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건축의 이해 - 9부 [탑파건축 개론]앱에서 작성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23 10:00:02
조회 10299 추천 44 댓글 44

탑은 한국의 문화재를 논함에 있어 빠트릴 수 없는 소재임. [한국건축의 이해] 탑파건축 편은 3부 정도로 마무리될 것 같은데, 이번 9부에서는 탑의 종류와 역사, 10부에서는 시대별 탑파건축의 흐름, 11부에서는 부도라고도 불리는 승탑에 대해 다루려고 함.

그리고 목조건축 편까지는 최대한 내 사진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필요한 사진을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그냥 문화재청 사진을 사용하려 함.

7fed8274b4826af751ee84e142857d7388b4f2fe951979aaf3a55f295f9122cb

일단 탑파(塔婆)란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스투파(stupa)에서 기원했음. 스투파란 본래 무언가 높이 퇴적된 형상을 이르는 단어였는데, 망자를 장사지낸 뒤 흙을 높여 쌓는 것을 스투파로 부르며 의미가 변화하였음. 이후 석가모니의 불사리를 거대한 스투파에 모시며 스투파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신 장치라는 현재의 탑과 같은 의미가 되었음.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며 '탑파'로 음차되었고, 이것을 줄여 탑으로 부르게 되었음.

2fbf8419b08607af3ff1dca511f11a3918cd185609ea5765c1

[산치 대탑(스투파). 사진 : 세상의 모든 지식]

스투파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돔형의 구조물 위에 산개라는 양산 모양의 구조물을 올린 모습임. 돔형의 구조는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으로, 불교의 우주관이 반영되어 있음.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초기에는 탑의 각이 몹시 많았는데, 이는 본래 탑의 원형(原形)은 원형(圓形) 평면을 바탕으로 했기 때문임. 아래 사진은 중국 하남성(河南省)의 숭악사(嵩岳寺) 12각15층석탑으로, 534년 제작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탑임.
(개인 블로그에 들어가면 최신의 사진들이 많은데, 지식백과에서는 이 사진밖에 구할 수 없음. 컬러사진은 개별적으로 찾아보기 바람)

28bc8819b584699967ee82fb1cc1231d6fcda12c3f3b1d24552fe9

[숭악사 12각15층석탑. 사진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탑파가 전래된 중국에서는 주로 벽돌이나 나무로 탑을 제작하였음. 이것이 전탑(塼塔)과 목탑(木塔)임. 목탑과 전탑은 중국 탑의 주류가 되었으며, 이것이 불교의 전래와 함께 삼국시대 한반도에 들어왔음.

0ce98073b58069f63ee985ed58db343ae6d4258385436188d60bea9a

[평양 정릉사지. 사진 : 조선향토대백과]

고구려는 372년 불교가 전래된 이래 393년 수도 평양 인근에 9개 사찰이 생겼을 만큼 널리 전파되었음. 고구려는 목탑만을 수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고구려 목탑의 특징은 팔각형의 평면임. 위 정릉사지 사진에서 팔각형 유구가 목탑지임.

a66b30aa121e072d847a5a57c65ae2f1504412e5980585d1868d2626c70a1e6f6642eec13edec715acc127b17025bc11a03ee8c5fcdeacde5d9ae2

[부여 능산리사지. 사진 : 문화재청]

백제 또한 목탑을 수용하였음. 384년 불교를 수용한 백제는 고구려와 달리 방형평면의 목탑이 제작되었음. 이는 가장 늦은 521년 불교를 수용한 신라 또한 마찬가지였음.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며 방형탑은 탑의 주류가 되었음.

a65234ad2c06072cbb725d66c2eeafee04786784408232e7920d0599b6e9dd4cfcd1a1e2a4307ad757eb8bb9b2e66e8bd1f2b559a918dbd2e147353278026b4a57b2613e58a6e8c81a9110e3f06331d10925

a66f25aa260eb444a2805b59e25dc7dce6f87b6f68d366dd2b40e5d95ddb555076f362a8c971fbed80df47925d08e7e3223c3025

