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4.26 미국 시황 및 일정(수정 + 블룸버그 5가지이슈)

정보글(1.251) 2021.04.26 19:17:01
조회 10804 추천 61 댓글 59

주요 일정


4.26 미국 내구재 수주

4.26 독일 IFO 기업환경지수

4.27 미국 CB 소비자신뢰지수

4.27 중국 산업이익

4.27~28 미연준 FOCM



* 시장 : 경제지표 개선 훈풍 속 증세 충격 완화. 증시 반등, 금리 상승


* 미국 4월 제조업, 서비스업 PMI 60.6, 63.1로 사상 최고치


* 자본이득세 인상 공화당 반대 가능성 제기. 제한적 상승 예상에 전일의 충격 완화


* 미국 유럽 코로나 고령층 80% 넘기며 입원율, 사망률 급감 반면 인도는 통제불능, 일본 3번째 긴급사태


* 방어주 제외 전 업종 강세 은행, 항공, 유통 등 민감주 강세 성장주는 반도체, 플랫폼 강세


* FAANG+테슬라 실적, FOMC, 바이든 연설(28일) 주목


* 유럽 증시는 제조업, 서비스업 서베이 지수 호조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재확산 우려 지속되며 하락


* 일본 증시는 코로나 재확산과 미국 자본소득세 인상 우려에 하락


* 중국

- 미중 갈등 우려에도 대형주와 성장주 중심으로 상승

- 미국 '2021 전략적 견제 법' 통과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법안 심의 중단을 요구

- 시진풍 주석은 기후 정상회의에서 2030년 탄소 배출 정점, 2060년 탄소 중립 실현 목표를 강조



미국 중국 지수 PER, EPS 비교

img.png


* 주요 지표


- 미국 마킷 제조업 PMI 60.6 (예상 60.5)

- 미국 마킷 서비스업 PMI 63.1 (예상 61.9)

- 유로존 마킷 제조업 PMI 63.3 (예상 62.0)

- 유로존 마킷 서비스업 PMI 50.3 (예상 49.1)

- 영국 소매판매 MoM +5.4% (예상 +1.5%)



* 외환


- 달러 인덱스는 바이든의 자본이득세 증세 여파 이어지며 하락

- 달러/유로는 빨라지는 백신 보급 속도 등에 힘입어 4월 PMI 서프라이즈 기록하며 상승

- 엔/달러는 미국 시장금리 박스권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소폭 반락



* 채권


- 미 국채 10년 금리는 전일 대비 2.0bp 상승한 1.558%

- 2년물과 10년물 금리 스프레드는 140bp로 전일 대비 0.9% 확대

- 예상치를 뛰어넘은 미 경제지표에 뉴욕 주식시장이 1% 넘게 오르면서 국채 수익률 상방 압력



* 원자재


- WTI 최근월물은 전일대비 1.2% 상승한 62.14 달러 마감.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의 경제 지표 호조에 유가상승

- 금 가격은 전일대비 0.3% 하락한 1776.7 달러 마감 경기 회복 기대에 따른 불확실성 감소로 금 하락



전일 자산 가격 동향


img.png

img.png


* TSMC 중국 난징공장 28 나노 라인 증설에 28.9억 달러 투자


* 엔비디아와 볼보 자동차가 자율주행 협력을 확대

- 볼보 신형 차량에 엔비디아 드라이브오린을 사용한 자율주행 환경을 구축한다고 발표


* 인도 태블릿 시장 1위 레노버 2위 애플 3위 삼성전자

- 시장조사업체 CMR의 보고서에서 삼성전자가 지난해 태블릿 시장에서 40% 성장을 기록했으나

최근 애플에 밀리며 상황이 낙관적이지 못하다고 언급


* 애플 신형 아이패드 프로에 대만 디스플레이 장착

- 통상 애플의 신제품에는 삼성/LG 등 한국 기업들이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를 공급한다는 공식이 깨졌다고 평가

- 미니 LED는 대만 에피스타에서 공급 디스플레이 칩 모듈은 TSMT가 담당 LCD 패널은 대만의 AOU가 납품


* BMO CAPITAL의 애널리스트는 아마존에 대해 비용 감소에 따른 강력한 이익률 예상

목표주가를 4,000달러에서 4,200로 상향 조정


* 룰루레몬 2021년 5월 기점으로 중고 의류 판매사업을 개시한다고 발표

- '리커머스(재활용 경제)'를 사업 모델에 편입한 몇 안되는 기업 중 하나이며 긍정적인 선례로 작용한다고 분석


* 테슬라는 솔라루프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들에게 파워월 무료제공

- 솔라루프의 가격을 50% 가량 인상 했으며 이유를 밝히지 않음

- 일부 고객들 계약 완료 후 $9000~ 12000의 비용인상을 통보받음

- 대신하여 $ 7,500 상당의 파워월(ESS)를 무료 제공함


* 중국 에너지 저장용량 5년 동안 2배 늘릴 것


* 중국 1분기 공모펀드 2,000억 위안 순손실 기록



시장지수


img.png

img.png


원자재 (4.26 09:02분)


