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수리철학에 관해 알아보자 고대~근대 편

부조리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17 09:50:01
조회 13749 추천 129 댓글 219


7cea817eb0806df03cee98a518d60403fce2e9066b961100da56


과학을 함에 수학은 앰창 존나 많이 쓰인다(짤은 슈뢰딩거 방정식을 유도하는 과정의 일부)

비단 자연과학뿐인가 폰 노이만의 게임이론이 사회학에 미친 영향은 어디서 부터 말해야 할지 감조차 잡을 수가 없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철학에서조차 수학이 너무 많이 쓰여 이젠 철학과 수학을 구분할 수 없는 지경에 왔다


"근데 이게 어떻게 가능하지?"

이게 우리의 물음이다


우리가 처음 수학을 배웠을 때를 떠올려보자

"이건 덧셈이란 거에요~"란 슨상님의 말에

"덧셈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습니까?"라 묻는 다면

그냥 수학자들이 그렇게 정했다, 고까우면 니가 수학자 하든가 라는 답이 돌아온다

사실 틀린 말이 아니다(8살 아이에게 페아노 공리계의 인식론적 정당성을 설명할 수는 없지 않은가)


무튼

수학은 여기서 시작한다 증명 없이 텅 비어 공허하게 참인 명제인 공리를 상상하는 것 부터


이 공리에서 순수하게 연역적으로 뻗어나가는 게 수학이다

이제 슬슬 이상한 점이 보이는가?


마치 소설가가 허구의 인물을 지어내어 이야기를 만드는 것처럼

수학자들도 허구의 개념과 기호들을 도입해 설정딸을 치는 것과 별반 달라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 설정딸이 이뤄낸 것들을 보면

설정딸이 아닌 설정섹스(질싸포함)라 부르는 게 더 정확해 보인다


도대체 우리는 어떻게 설정섹스를 할 수 있단 말인가! 나는 그냥 섹스조차 하지 못했는데!!!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00a0810e51e05950fe6f443c

철학계의 호감고닉

보추를 사랑하는 플라톤톤정해병이다


플라톤도 위와 같은 질문을 했는데

그의 저서 메논에서 이에 관한 사유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여기선 소크라테스에게 기하학을 가르침 받는 노예 소년의 이야기가 나온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6f2999169c29c61ebdeebca35a39f99a2389f8ba1ca596

한 변을 2피트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두배가 되게하는 정사각형을 작도하라


소크라테스는 이 문제를 소년에게 천천히 설명해준다


그리고 소년은 "어떤 정사각형의 넒이의 두배가 되는 정사각형은 원래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와 한 변의 길이가 같다"

즉 피타고라스정리의 일부분을 스스로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이제 소년은 이 증명을 아는 것 만으로도

한 변의 길이가 얼마든 그 정사각형 넓이의 두 배가 되는 정사각형을 작도 할 수 있다는 것


"두 정사각형에 관해 한 정사각형이 다른 정사각형의 두 배인가?"라는 질문을 수치 관계 하지 않고 "측정없이" 답할 수 있게 됨


플라톤이 말하고자 하는 지점은 바로 이건데

소년은 분명 위 수학적 개념의 예화 중 하나를 관찰 했을 뿐인데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어떻게 알았다는 거냐 바로 이것


현대의 일반인들은 "그냥 원리를 이해한 거 잖아" 라고 말하겠지만

플라톤은 그 원리라는 걸 어떻게 알았냐 바로 이 지점을 말하는 거라는 걸 알아야한다

(그 당시에는 인지심리학 같은 게 없었다는 것 또한 알아두자)


우리 앞에 어떤 물체 있다면 우린 우리 앞에 그 물체가 있다는 걸 어떻게 알지?

감각기관 즉 눈을 통해 확인한다


하지만 이 원리라는 건? 도대체 어떤 감각기관을 통해서 확인 되는 거지?

만약 감각기관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물리적 실체가 아니라면, 우리는 어떻게 이를 아는 거지?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그 유명한 플라톤의 이데아론이다

"시공간에 관계없이 불변하며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세계의 본질로서 존재하는 천상의 세계가 있고 이를 이데아라고 하자"라는 게 이데아론의 첫 시작인데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 개개인의 절대적 본질로서 이데아 또한 존재하며 우리 또한 본래 이데아의 존재였기에 이데아에 관한 지식이 흐릿하게나마 남아있고

우리는 이를 이성으로서 명료화 시킬 수 있다 이게 철학이 해야 할 일 이다


이게 플라톤이 생각하는 세계였음 그리고 수학의 존재가 바로 이 이데아의 지식이었다는 거지


소년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알 수 있었던 이유 또한 알 수 있는데

노예라 하지만 소년 또한 본래 이데아의 존재였고 이 흐릿한 이데아의 지식이 피타고라스가 보여준 사례를 통해 상기된 것 뿐 이라고 하면 모든 것이 맞아떨어진다


바로 이게 플라톤의 수리철학이올시다!