[보은 법주사 팔상전 종단면도와 사천주. 사진 : 문화재청]

현재 한반도에는 목탑이 단 하나도 남아있지 않아 탑파건축의 한 축을 이해하는 데 있어 큰 결점이 되고 있음. 목탑은 기본적으로 심주(心柱)라는 큰 기둥을 중심축으로 하여 이것이 탑의 꼭대기까지 올라가는 구조임. 심주의 주변을 둘러싼 4개의 기둥을 사천주(四天柱)라고 하는데, 탑이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이기에 수미산을 사방에서 방위하는 사천왕이 사천주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음.

7fed8274b58068f751ee83e4418074730cf51d252b3782568fabd19772e52e5a

[경주 황룡사지 심주초석]

심주는 목탑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이기에 심주초석에 사리공을 파 이곳에 사리를 안치하였음.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824ea0c4624529e16e63277940381e602a7644d8909788f382e296b9ee82f075d2adb5c

[익산 미륵사지 서탑. 사진 : 문화재청]

한편, 200여년간 목탑만 존재했던 한반도에 최초의 석탑이 등장함. 그것이 바로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임. 미륵사지석탑은 최초의 석탑으로, 목탑의 구조적 형태를 똑같이 모방하였음. 따라서 기둥과 면석 등을 모두 별석으로 제작하여 실제 목탑에 대응하도록 하였음. 당시 기둥의 흘림까지 반영하여 실제 건축물과의 유사성을 높였음.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824ea0c31278e179a523c36501789e2f75ac07d7d12486c37a6860b52da295fcfb6299f80603d0fd1ddb26bfc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 사진 : 문화재청]

미륵사지석탑은 목탑을 모방하였기에 내부로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심주에 해당하는 심주석 또한 제작에 반영되었음.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924ea0c31fad433c28bd276cf3361033839ab55765408ff75c6e97c1dbe952801defb650ded2cf8a977ea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924ea0c31fad433c28bd276cf3361033839ab55765408ff75c6e97f46e0981838fac65f2e8a5af8ac7c2d1981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924ea0c31fad433c28bd276cf3361033839ab55765408ff75c6e97f45e0981838fac65f2e8a5af0af779f99d1dc

[미륵사지서탑 사리장엄구와 발견장면. 사진 : 문화재청]

본래의 목탑이라면 사리장엄구는 심주 아래의 초석에서 발견되어야 하지만, 석탑이라는 특성상 심주석 내부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음. 같이 발견된 금제 사리봉영기에 따르면 639년(무왕 20) 무왕비 사택적덕의 딸의 시주로 세워졌음.

참고로, 이것이 발견된 2009년 이전까지는 무왕(서동, 맛동)의 부인은 신라 진평왕의 딸인 선화공주로 알려져 있었으나, 무왕의 부인이 전혀 다른 인물인 백제 귀족 사택적덕의 딸로 밝혀지면서 서동요 설화는 큰 타격을 입게 되었음. 최근 재발굴로 익산쌍릉 대왕묘의 피장자가 무왕으로 확실시되는 가운데 무왕과 선화공주 설화의 진위여부는 여전히 오리무중임.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0e6b423ba3d1616cdbb782679b24c667d33965853b230c531

[익산 미륵사지 석탑, 1910년. 사진 : e뮤지엄]

미륵사지석탑은 이와 같이 최초의 석탑으로 한반도 탑파건축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탑 중 하나임.

7fed8272b5846af751ee87e04f837773ee409a7a911dfd1f9dea7c1d0106252c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미륵사지석탑은 최초의 석탑으로써 그 의의는 높으나, 목탑의 형태를 고수하다 보니 몹시 비효율적이었을 것임. 이러한 불합리성을 해소하고 백제 석탑의 표준이 된 것이 바로 정림사지 오층석탑임.