img.png



오늘의 5가지 이슈: 글로벌출구전략·연준, 中화융

(블룸버그) — 캐나다 중앙은행이 지난주 주요 경제 중 처음으로 팬데믹발 긴급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테이퍼링)하기로 결정하면서 통화부양책 출구전략을 시사한데 이어 러시아가 금요일 시장 예상보다 큰 폭의 50bp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테이퍼링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의견이 엇갈려 6월 예정된 차기 회의에서 정책위원들이 열띤 논의를 예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준은 이번주 FOMC 회의에서 기존의 완화적 스탠스를 유지하겠지만 경제회복 모멘텀이 강해지면서 출구전략 시그널이 나올지 주목된다.뉴욕증시는 4월 마킷 미국 종합 PMI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추가 경제회복 신호에 금요일 애플을 비롯한 기술 대표주와 소형주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투자자들은 바이든의 부자증세와 글로벌 감염 급증, 기업 실적 전망 등을 가늠하며 연준 FOMC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달러지수(BBDXY)는 주간기준 0.6% 하락해 12월래 처음으로 3주 연속 후퇴했다. 미국 경제지표 호조와 견조한 기업 실적에도 불구하고 1분기 랠리 조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월가 전문가들은 상반된 달러 전망을 제시했다.

중국 화융자산관리공사는 2020년 실적 발표가 마감 시한인 4월 30일을 넘겨 지연될 예정이라고 밝혀 디폴트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더할 수 있다. 화융의 회계감사인이 명시하지 않은 특정 거래를 마무리하는 데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당초 3월 31일 잠정 실적 발표 시한도 같은 이유로 넘긴 바 있다. 화융은 모든 사업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질만한 주요 이슈들이다.

img.jpg


ECB 테이퍼링


유로존 경제가 4월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유로는 달러 대비 0.7% 가량 급등했다. 서비스 PMI는 8개월래 처음으로 50을 넘어 확장으로 돌아섰고, 제조업 PMI는 63.3으로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위원들은 6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팬데믹 긴급 채권 매입 프로그램(PEPP) 속도를 늦추기 시작할지 여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부 논의에 정통한 소식통이 밝혔다. 지난 정례 회의는 아무런 정책 변화 없이 조용히 지나갔지만, 오는 6월 10일 결정은 훨씬 복잡하고 열띤 논쟁이 될 수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일부 정책위원들은 경제가 올 하반기에 팬데믹으로부터 강한 회복을 보일 것으로 보고 3분기부터 PEPP 테이퍼링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할 태세다. 다른 이들은 경제 부진 가능성에 대비해 운신의 폭을 확보하자는 쪽으로 보다 신중한 접근방식을 원한다.

해당 보도에 이탈리아 국채 10년물 금리는 반등해 한때 4bp 가량 올라 0.8% 부근을 시도했다. 라가르드 ECB 총재는 지난 목요일 정책 결정 후 테이퍼링은 “시기상조”라며 아직 공식적으로 논의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ECB는 지금까지 PEPP를 통해 거의 1조 유로의 자금을 경기 부양에 쏟아부었다. 연초 가파른 미국 경제 회복에 따른 글로벌 금리 급등세에 3월 채권 매입 속도를 크게 높이기로 결정한 뒤 주간 순매수를 평균 170억 유로로 연초 140억 유로에서 확대했다. 4월 부활절 연휴를 감안할 때 실제 매입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금리 인상


미국 제재조치 우려 속에 루블화 변동성이 인플레이션을 위협함에 따라 러시아 중앙은행은 금요일 기준금리를 5%로 50bp 깜짝 인상하고, 추가 긴축 가능성을 시사했다. 블룸버그 설문조사에서 41명의 이코노미스트 중 13명만이 50bp 인상을 예상했으며, 28명은 25bp 인상을 내다봤다. 이에 달러-루블화 환율은 한때 1% 가까이 급락했다. 엘비라 나비울리나 러시아 중앙은행 총재는 “중립적 통화정책으로의 복귀가 지연될 진정한 위험이 있다”며, “이같은 리스크로 인해 앞으로 보다 심각하고 상당한 금리 인상이 필요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추가 인상을 고려하겠다며, 심지어 또다시 50bp 인상도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올해말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기존 3.7%-4.2%에서 4.7%-5.2%로 높이고, 물가상승률이 계속해서 예상치를 상회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ING Bank의 Dmitry Dolgin은 이번 정책결정과 코멘트 모두 “매우 매파적”이었다며, 올해 추가 두차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보인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타이밍에 있어서 러시아 중앙은행의 조심스런 가이던스에도 불구하고 긴축 기조가 더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르면 6월 차기 정책회의에서도 추가 움직임이 나올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 GDP·연준 주목