이에 의하면 수학은 허구적인 설정딸이 아니라 진짜로 존재하는 것들

그것도 존나 개쩔게 존재하는 것들에 관한 지식이다


따라서 우리가 수학을 연구한다는 건 마치 고고학자처럼 이성을 통해 이데아의 지식을 발굴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겠고

수학을 통해 과학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설명할 필요도 없이 자명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현대에선 "수학적 플라톤주의" 또는 "수학적 실재론"이라고 부른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6f2999169c29c61ebdeebca60d38ab9671ddfbba0ca992c4

플라톤 사후 약 1900년 후 미친 올라운더 천재 한 명이 인식론의 시대를 열고, 철학의 주체를 주관으로 돌리면서

"절대적 진리"라는 존재에 의구심이 제기된다


이 글을 보고있는 싱붕이들이라면 통속의 뇌가 뭔지 다 알것이다

"우리가 감각하는 건 전기자극에 의존하는데 그건 외부에 의해 조작되기 너무 쉬운 것 아닌가 그렇담 물질세계에 관한 지식을 우리가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이 논의의 시초가 데카르트다 (방법론적 회의를 여기서 설명하진 않겠다)

물론 데카르트는 부정한 건 감각 말고도 수학적 진리마저 부정했다 "사실 1+1=523인데 어떤 초월적 존재가 우리의 의식을 조작해서 1+1=2라고 알게했다면?"

이런 발상이다


사실 데카르트를 깊게 논하지 않아도 이 글을 읽는데 무리는 없다



무튼 이렇게 플라톤이 깊게 뿌리박아둔 "진리와 진리가 아닌 것"이라는 이원론적 세계관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이후 플라톤의 민심은 니체의 이게 다 플라톤 때문이다 시전 후 완전히 운지했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6f2999169c29c61ebdeebcaa0d63ab9f768ea8ba0ca992c4


이 남자는 임마누엘 칸트 근현대철학의 GOAT라고 보면 된다


거대한 게임체인저의 등장으로 수리철학은 꽤나 큰 변화를 겪게 되는데

우선 그의 대표 저서인 "순수이성비판"의 내용을 조금 알아야한다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지식에는 몇가지 속성이 있다고 한다




종합 그리고 분석


종합적 참-참임을 알기위해 경험을 필요로하는 지식

"노무현은 살아있다") 노짱이 살았는지 죽었는지는 직접 확인해야 알 수 있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51a08d5e50e40703fe75544a



분석적 참-참임을 알기위해 경험을 필요로하지 않는 지식

"씨발갑은 박원순이다") 박원순한테 가서 "당신이 씨발갑입니까?"라 묻지 않아도 위 명제는 참이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58a4800b06e15507fe7560dc




후험 그리고 선험


후험- 인간이 경험을 통해 안 지식들은 대부분 상대적인 특징을 지니는데 이러한 지식을 이르는 말이다

"김대중은 개새끼다") 이 명제는 받아들이는 주체의 주관에 의해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58a4d95853e55603fe75b6b5




선험- 이건 주관의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참인 명제로

"5차 이상의 다항방정식은 근의공식을 구할 수 없다" 이건 어떤 주체가 받아들이든 참일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칸트의 수학에 관한 의견이 등장하는데

수학적 지식은 선험적이며 동시에 종합적이다라 주장한다

즉 주관에 진리값이 영향받지 아니하며 경험에 의해 진리값을 판단할 수 있는 명제


즉 어느 주관에서나 참 거짓이 똑같다는 거다


선험이란 속성에 관해 말해보자면

일단 선험성이란 건 다음 두 성질이 성립해야한다

보편성-명제의 진리값이 명제의 논리적 구조에 의존

필연성-명제의 반대가 불가능함


수학은 그 구조상 이 두 성질이 모두 성립한다

(필연이란 양상논리의 의미에서 필연인데 설명하자면 너무 많이 복잡하니 그냥 넘어가자....)