7fed8272b5846af751ee84e544837573439173698651885697ebf049c2e936d9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백제계 석탑의 특징은 옥개석의 낙수면이 몹시 얇고 기단이 단순하다는 점임. 이러한 백제계 탑의 특징은 10부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음.

639년 미륵사지석탑이 세워지고, 660년 백제가 멸망하였기에 백제의 석탑이 자라날 시간적 여유는 몹시 부족했음. 그 혼란한 20여년의 와중에 완성된 정림사지석탑은 백제의 비례미를 담고 이후의 백제계 석탑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큼.

7fed8272b5846af751ee84e540847273b50c02e3ceb7a01b518954347f285654

[경주 분황사 석탑. 사진 : 문화재청]

한편, 신라 또한 석탑을 제작했음. 하지만 신라의 석탑은 목탑이 아닌 전탑을 수용하였는데, 전탑을 모방한 석탑이라 하여 모전석탑(模塼石塔)이라 부름. 벽돌과 비슷한 색의 돌을 벽돌 크기로 잘라 쌓았기에 겉보기에는 전탑과 구분하기 어려움.

7fed8272b5846af751ee84e5418177735c708a53c62f83f6dbefffe4c1f7b21e

[경주 분황사 석탑 인왕상. 사진 : 문화재청]

분황사석탑은 미륵사지석탑보다 5년 앞선 634년 분황사 창건 당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하지만 본질적인 석탑의 시작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흔히 미륵사지석탑을 석탑의 시초로 봄.

7fed8272b58068f751ef8ee44285777307c562edfd831e46596292e6ac3a2c62

[경주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실질적인 경주의 첫 석탑은 682년(신문왕 2) 제작된 감은사지 삼층석탑임. 여러 연구결과 둘 중에서도 동탑이 서탑보다 먼저 세워졌음이 밝혀졌음.

7fed8272b58068f751ef8ee442837373c6719be3afb69d1a57b061110ca065f4

[경주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백제계 석탑과 달리 통일신라의 석탑은 낙수면의 기울기가 풍부하고, 기단부가 충실함. 백제 석탑이 김부식이 이른 바 '儉而不陋 華而不侈'로 표상되는 절제미와 비례미를 보여준다면, 통일신라의 석탑은 여유로우면서도 풍만한, 장중하면서도 경쾌한 균형미가 돋보임.

7fed8272b5846af751ee84e141827173fb8a788e72e3ea3137732bf0a7ea78de

[경주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찰주. 사진 : 문화재청]

초기의 통일신라 석탑은 감은사지석탑으로부터 비롯된 비례미를 따랐음. 감은사탑과 같은 장인집단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선사지 삼층석탑 또한 석질과 추가된 문비조각에서의 차이만 있을 뿐 감은사탑과 동일한 크기와 양식임.

7fed8272b5846af751ee85e447847173ad6e93164206648acf99b76c00a6ed18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 이후 한 세기 동안 라원리 오층석탑, 구황동 삼층석탑, 창림사지 삼층석탑 등 각기 개성을 가진 석탑들이 제작되었음. 그렇게 통일신라 미술의 최전성기였던 경덕왕대, 기념비적인 석탑이 만들어졌으니 바로 불국사 삼층석탑임.

7fed8272b5846af751ee85e4428572739228118afdf10653b51ceaa0301bc63d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불국사 삼층석탑, 일명 석가탑은 751년 제작되었으며, 이후의 모든 통일신라계 석탑의 원형이 되었음. 불국사 삼층석탑은 감은사지 삼층석탑으로부터 시작된 신라계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좀 더 날렵하고 상승감 있는 흔히 생각하는 통일신라 석탑의 기초를 잡은 석탑임.

7fed8272b5846af751ee85e7468373731eb2aa24158599fa350e4fe04a5bdf48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한편, 전탑이 아예 한반도에 유입되지 않은 것은 아님. 비록 그 시초가 모전석탑이긴 했지만,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전탑이 제작되었음. 현재 제대로 남아있는 전탑은 전국에 총 5기, 그 중 3기가 안동에 위치함.

