못했음. 자세한 이야기는 11부에서 설명하겠음.

7fed8272b5846bf651ee86e1408073737d254e8ac8369e9878cd6226ab227c19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382호. 사진 : 문화재청]

청송사지(靑松寺址) 삼층석탑에서도 1개로 줄어든 상층기단 탱주를 확인할 수 있음. 9세기 초 전형적인 석탑의 조성임.

7fed8272b5846bf651ee86e140817c735b2c8e27c94e6e9dc9e01f58e25b5000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상층기단과 달리 하층기단은 여전히 2개의 탱주가 유지되고 있음. 또한 하층기단 갑석의 경우에도 앞선 탑들에 비해 정밀도가 한참 떨어진 모습임.

7fed8272b5846bf651ee86e043847073dc4961ec5804ee965ea5c08b9ce9d20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870), 국보 제44호. 사진 : 문화재청]

옥개석의 비례 또한 이전 불국사탑 시대의 것과는 다른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음. 870년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림사 쌍탑은 탱주 수가 상층기단 1개, 하층기단 2개로 9세기의 전형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분이 단순화되고 특히 옥개석의 반전이 과하여 불국사 삼층석탑의 세련미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음.

7fed8272b5846bf651ee86e0408274736b4de3e3dd37c9f04db1500c88975a5b

[장흥 보림사 남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기단부 또한 몹시 형식화된 모습인데, 탱주의 표현이 평면화되고 각 부분이 단일 석재로 구성되어 전성기 석탑에서 보이던 명료한 표현은 느끼기 어려움.

7fed8272b5846bf651ee87e7438176736b196ba0b19e8c9bcb48a67d2dc1d2f4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863), 보물 제247호. 사진 : 문화재청]

863년 조성된 대구 동화사(桐華寺) 비로암(毘盧庵)의 삼층석탑은 하층기단의 탱주도 1개로 변화하였음. 이러한 모습은 9세기 중후반부터 나타나는데, 점점 더 탑의 형태가 간료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a17d34196e3ed82cbb73e93ef928a9c444bcb7b382a4c8cb4ad3827172cfb437b408d3c582c5cb2dd2912d2c5ad88a642cda0a40938f8774bdff97b568491a904b522cbabeff84eaf26317312bd71db965a1e9f8ada11250ccc0cb0646329fe6dffcce04f7f830ccc41fe60eaefc64289b241550240bc074fd16dd4698d67418510c59aaf50122c3

[傳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보물 제741호. 사진 : 문화재청]

비로암 삼층석탑 내에서는 위 사진과 같은 납석사리호가 발견되어 조성경위를 명확히 알 수 있었음. 사리호의 겉면에는 44대 민애왕을 추모하기 위해 48대 경문왕이 조성하였음이 적혀 있음. 현재 동국대학교박물관에서 전시중.

7fed8272b5846aff51ee80e646847473bf189e258df05b40873ce47ea50b064f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보물 제67호. 사진 : 문화재청]

이 시기에는 전국적으로 많은 석탑이 제작되었으며, 이를 계승한 고려와 조선시대 석탑에서도 상·하층기단에 탱주가 하나씩 있는 석탑은 많이 찾아볼 수 있음.

7fed8272b5846bf651ee87e141807673b69b0d5f6d02d11a13f97a04bd7cf236b3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기단부, 보물 제467호. 사진 : 문화재청]

여기에 더욱 단순화 혹은 변형된 예로, 하층기단이 생략된 경우도 있음. 특히 문경 지역에서는 봉암사에 1기, 도천사지에 3기, 내화리에 1기의 단층기단 삼층석탑이 남아 있어 주목할 만함.

7fed8272b5846bf651ee87e142827773609cd6155854e9993930d6e6ff0df5db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보물 제186호. 사진 : 문화재청]

경주 용장사곡 삼층석탑은 자연암반 위에 세워진 특수성 때문에 단층기단을 사용하였음. 이 시기의 탑들 중에는 탑의 위치를 달리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음.

7fed8272b5846bf651ee87e744847073c2524d96a36520f7026b90da8257079b

[합천 월광사지 동 · 서 삼층석탑, 보물 제129호. 사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左), e뮤지엄(右)]

합천 월광사지(月光寺址)의 쌍탑은 조성시기가 서로 다른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리라 생각함. 동탑은 상하기단의 탱주가 각각 2개, 서탑은 1개씩임.