그리고 종합에 관해서도 설명하자면

종합의 반대 분석적이란 건 A는B이다에서 B가 그 정의에서 A를 포함하는 경우로

"모든 총각은 남자이다"이런 걸 의미하는 것


근데 수학은 이 분석적인 특징을 만족하지 못하니 종합적이란 것

7+5=12에서 12라는 개념이 7과5로 정의되는 게 아니기 때문

(이에 관해선 많은 반론이 있다)


수학이 선험적종합이란 바로 이런 걸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칸트는 이 난해한 정의로 뭘 말하고 싶은 건가 하면


"수학 그거다 우리의 직관을 어렵게 풀어 쓴 거다 물론 신의 선물인 직관을 훌륭하게 사용하는 툴인 건 맞는데 플라톤톤정 똥게이 새끼 말 처럼 존나 개쩌는 이데아의 유물이라 세계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딴 거 없다 그니까 근들갑 ㄴㄴ"

내가 칸트를 게임체인저라고 소개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자 이후 수리철학은 칸트의 주장을 비판하고 옹호하며 발전아닌 발전을 해나간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20세기

이 당시는 수학기초론에 관한 논의가 꽤나 활발했다

덕에 미적지근했던 수리철학 떡밥에도 다시 불이 붙었는데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02c096ac878f4fb9e82d40e04f451ed413ef34845ca91fe46be753fa77930b0e6

이 당시 수리 철학에는 크게 3개의 조류가 있었다


"수학은 논리학으로 환원 가능하다"라는 입장의 논리주의

"수학은 그 자체로 참도 거짓도 아니다 그냥 기호놀이다"라는 입장의 구성주의

"수학의 정당성은 직관일 뿐이다, 형식적인 엄밀이나 논리적 참 같은 게 아니다"라는 입장의 직관주의


이들은 반 플라톤주의라는 공통적 입장을 가졌지만

"수학의 대상은 무엇인가?"

"수학의 지식을 어떡게 얻을 수 있는가?"

"수학의 본성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는 다른 답변을 내놓으며 첨예하게 대립하게 된다