7fed8272b5846af751ee85e645837273f0aba6818fa8c8f012676163d434a65f

[안동 조탑동 오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한반도는 지질적 특성상 벽돌을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은 토양을 가졌음. 안동지역은 그나마 벽돌을 제작할 수 있는 지질적 여건을 갖추었기에 일부 전탑이 제작되었음.

7fed8272b5846af751ee85e6428577730d19f2f9d629229fe41fb80ec6329ddbeb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은 안동지역 밖에 있는 유일한 통일신라 전탑으로, 상륜부가 남아 있음.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0e6b421bc3b18f712cda2b8a51a8e6a9e61c6fdf39595ef98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1914년. 사진 : e뮤지엄]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5개 전탑 중 규모가 가장 큰 탑임. 전탑은 석탑에 비해 높게 짓기 유리하기에 가장 큰 석탑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14.5m)보다 큰 17m의 규모임. 조선시대 기록에 금동 상륜부를 관아로 이동시켰다고 하니, 본래 송림사 전탑과 유사했을 듯함. 또한 기와가 일부 남아있어 본래 기와로 덮여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음.

7fed8272b5846af751ee85e04080737399a889fc97eafcea4fa2e7658ea60d7f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 사진 : 문화재청]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은 기와가 잘 남아있어 여타 전탑의 원형을 추정해 볼 수 있음. 기와는 많은 부분 복원되기는 했지만, 복원 시점에 다른 전탑들에 비해 기와가 많이 남아 있어 위와 같이 복원되었음.

0a9e8073b7e268f73ce684fb1cc1231d33ab10c9cc77b2b41556ce

[의성 석탑리방단형적석탑.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편, 토탑(土塔)으로 분류되는 탑도 있음. 전국에 10곳이 안 되고, 형태도 정형적이지 않아 연구가 미비하지만, 사찰에 설치된 것으로 보아 탑의 일종임에는 확실해 보임. 대체로 방형이며 단을 쌓은 형태라 방단형적석탑, 혹은 적석탑으로 불림. 의성 석탑리, 안동 석탑리, 단양 사지원리, 문경 미면사지 등에 그 예가 남아있으며 산청 구형왕릉도 실은 적석탑으로 추정됨.


목탑, 전탑, 토탑은 그 수가 극히 적기에 한반도 탑파건축사에 있어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은 석탑임. 이제 석탑의 상세명칭에 대해 알아보겠음.

29bf8619b6836a9967ed98bf06d6040351cc501028a254d07d

[석탑 개념도.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일단 석탑은 크게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로 나뉨. 기단부는 건물의 기단, 탑신부는 건물의 몸체에 대응함. 초기 석탑의 기단부는 낮은 편이었는데, 석탑과 목탑의 대응관계가 약해지며 점차 석탑 고유의 형태로 변화했음. 종종 석탑의 기단을 층수로 잘못 세는 경우가 있는데, 층수는 탑신부만 세는 것임.

29bf8619b6836a9967ea98bf06d60403ec9a7bd98e3040c1ef

[기단부 개념도.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기단부는 통상 2단으로 되어 있음. 위 그림에선 상대, 하대란 표현이 쓰였는데 상층기단, 하층기단으로 좀 더 많이 씀. 문경 등 특정 지역에서는 단층기단으로 조성되는 사례도 있고, 드물게 3중기단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7fed8272b5846af751ee81e140847673c753494c554d1b0b531b129b1091ebaf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석탑의 기단은 가구식으로 표현되어 있음. 즉, 기둥과 면석이 구분되도록 표현되었는데, 이 때 기둥 부분을 탱주, 기둥과 기둥 사이 부분을 면석이라고 함. 또 기단 윗부분에 넓게 깔린 상판을 갑석이라고 함.

불국사 삼층석탑의 비례를 따르는 통상의 통일신라 석탑들은 상층기단은 2분할, 하층기단은 3분할로 구성되는데, 초기 통일신라 석탑들은 상층기단도 3분할인 경우가 많음.