7fed8274b5836bf751ee81e643817373ec9da6b26acf4ed1229d83e63089a5af

이렇듯 통일신라 주류석탑은 탱주의 개수, 석재의 수량, 전체적인 비례를 통해 대략적인 편년이 가능함. 그리고 글의 내용 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층급받침의 수도 감소한다는 점 또한 제작연대 추정에 도움이 됨. 간략히 정리해 본 통일신라 주류석탑의 계보는 다음과 같음.

최초기 석탑 - 탱주수 3:2 / 몹시 거대하며 조립형 옥개석을 가짐
- 감은사쌍탑, 고선사탑

초기 석탑 - 탱주수 3:2, 2:2 / 여전히 거대하며 탑신석 부피감 큼
- 라원리탑, 황복사탑, 천군리쌍탑, 창림사탑(?)

전성기 석탑 - 탱주수 2:2 / 날렵하고 상승감 있는 외형 (석가탑계)
- 불국사탑, 술정리탑, 장항리탑, 지산동탑, 갈항사쌍탑, 봉기동탑

후기 석탑 - 탱주수 2:1 / 전성기 비례 유지하지만 완성도 떨어짐
- 보림사쌍탑, 단속사쌍탑, 청송사탑, 청량사탑, 부석사탑, 신천리탑

최후기 석탑 - 탱주수 1:1 / 비례감 떨어지며 완성도도 부족
- 실상사쌍탑, 효현리탑, 오색리탑, 비로암탑, 서동리쌍탑, 불굴사탑

최후기 단층기단탑 - 탱주수 1 / 하층기단 없음, 위와 동일
- 화엄사동탑, 표충사탑, 봉암사탑, 용장사탑

물론 위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870년의 보림사탑보다 863년의 비로암탑이 탱주 수에 따른 구분으로는 선행하는 등 위 기준으로 무 자르듯 시대를 특정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임. 하지만 이 글을 통해 통일신라 석탑에 있어 거시적인 시대구분은 가능할 것임.

생각보다 글이 길어져서 탑파건축사에 대한 글은 3-4부 가량 더 필요할 것 같음. 다음 글에서는 통일신라 전탑계열 탑의 전개와 이형석탑을 다루게 될 것임.