근대편 부터 내용이 너무 길어지기도 하고 수학적으로 사전 지식이 꽤 필요해서 2부작으로 쪼개겠음

다음편 부터는 논리 기호들이 존나 등장할 예정




출처: 싱글벙글 세계촌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29

고정닉 32

29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42390
썸네일
[야갤] 중2 여자 vs 중1 남자
[68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50130 132
242388
썸네일
[리갤] 페이커 : 제가 긴 시간동안 일인자였는데 쵸비라는 상대가 나와서 좋다
[675]
ㅇㅇ(58.235) 11:35 32545 397
242387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43
[82]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6515 37
24238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영국에 있는 6.25 참전 기념비 방문기
[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5 7831 64
242384
썸네일
[야갤] 정부, 미복귀 전공의 면허정지 안할듯…jpg
[4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15511 101
242383
썸네일
[k갤] 황재균 이혼 언급한 부분
[182]
ㅇㅇ(14.36) 11:15 42113 215
242382
썸네일
[야갤] 보배) "스타벅스에서 함부로 실명으로 주문하면 안되는 이유".jpg
[3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32746 321
24238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남친 데려온 여동생
[197]
ㅇㅇ(221.142) 11:05 30107 297
242379
썸네일
[밀갤] 밀양사건관련하여 말씀드립니다. - 백영민
[426]
백영민입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22202 98
242376
썸네일
[야갤] ㅓㅜㅑ 느그가 프로가? 꼴데..현재 상황...jpg
[176]
티롱씨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20746 119
242375
썸네일
[판갤] 남고 네이버 뉴스 입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139]
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42306 943
2423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대놓고 후루꾸 사기치는 제갈량
[2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20561 181
242372
썸네일
[대갤] 오사카 엑스포 가스폭발까지 펑펑... 日, 전혀 위험하지 않다 황당 해명
[22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5 12601 99
242370
썸네일
[야갤] "9년 초장기연애. 바람으로 끝났습니다 ㅎㅎ".jpg
[75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5 32352 118
242368
썸네일
[판갤] 디씨를 처음하는 아재입니다. 제 사연 또한 도움이 될까 작성해 봅니다.
[492]
판갤러(49.169) 10:20 26394 599
242367
썸네일
[싱갤] 어질어질 남녀가 결혼하면 한번은 꼭 싸운다는 주제
[604]
아카식레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5 30578 43
242366
썸네일
[카연] 닌자와 음침녀 8화 .MANHWA
[35]
군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8197 69
242364
썸네일
[야갤] 강형욱, 인스타에 입장문 발표.jpg
[3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5 25802 357
242361
썸네일
[싱갤] 손웅정, 아동학대 혐의로 피소.jpg
[783]
ㅇㅇ(113.130) 09:50 23972 194
242358
썸네일
[야갤] [단독] 만취운전자 추격전 끝, 4대 쾅쾅.. 몸으로 막아낸 경찰.jpg
[1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0301 54
242356
썸네일
[이갤] 운동을 해도 몸이 변하지 않는 이유.jpg
[637]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38520 429
242354
썸네일
[스갤] 이시가키 다이빙 후기
[29]
Papill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5395 21
242352
썸네일
[싱갤] 에티오피아의 은인, 하일레 셀라시에의 뒷이야기
[101]
ㅇㅇ(211.105) 09:00 14162 53
242350
썸네일
[퓨갤] 졸퍼트 “혜화에 싸가지 없는 놈들 많아”
[220]
ㅇㅇ(219.254) 08:50 25974 217
242348
썸네일
[로갤] 유루캠 성지순례 갔다온거 볼래요
[60]
프로브_(:3」∠)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8915 44
2423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정찬성의 국제망신 레전드...jpg
[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25460 194
242344
썸네일
[유갤] 깔깔중세유머집
[56]
isola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2291 24
242340
썸네일
[디갤] 릴레이 덕분에 오랜만에 예전 바다사진 몇개 꺼내봄
[15]
디붕MK-I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6358 14
24233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퀴즈 레전드 출연자
[2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43117 504
242336
썸네일
[이갤] 한달 빡세게 일한 도경완 vs 푹 쉰 장윤정.jpg
[220]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28436 142
242334
썸네일
[토갤] FGO 멜트 릴리스 도색 끝~
[48]
리림11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8098 60
242332
썸네일
[이갤] 80만 유투버가 생각하는 행복,자존감,자신감을 찾는 방법 ...
[334]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29635 120
242330
썸네일
[싱갤] 미성년자 성매매가 횡행하던 시절 유일하게 범인들을 검거했던 경찰
[657]
ㅇㅇ(61.82) 07:10 50109 393
242328
썸네일
[이갤] 초고도비만이라는 리트리버 사연.jpg
[168]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0 26454 157
242327
썸네일
[박갤] 일본사람들이 한국사람들 보다 식비를 많이 쓰는 이유
[7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5 46704 141
242325
썸네일
[야갤] 7년만에 찾아온 경사, 토종 여우 5마리 탄생.jpg
[25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27420 171
242323
썸네일
[필갤] 종군기자 데이빗 더글라스 던컨의 한국전 미해병대 취재 사진들
[104]
시계바늘아달려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5 16705 174
24231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아내가 주워온 물건이 수백억
[18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58272 129
242317
썸네일
[이갤] 6.25전쟁 55일간의 전투 낙동강 전투에 대한 증언...jpg
[162]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9701 222
242315
썸네일
[대갤] 일본인의 양심, 요양보호사편 (도쿄 스미다구)
[10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17639 112
242313
썸네일
[카연] 결정된 인류의 유명인에 대해
[79]
셋하나둘은둘셋하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20401 144
242311
썸네일
[싱갤] 일본어에서 유래한 한국어
[830]
일본대학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40168 369
242309
썸네일
[원갤] 원피스 작화가 흐물거리는 이유
[278]
니카(1.240) 00:25 61039 133
242307
썸네일
[갤갤] A35는 원래 가변주사율을 빼고 내려고 했다
[1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5 24068 86
242305
썸네일
[키갤] 박재홍 : 키움 틀드하는거 나는 좋게 본다
[98]
ㅇㅇ(118.235) 00:05 21507 108
242303
썸네일
[다갤] 스윙스의 다이어트 비결
[283]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41091 36
2423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1 딸에게 맥주 먹이는 남편
[80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55413 175
242297
썸네일
[이갤] 나혼자산다) 구성환의 구강청결제 사용 방법.jpg
[188]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26795 41
242295
썸네일
[중갤] 현실적인 ㅈ소기업 공장 manwha
[397]
ㅇㅇ(122.43) 06.25 43040 401
242291
썸네일
[싱갤] 절박하다의 기준
[839]
싱붕이(1.177) 06.25 46308 16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