28bc8819b5876d9967ee98bf06d604031cf8602664c3ca715f

[탑신부 개념도. 그림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탑신부는 탑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크게 탑신석과 옥개석으로 구성되어 있음. 탑신석은 건물의 기둥, 옥개석은 건물의 지붕에 대응함. 탑신석에는 기단부와 같이 우주가 새겨져 있음. 탱주가 모든 기둥 형태를 총칭한다면, 우주는 모서리기둥을 뜻함.

7fed8272b5846af751ed85e64e857c73d73ea78bcd312fed915e9d9a58f62949

[안동 옥동 삼층석탑 옥개석. 사진 : 문화재청]

옥개석 아래에는 계단 형태의 층급받침이 있고, 옥개석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홈이 파여 있어 빗물이 탑신석을 더럽히지 않게 함.

7fed8272b5846af751ed85e140837d73ea0d5734d8af999effad5991c0935d49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사진 : 문화재청]

옥개석의 상부 모서리를 전각이라고 하는데, 끝으로 갈수록 약간 들려 있어 경쾌함을 주는데 이것을 반전을 주었다고 표현함. 또한 과거에는 석탑의 옥개석 끝에 풍경을 걸었는데, 풍경을 걸기 위해 뚫은 구멍을 풍탁공이라고 하는데, 풍경이 남아있는 경우는 극히 드묾.

29bf8619b6836a9967ec98bf06d604033d51d5878cb001dd21

[상륜부 개념도 :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상륜부는 탑의 꼭대기 부분으로, 가장 장식적인 부분임. 상륜부 부재들은 쇠꼬챙이 같은 금속제 원뿔형 구조물인 찰주(擦柱)에 끼워져 올라가는데, 소규모 탑에서는 凹凸 형태로 찰주 없이 끼우는 경우도 있음. 대체로 석제 혹은 금속제인데, 굉장히 약한 부분이라 남아있는 경우가 극히 드묾. 남원 실상사, 문경 봉암사, 장흥 보림사 석탑이 상륜부가 잘 남아있는 대표적인 예시임.

7fed8272b5846af451ee86e740847773bcc72a23c7746f2e6e393106e862d0

[석탑 상륜부와 인도 스투파의 비교. 그림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상륜부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스투파의 모습을 모방하였음. 기단과 대응되는 노반을 시작으로 대략적인 형태가 유사함을 볼 수 있음. 스투파를 보면 스투파의 상륜부는 차트라(보륜)부터임을 알 수 있는데, 상륜은 보륜을 뜻함. 이것이 한반도에 전래되며 노반, 복발, 앙화가 추가되어 스투파 전체의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음.

7fed8272b5846af451ee87e6468275731b33b7c7dffbc7eb7d2c44ba5762f9

[남원 실상사 동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석가모니는 생전에 자신의 사리가 봉안될 스투파에 대해 상륜부를 구성하는 부재는 종류가 꽤나 많음. 먼저 최상층 옥개석 위에 얹힌 방형 석재를 노반(露盤)과 그 위에 스투파의 돔을 형상화한 복발(覆鉢)이 얹힘. 앙화(仰花)는 연꽃잎이 피어있는 형태로 수미산 정상부를 의미함.

7fed8272b5846af451ee87e647827573b060158516d9f602fd4d3c2a892a88

[남원 실상사 서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앙화 위에는 보륜(寶輪)이 여러 개 올라감. 보륜은 불교의 세계관에서 신들의 영역인 33천을 상징하는데, 보륜을 33개 올릴 수는 없기에 대략 3~6개 정도임. 그 위의 보개(寶蓋)는 신성한 인물을 모시기 위해 씌우는 양산과 같은 것임. 일반적으로 불상 위에 씌우는 닫집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음.

7fed8272b5846af751ee81e6458073734e3faf205836c47ad1231f2646f7cb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보개 위의 길쭉한 부재인 수연(水煙)은 스투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연꽃잎을 상징한다고 추정됨. 그 위의 구슬 모양인 보주(寶珠)와 용차(龍車)는 스투파의 병 모양 부재인 칼라사가 변용된 것임.

