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MBC] 석유·가스 개발로 지진 날 수 있다?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13 16:50:02
조회 19109 추천 46 댓글 532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8dd356a34b6b0ad11fb9a9edab01d870ae04848cb2ea3f5b9d1f2d4e7b137

최근 정부가 동해 석유·가스 개발 추진을 발표한 뒤, 인접한 포항 지역을 중심으로 지진 발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시추 과정에서 주변 지역에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건데요.

실제로 석유 시추와 지진은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 건지, 팩트체크 '알고보니'에서 확인해 봤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37d67a6a1ba11f087fbf2d43eba7ffe1bfc4d812e2b8f4e2df1c488

네덜란드 북부에 위치한 유럽 최대규모의 천연가스 매장지인 흐로닝언 가스전.

1959년 발견돼 여전히 4천 5백억 제곱미터의 가스가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네덜란드 정부는 두 달 전 이곳을 영구 폐쇄했습니다.

지난 1986년부터 이곳에서 발생한 지진은 약 1천6백 건.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06834b6b0ad11fb9af534794b7ae366c699dbff58f73f3b08ca15fea9

조사를 진행한 네덜란드 정부는 "흐로닝언에서 추출된 가스가 지진을 일으킨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36c34b6b0ad11fb9ad09535fe68f79983ed253086d2458c2abe065bbe

가스 추출로 지표면 아래 암석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든 게 지진의 원인으로 분석된다는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26934b6b0ad11fb9ac9569098bc3091178ef0800d7405456a76ad48cf

미국의 주요 석유·가스 생산지인 오클라호마주.

이곳에서는 2010년부터 갑자기 지진이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전에는 1년에 평균 두 번 정도 일어나던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2015년에는 1천 번 가까이로 치솟은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56834b6b0ad11fb9a583a5af2dc9c2cf147a9f792782039ebff6e6d44

2010년대는 미국에서 시추 기술 혁신으로 석유과 가스의 대량 생산이 이뤄진 셰일 혁명 시기.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9dd346e34b6b0ad11fb9a4c08fb32569c8ef29883fd1c3de858adda0de11e

미국 에너지정보청은 "지진 발생의 증가는 셰일에서 채굴하는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량이 늘어난 시점과 일치한다"고 분석했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7d67a6a1ba11f08774dc7f0741a2196e462434d2faca63ce6048b7

그 원인으로는 수압파쇄라는 채굴 방식이 지목됩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06934b6b0ad11fb9af413ad766cb6fc2e8014077a5a6d28ea8d006c60

이 공법은 땅속에 설치한 파이프에서 엄청난 압력으로 화학물질이 섞인 물을 쏘는 방식으로 원유와 가스가 저장된 암석을 깨는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36f34b6b0ad11fb9a6ad134cd29ac757ceb7170b91daa87e689bbfeaf

이때 나오는 폐수를 지하 저장소에 보관하는데, 이게 지층을 자극해서 지진이 발생한다는 게 미국 지질조사국 견해입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6d34b6b0ad11fb9ad91afdbf804218f86244e2e8c9a0eda8500bbd3a

실제로, 오클라호마주가 폐수 처리 과정을 규제하기 시작한 이후, 지진은 줄었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6e34b6b0ad11fb9a4e62abcef1833ea7333bd3abe36d2640f7355e6b

반대로 지진 걱정 없이 안전한 유전도 있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26534b6b0ad11fb9a428b5edfabd62c80b2638327303ee68ce7aa4aa0

유전 주변의 단층 구조와 지반의 성질은 어떤지, 유전의 위치가 육지인지 바다인지, 또, 시추 공법이 뭔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지진 발생 가능성이 달라지는 겁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56534b6b0ad11fb9a92f5aee7d7b6d875b5fea6fec8269456e2b428a9

이제 막 개발을 추진 중인 동해의 경우 현재 단계에서 그 가능성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edd346e34b6b0ad11fb9ab3aa54c630291bf5a15589c6abe5976e839079dc


a1451c666907c42cbe4a5d75d391a8fad7c2776b7b5c477bfe58fbbe160dd1a73b5e0507d8ea8371a9ecf78ee4b4783076dd2ddd5c195affc8f167362234eb322606b40cf625236e0f269d73ba7a9b85e8012c9d4e8691d0493d05c1fd9c56907187ad7c0356cda072efa5f0470539e6bcd6b1f9308fdd357d67a6a1ba11f0870c719c8a934e35b0371f89929f40447440fb14

탐사 시추 단계에서의 지진 발생 가능성은 희박한 만큼, 과한 기대나 공포를 갖기보다는 과학적인 분석과 투명한 검증으로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54505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9