미국 경기 회복세가 가팔라졌다는 증거가 이번주 시장의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이다. 블룸버그 설문조사 결과 한국시간 29일 밤에 발표될 미국 1분기 GDP 성장률은 연율 6.9%로 이전치 4.3%에서 크게 개선된 것으로 예상됐다. 개인소비는 1분기 10.3% 증가가 예상되며, 3월 내구재 주문과 개인 소득 및 소비, 4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기대지수 역시 확실한 개선세가 기대된다. 바이든 재정부양책과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 팬데믹 규제 완화 등이 경제활동에 탄력을 불어넣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연준은 오는 FOMC 결정에서 기존 경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를 제로 부근에 동결하고 월간 1200억 달러 규모의 채권 매입 프로그램 역시 크게 변경하지 않을 전망이다. 파월 연준의장은 현지시간 수요일 마무리되는 이틀간의 FOMC 회의에서 서프라이즈는 없을 것이라며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그는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이 여전히 경제에 리스크 요인이라고 지적하며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해 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연준이 정책 성명서에서 경제 회복세의 지속적인 가속을 인정하면서도 양적완화 테이퍼링의 조건에 대해선 추가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 금리인상 타이밍

향후 몇 년간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에 베팅하는 금리 트레이더들에게 99라는 숫자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99는 2023년 12월 만기 유로달러 선물이 일주일 이상 머물러 있는 가격 수준이다. 4월초 만해도 연준이 보다 매파적 스탠스로 끌려갈 것이란 전망이 대세였으나 이제 그 열기는 상당히 식은 분위기다. 시장은 잠시 기로에 서서 방향을 가늠하는 듯 보인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이 통화정책 기조를 조정하거나 채권매입 테이퍼링을 시사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연준위원들은 2023년 말 전까지는 금리를 올릴 생각이 없음을 시사했다.

Manulife Investment Management는 새로운 경제지표가 예상을 뛰어넘을지 확인해야 한다며, 연준이 3월 회의에서 새로운 정책틀을 기반으로 당분간 관망하겠다는 자세를 취한 점은 매우 잘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현재의 유로달러 포지션을 보면 연준 긴축 주기의 타이밍에 대한 트레이더들의 기대를 굳히는데 새로운 재료가 필요한 모습이다. 1분기에 목격했듯이 시장은 예상보다 빠른 경제 성장세에 공격적으로 리프라이싱에 나서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타이밍은 중요하다. 이같은 움직임은 트레이더와 연준이 추세에 뒤처질 경우 다시 나타날 수 있다.