7fed8272b5846af751ee81e642857773ad6a0514d1ed4a7448e61944dd77c5

[장흥 보림사 북 삼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이렇듯 상륜부는 불교적 세계관이 투사되어 있는 스투파를 모방한 탑의 가장 신성한 부분임.

a14624aa2527b444a2805b59e25bf4dc69b89a5e920b609597e7b2f4bf72c2fb647a7e76e98d0aae4598d500248cc1100ffb7dc3a2ef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상륜부. 사진 : 문화재청]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상륜부는 금동장식까지 모두 남아 있어 상륜부의 장식성을 확인할 수 있음. 보륜의 테두리에 붙인 금동장식과 풍경이 달린 화려한 보개 등이 돋보임.

7fed8272b5836bf751ee83e0478470730c49e23eee65ec436b6864c23944142b

이렇게 [한국건축의 이해] 탑파건축 첫 글에서는 탑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에 대해 알아보았음. 다음 글에서는 통일신라부터 조선까지, 탑파건축의 흐름에 대하여 알아보겠음.

- dc official App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4

고정닉 10

1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43422
썸네일
[야갤] 살인적인 아이슬란드 물가 지수에 놀란 '서진이네' 멤버들jpg
[78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9825 73
243420
썸네일
[이갤] 아줌마 소리 들은 강지영 아나운서 반응.jpg
[902]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39247 566
243418
썸네일
[싱갤] 사람 얼굴에 명함 뿌리고 침뱉고 사람 매달고 달린 사람.gif
[213]
전국민면허몰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35571 169
243415
썸네일
[이갤] 역대 전쟁명장 순수재능 TOP 20..JPG
[566]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22028 44
243413
썸네일
[카연] 진호의 순수한 연애몽마들 11화
[43]
pot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10062 101
243412
썸네일
[야갤] "표가 없어요", 선점좌석에 이용객들 '전전긍긍'.jpg
[33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21357 90
243410
썸네일
[대갤] 佛센강은 수영불가라는데... 韓한강은 어떻게 깨끗할까?
[57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5 23320 338
243409
썸네일
[리갤] 지브리 버젼 롤 챔피언 ㄷㄷㄷㄷㄷ.JPG
[464]
ㅇㅇ(118.235) 10:00 60818 820
243407
썸네일
[싱갤] 의외로 악어가 좋아하는 TV프로그램....jpg
[2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27383 233
243406
썸네일
[새갤] 검찰 "이재명 샌드위치 구입, 공무원 야식비로 처리 정황"
[1024]
포만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0 23844 360
243404
썸네일
[교갤] 실시간 교붕이 국제통역사 됐다...(무임승차한 캄보디아인 요금납부시키기)
[165]
IR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7395 262
243402
썸네일
[야갤] '페미사이드' 섬뜩한 손자국, 굳이 여기서? 엇갈린 반응.jpg
[3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28450 354
243401
썸네일
[기갤] "다른 선생님 다 퇴근하면 가", 갑질에 폭발한 1년차 교사.jpg
[2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21618 174
24339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히틀러가 최종적으로 이루고자했던 대규모 프로젝트
[225]
ㅇㅇ(118.223) 09:00 24681 158
243395
썸네일
[이갤] 물도 가짜가 있는 나라.jpg
[328]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39448 491
243393
썸네일
[군갤] 자위대가 인력충원을 위해 추진한 생활개선을 알아보자
[187]
4321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21729 203
243391
썸네일
[싱갤] 와들와들 항상 화가 나 있는 갤러리
[317]
mis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36163 472
243389
썸네일
[유갤] 마차산 백패킹 후기
[34]
노원맛대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8482 27
243387
썸네일
[기갤] 구교환의 입시 연기 과외 선생님이었다는 하정우.jpg
[9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20096 60
243385
썸네일
[뉴갤] 뉴진스와 버니즈의 관계에 대해 (사진스크롤 주의)
[633]
NJdb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22127 172
243383
썸네일
[야갤] 화성 공장 노동자 "안전교육 못 받았다, 비상구도 몰라요".jpg
[2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13837 49
243381
썸네일
[싱갤] 19세기 일본 사쓰마번 vs 영국군 전쟁..JPG
[508]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5771 212