395

원본 첨부파일 16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41393
썸네일
[일갤] [도쿄 템포 3박 여행기] 2일차_ 요코하마/에노시마/가마쿠라 (초스압)
[19]
호우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8288 22
241391
썸네일
[바갤] (스압) 개발팀도 버린 게임 바람의나라
[347]
바갤러(93.177) 06.22 30173 513
241389
썸네일
[카연] 모험가 용역 장씨 - 9
[33]
엠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9845 55
241388
썸네일
[이갤] 라면 사진만 보고 강호동 1박2일 찍을 때 라면 6봉 때린거 맞춘 이수근
[16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1548 124
2413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플래시 게임 "고향만두"의 비밀.jpg
[1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2000 199
241383
썸네일
[유갤] 달짝지근해 촬영하다가 스태프한테 입구컷 당한 유해진, 김희선
[84]
ㅇㅇ(155.94) 06.22 22987 80
241381
썸네일
[인갤] 메트로배니아에 대한 생각 & 게임별 리뷰
[166]
ㅇㅇ(49.168) 06.22 13259 41
241379
썸네일
[싱갤] 드래곤과 사이좋아지는.manhwa
[167]
스푸마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2054 266
241378
썸네일
[상갤] <맨 오브 스틸>에 관한 몇 가지 사실들…
[132]
어텀스나이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19898 156
241376
썸네일
[디갤] 아무리 봐도 후지단은 겁쟁이가 맞는듯
[40]
자바시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6851 19
241374
썸네일
[모갤] 부산 지하철 객실 안내기 이야기-2편(1호선 91년식 전동차의 안내기)
[46]
카마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10621 25
24137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90년대 아파트 모델하우스
[538]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0569 117
241371
썸네일
[이갤] 매일밤 닭 1마리를 목 부위만 공격해서 죽인 미스테리한 사건의 진범
[24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4451 228
241369
썸네일
[인갤] RedDawn 개발일지
[72]
샤오룽왕만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16345 61
241365
썸네일
[토갤] [BBC] 잉글랜드 유로 분석 케인 살리려면 러너가 필요해
[2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2470 107
24136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쿠지라이식 라면촌.gif
[354]
아싸아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9253 464
241361
썸네일
[대갤] 펌)한국인들은 잘 모르는 아프리카 흑인 왕국들
[294]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1741 157
241359
썸네일
[이갤] 농장에서 날아다니던 셰퍼드가 집에만 오면 육아 안하고 무기력했던 이유
[1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9690 141
241357
썸네일
[해갤] 한일월드컵이 좋은 성적을 낼수있었던 이유.jpg
[537]
해갤러(211.234) 06.22 44449 795
241355
썸네일
[유갤] 이렇게 많은 황소개구리 올챙이떼는 처음 본다고 말하는 유튜버.jpg
[256]
ㅇㅇ(146.70) 06.22 33807 145
24135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몸캠피싱 대처 레전드
[403]
론사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65449 187
241351
썸네일
[카연] 냉혹한 뒷세계의 의뢰.manhwa
[84]
권일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3962 228
241349
썸네일
[이갤] 한국이 식민지였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일본 1020대.jpg
[10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5689 423
241347
썸네일
[야갤] 오늘 뉴진스를 저격한 일본 방송 ㄷㄷ
[888]
ㅇㅇ(119.207) 06.21 59620 1205
241343
썸네일
[싱갤] 안 싱글벙글 소개팅 여자어 번역
[6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65032 1359
241341
썸네일
[디갤] [이야기]가 있는 사진
[32]
carb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1230 31
241339
썸네일
[카연] 표정으로 싸우는 만화.manhwa
[115]
닭또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1557 227
241337
썸네일
[봇갤] 일본 총선에 출마한 봇치에 대해 알아보자
[235]
지카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0253 288
24133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제강점기 문관총독에 대해서 알아보자.text
[228]
페키니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7516 66
241333
썸네일
[일갤] 일본의 재밌는 이름의 역들
[188]
카가야키501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3558 82
241331
썸네일
[이갤] 1박 2일 저녁식사 게임머니 경매.jpg
[1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3441 81
2413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25년 전 다큐멘터리 보고 무작정 스리랑카 집시 찾아간 유튜버
[180]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6150 255
241325
썸네일
[넨갤] [나만의 넨도로이드 만들기] '명왕' 문재인 1편
[155]
레베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1845 77
241323
썸네일
[주갤] 삼전 퐁퐁이 멸망!
[694]
36살아기(122.202) 06.21 48472 502
2413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쓰레기산.jpg
[401]
딸근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8187 341
241319
썸네일
[헬갤] 운동 더 하고 가겠다는 권은비를 굳이 빨리 보내는 이유.jpg
[308]
헬갤러(185.247) 06.21 56362 400
241317
썸네일
[주갤] 남중국 vs 북중국 여자 차이점
[502]
ㅇㅇ(59.22) 06.21 37209 105
241315
썸네일
[카연] 거유 음침녀의 옷 쇼핑 만화
[537]
방실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8536 515
241313
썸네일
[디갤] 2024 상반기 결산 - 메인바디편 (50장)
[36]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9945 30
241311
썸네일
[싱갤] 루마니아 현지에서 헌팅 성공한 어느 일본인
[2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0219 143
241309
썸네일
[해갤] 최악으로 비열한 토트넘, '피해자'에게 해결 강요...
[207]
ㅇㅇ(45.128) 06.21 21150 44
241307
썸네일
[군갤] (feat.북진) 몹시 구차해보이는 푸틴의 변명.jpg
[467]
외신번역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0184 323
241303
썸네일
[이갤] 수백만에게 공유중인 잘못된 생활팁.jpg
[4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7963 506
2413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청담동 바버샵 처음 가본 연예인
[353]
이게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7371 121
241299
썸네일
[미갤] 곽튜브에 제대로 탑승한 테팔
[196]
ㅇㅇ(146.70) 06.21 41136 152
241297
썸네일
[닌갤] 12년전 닌텐도.jpg
[309]
0000(221.164) 06.21 46135 179
241295
썸네일
[주갤] 상향혼 정당화를 위해 총결집한 한국여성들.jpg
[1190]
ㅇㅇ(211.234) 06.21 44209 1416
241293
썸네일
[싱갤] 카미카제의 유래와 한국인 특공대원 탁경현 이야기..
[375]
ㅇㅇ(61.37) 06.21 17664 81
241291
썸네일
[부갤] 매번 두칸 차지하는 민폐주차... 건장한 체격이라 말하기도 무서워요
[260]
ㅇㅇ(146.70) 06.21 25450 63
241289
썸네일
[리갤] 롤갤교양) 만델라 효과
[280]
백련(156.146) 06.21 40361 77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