출처: https://woon2018.tistory.com/27



출처: 미국 주식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61

고정닉 17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831/2] 운영자 21.11.18 5812830 437
241700
썸네일
[이갤] [스압] 곧 화보 찍어야되서 체중조절때문에 1일 1식 들어간 배우 구성환
[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0 573 4
241698
썸네일
[싱갤] 전투기를 먼저 떠나보내는 조종사의 눈물
[87]
이리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0 15559 83
241697
썸네일
[카연] 검성할배가 도적들 우당탕탕 퇴치한 만화 - 上
[29]
머래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50 2425 53
241695
썸네일
[만갤] 반다이만 할수있는 장난감팔이
[51]
ㅇㅇ(118.40) 18:40 4808 37
24169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들어가기 겁나는 노포 중국집
[1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30 9037 11
241690
썸네일
[위갤] 위증리) 기원 증류소 투어 후기 (스압)
[22]
알중아니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 1865 16
241688
썸네일
[이갤] 한국 VIP 고객에 고소당한 해외 명품 브랜드 CEO
[225]
이갤러(210.179) 18:00 11473 86
241687
썸네일
[싱갤] 사자의 투쟁
[1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0 6016 73
241685
썸네일
[탈갤] 적정온도 26도는 개소리임.
[544]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0 19027 376
241683
썸네일
[주갤] (스압) 현재 군대 비하로 난리난 광고영상
[539]
주갤러(106.101) 17:30 16945 624
241682
썸네일
[대갤] 파키스탄, 코란 훼손했다며 경찰서 부수고 살해... 시체도 불태워
[27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20 8915 250
241680
썸네일
[싱갤] 로스쿨 없애야 한다는 현강 1타강사
[627]
싱붕이(1.177) 17:10 31180 363
241678
썸네일
[무갤] 애완동물 폭증중인 태거한
[161]
조선인의안락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0 14026 135
241677
썸네일
[의갤] 미국 유명 암센터 종신 교수가 보는 한의학으로 암치료
[296]
ㅇㅇ(172.225) 16:50 10967 101
241675
썸네일
[주갤] 우크라이나 한심한 근황(여성 징병 안하는 미래 나거한)
[7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0 17572 542
2416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럽의 요일들을 알아보자
[87]
도시드워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20 11141 39
241670
썸네일
[이갤] 유쾌한 아일랜드인들 만난 여행 유튜버 .jpg
[9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0 13108 91
241668
썸네일
[일갤] J2리그 가고시마 경기 직관하고옴
[35]
닛산노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0 4121 25
241667
썸네일
[배갤] 뉴진스럽다 기사 떴다 ㅋㅋㅋㅋ
[1573]
ㅇㅇ(223.39) 15:50 30663 847
241663
썸네일
[대갤] 이탈리아에 나타난 평화의 소녀상...일본 정부 방해 단호히 차단한 이태리
[50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0 10952 243
241662
썸네일
[기갤] [단독] 한동훈 선거 캠프 이름은 '시작'
[794]
ㅇㅇ(211.234) 15:20 13711 175
241660
썸네일
[부갤] 이런 중국에선 못살겠다! 중국 부자들 대탈출
[312]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 16624 220
24165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성년자 여제자 앞에서 무릎꿇고 미안해 사랑해
[268]
가상현실여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0 26616 89
241655
썸네일
[이갤] 미국여자가 생각하는 ㄱㅊ 사이즈.jpg
[520]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0 39938 182
241653
썸네일
[메갤] 일본이 발전 할 수 없는 이유
[543]
ㅇㅇ(218.53) 14:30 25068 194
241652
썸네일
[카연] 드래곤과 폴리모프 이야기
[226]
제랏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0 16830 420
24165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커뮤에서 정년까지 쌉가능하다는 대기업 근황
[429]
ㅇㅇ(116.121) 14:10 41413 212
241648
썸네일
[부갤] 결혼을 약속한 남자에게 집주소를 속였습니다
[212]
ㅇㅇ(152.44) 14:00 25636 255
241647
썸네일
[야갤] 성공한야붕이.. 화끈하게 불금 호캉스 FLEX~
[320]
ㅇㅇ(118.235) 13:50 30305 520
241645
썸네일
[싱갤] 100만 유튜버 달씨 전세사기 폭탄돌리기 논란
[968]
정복자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0 51074 656
241643
썸네일
[이갤] 유진박 2024년 최신 근황.jpg
[243]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22964 155
241642
썸네일
[대갤] 중국, 대만 독립파는 사형시키겠다... 대만은 반발하며 동요 억제 주력
[421]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15103 228
241640
썸네일
[해갤] [유로2024] 크리스티아누호날두 > 브페 어시장면 gif
[143]
ㅇㅇ(183.97) 13:10 11738 98
241637
썸네일
[싱갤] 한국 핵무장론 확산
[1173]
초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29346 410
241635
썸네일
[군갤] 할리우드식 전쟁영화 고증.jpg
[182]
군지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0 26532 358
241633
썸네일
[기갤] 헐... 북한에도 배달 어플이 있다고?.jpg
[2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22562 58
241632
썸네일
[이갤] AV 여배우.. 아들 자랑 ..jpg
[917]
3dd(121.183) 12:20 50402 384
241630
썸네일
[싱갤] 2000년대 한국 일진들 사진..JPG
[517]
방파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30301 115
241628
썸네일
[더갤] 유시민 "애완견 한마디에 난리…그런 태도로 윤석열과 싸워 봐라"
[580]
고닉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22031 129
241627
썸네일
[대갤] 중국 남부 최악의 폭우로 최소 50명 이상 사망... 북부는 최악의 가뭄
[31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13583 224
241625
썸네일
[싱갤] 냉혹한....해적으로 전직한 중국 해경의 세계...jpg
[214]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18888 253
241623
썸네일
[디갤] 2024 상반기 결산 - 서브바디편 (50장)
[29]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4103 12
241622
썸네일
[유갤] 전성기 할리우드 고전 여배우들의 와꾸...gif
[258]
leel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4050 357
241620
썸네일
[카연] [전쟁으로 보는 한국사] 고구려-수나라 전쟁.manhwa
[299]
브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0979 152
241618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국공립 대학교 전체 비상
[833]
ㅇㅇ(14.43) 11:00 51235 671
241615
썸네일
[대갤] 충격! 선거 게시판에 독도는 일본 땅 도배... 장당 9만원 돈벌이
[33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15822 163
241613
썸네일
[이갤] 가수 이홍기가 제일 싫어하는 타입.jpg
[452]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35737 530
241612
썸네일
[야갤] 전주 공장...19세 노동자 사망 ㄹㅇ...jpg
[1170]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50246 864
2416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의 몰락, 그리고 미국과 유럽.jpg
[895]
ㅇㅇ(1.218) 10:10 26421 14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