243379
썸네일
[대갤] 일본 최초의 여성 검찰총장 탄생... 그 뒤에 숨겨진 어두운 비밀
[319]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33555 361
243377
썸네일
[야갤] "자기가 손해보는 결혼이랍니다".jpg
[3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33748 122
243375
썸네일
[힙갤] 킹갓심바.. 쇼미 지원자들에게 충고...jpg
[125]
ㅇㅇ(106.101) 07:00 28485 286
243372
썸네일
[야갤] 남한 노래•영화 유포로 처형, 북한 인권보고서에 담긴 실상.jpg
[2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24737 108
24337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부모님이 내가 입양아란 사실을 숨긴 이유.jpg
[300]
Secret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5 51292 476
243369
썸네일
[기갤] 바로 옆으로 차가 쌩, 제주도 곳곳 아찔한 장면.jpg
[1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25469 62
243367
썸네일
[디갤] [상반기결산]결정적인 사진 몇장만.webp
[24]
아보카도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10751 16
2433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단또 만화
[188]
묘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42479 191
243364
썸네일
[야갤] 소 6마리 끌고 온 가족, 2년만에 난리난 마을.jpg
[26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33854 118
243362
썸네일
[이갤] 로제파스타 보고 당황한 이탈리안 셰프...jpg
[411]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43104 183
24336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맥그리거가 타고난 신체인 이유
[160]
싱벙갤완장에게사과드립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33161 37
243359
썸네일
[야갤] 논란의 R&D 예산 '원상복귀', 과학계 반응은 싸늘.jpg
[52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29252 236
243357
썸네일
[배갤] 인도네시아모험 SE-8 열대해변
[14]
ㅇ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5 9266 21
243354
썸네일
[카연] 10화 후에 배신당하는 만화
[111]
sgtHw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20989 237
243352
썸네일
[군갤] SIPRI가 분석한 레드팀 핵전력 최신 동향.jpg
[236]
외신번역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22580 129
24335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브레이크 제대로 밟는법
[4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43879 354
243348
썸네일
[야갤] 대전 아파트서 30대 아버지와 두 딸 숨진 채 발견.jpg
[6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38053 139
243346
썸네일
[냥갤] 길급) 공짜 아파트에서 쫓겨나는 캣맘
[382]
ㅇㅇ(115.160) 06.29 39903 639
243344
썸네일
[리갤] ■ 페이커 65초 퍼블..gif
[585]
하무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75809 1454
24334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조리대학 원어민 교수님 만화.manhwa
[193]
ㅇㅇ(112.171) 06.29 30732 232
243340
썸네일
[롯데] 튼동의 험난한 3,4월과 변화중인 롯데.jpg
[193]
ㅇㅇ(175.200) 06.29 35646 1282
243338
썸네일
[이갤] 무판 이륜차들이 도로교통법 위반 후 검거 되는 과정
[95]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17719 119
243336
썸네일
[야갤] [단독] 인천공항 '방치물품' 개선, "기준•절차 마련".jpg
[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16010 35
24333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호빠면접보고온 만화
[29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34289 354
243330
썸네일
[미갤] 침착맨의 백종원 뼈 치킨 후기.jpg
[4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50166 144
243328
썸네일
[디갤] 동네바리 사진 조회구걸(22p)
[43]
Look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6437 20
24332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때 중국을 공포로 몰아넣은 애들의 비참한 최후
[538]
ㅇㅇ(118.223) 06.29 46580 155
243324
썸네일
[야갤] 중기, 돈없어 법인세 못 내.. 소득•부가가치세 수입은 증가.jpg
[24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9 18281 6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