- dc official App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4

고정닉 8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외모와 달리 술 일절 못 마셔 가장 의외인 스타는? 운영자 24/07/01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842/2] 운영자 21.11.18 5980362 440
244190
썸네일
[이갤] AV 여배우.. 8대 여신 ..jpg
[256]
3dd(121.183) 01:55 21353 112
244188
썸네일
[싱갤] 몇달전 급발진 주장 여학생 2명 사망사고 결과.jpg
[3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32313 239
244186
썸네일
[유갤] 20대 정력에 대해 얘기하는 외국여자.jpg
[137]
ㅇㅇ(78.153) 01:35 17987 148
244184
썸네일
[로갤] 엄복동 잡은 썰
[213]
자전거도난당한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12561 263
244182
썸네일
[자갤] 900만원짜리 승질
[286]
ㅇㅇ(106.101) 01:15 17232 232
244180
썸네일
[멍갤] 댕댕이 전용 특수부대헬멧
[129]
ㅇㅇ(146.70) 01:05 11547 79
2441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백종원 노총각 밥장사 41살 시절
[25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16469 179
244176
썸네일
[카연] ㅇㅎ) 처녀는 어디에나 있다 . manhwa
[233]
WOLF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23593 167
244172
썸네일
[블갤] 요리)시바세키 라멘 재현과 그 이해에 대하여. 집밥의 관점에서.paper
[127]
pancett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12405 121
244170
썸네일
[유갤] 유튜버가 알려주는 여자가 19금 성인웹툰 구매하는 방법
[157]
ㅇㅇ(185.114) 00:15 30571 86
244168
썸네일
[야갤] 맹독성 동물들은 왜 더운 지방에 많이 살까
[174]
ㅇㅇ(59.9) 00:05 17390 144
244166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사고공화국 시절 대한민국 대형참사 목록
[133]
포만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4786 62
244164
썸네일
[디갤] 회사 지각하고 쓰는 간밤의 형아계륵 자가수리글
[58]
카메라자가수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9003 22
244162
썸네일
[대갤] 미얀마, 쌀값으로 장난치는 일본기업 간부 구속... 이온 현지법인 패닉
[241]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4492 127
244160
썸네일
[야갤] 남자가 더 수학 잘하는 이유.jpg
[10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37950 391
244158
썸네일
[이갤] 반려묘 여름이가 상위1% 강박적 이식증을 가지고 있던 이유.jpg
[117]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3125 38
244156
썸네일
[유갤] bpl 자연인 써밋 샌들 만들기
[48]
노원맛대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5990 15
244154
썸네일
[싱갤] 성격에 중간이 없는 강아지
[263]
Patron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3610 154
244152
썸네일
[해갤] 파리 올림픽에 에어컨 들고 가는 나라들
[461]
해갤러(149.36) 07.02 21888 136
244148
썸네일
[야갤] 매운데 계속 먹게 되는 이유.jpg
[2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5961 58
2441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럽인들이 한국보고 놀라는거
[311]
공각기동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9800 84
244142
썸네일
[이갤] 태어난지 1달 조금 넘은 심장에 해로운 아기수달.jpg
[102]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9769 89
244140
썸네일
[디갤] [여명] 슴슴~한 사진,, 14장, 올ㄹㅕ봄니다,,^^
[35]
산악사진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8769 32
244138
썸네일
[주갤] 현대자동차 남직원 비율 95%라는 말에 분노하는 여자들
[804]
주갤러(124.51) 07.02 40265 1017
244136
썸네일
[야갤] 대황본 ㅋㅋ 도지사 선거 근황
[521]
고추안서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8287 233
244134
썸네일
[그갤] 영화를 좋아해서 그려왔던 인물화 몇 장
[53]
ㅇㅇ(180.81) 07.02 9408 74
244132
썸네일
[싱갤] 웃지않는 공주.manga
[180/1]
ㅩ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1513 256
244130
썸네일
[기음] 오늘자 성시경 먹을텐데 역대급 극찬한 담양 닭볶음탕.jpg
[483]
기갤러(146.70) 07.02 31798 95
244128
썸네일
[이갤] 처음 만날때 울던 아이가 이제는 집에 간다고 울어서 놀란 곽튜브
[80]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7478 67
244124
썸네일
[싱갤] 가짜 가족의 이야기.manga
[66]
ㅩ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5747 105
244122
썸네일
[디갤] (이 시간에, 폰카로, 허접한 사진 올려도 봐줌??)(webp)
[23]
긴꼬리홍양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6020 32
244120
썸네일
[주갤] 카페에 앉아 있는데 남녀커플이 와서 자리를 옮겨줬다.twt
[516]
주갤러(211.234) 07.02 36034 252
244118
썸네일
[카연] [함자] 재벌가 사스케 눈 쳐다봤다가 개털린 이야기 (2)
[220]
헬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9402 261
244116
썸네일
[나갤] Great Demographic Reversal: 인구 감소 시대가 온다
[140]
낭만증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2180 63
24411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강대국이 북한급으로 군사력을 쥐어짜면 생기는 일
[361]
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9998 303
244112
썸네일
[미갤] 침착맨의 드래곤볼에 대한 생각.jpg
[9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31058 382
244110
썸네일
[루갤] [조행기] 장마가 대수냐 가뭄 끝, 증수 계류를 노린다.
[90]
림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2760 49
244108
썸네일
[이갤] 변태적인 북한..결혼식..근황.jpg
[587]
흰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49833 720
24410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파리에서 애딸린 노숙자가족 본 썰.jpg
[379]
ㅇㅇ(112.171) 07.02 28334 69
244103
썸네일
[산갤] 산업기능요원 시작하는 만화 5화
[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0590 39
244101
썸네일
[군갤] 이집트 K9 수출에 관한 추가 소식과 한국산 엔진 가능성
[27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3318 154
244100
썸네일
[블갤] 음식의 연금술사, 주리의 다관절 팬짱을 만들어보자
[52]
DBshotg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11043 69
244098
썸네일
[필갤] 규슈 한 바퀴, 필름 3롤 (중복유)
[16]
Coup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4691 15
24409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조선족 결혼식에 간 유튜버
[521]
ㅇㅇ(124.63) 07.02 35601 65
244094
썸네일
[자갤] "형, 이거 급발진이야" 시청역 사고 운전자, 사고직후 동료에 전화
[866]
ㅇㅇ(106.101) 07.02 41336 181
244092
썸네일
[나갤] 3D 프린터로 만든 나 혼자만 레벨업 카사카의 독니
[60]
나갤러(211.110) 07.02 14072 59
244090
썸네일
[야갤] "난생 처음 보는 비" 폭풍우 강타에 초토화
[1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3656 41
244088
썸네일
[주갤] 르노 오로라 계약하러 제주도에서 부산까지 갔던 보배유저
[442]
ㅇㅇ(106.101) 07.02 34270 625
244086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어느 할머니의 국수집
[2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2 25422 33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