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사신 양 날아올라내리꽃는발차기』제224화에 대한 전국적 당대회앱에서 작성

사다새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01 08:29:28
조회 41 추천 0 댓글 0
														

종래의 철학자들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해 왔을 뿐이다.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e720760afc1261aba35d79a52701a1233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f7207d61fb4e6dbe9c7fe969a50439b21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87207ccbe98567121d2b96e4c542dbef8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9720726a4f81ff59f77f548e0abb24636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a7207569920e45628aee4a928f72d033b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b720715512a5ef492719604ec0e197498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472075afbec2cdff9d9c780a567c7f01c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57207ee00d0d8c89bb26d435379274716

변증법이 난해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만약 형식 논리학에 일정 정도 지식이 있는 동지라면 그것이 통속적인 논리 사유와 간격이 너무 커 보이기 때문에 어려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중에 판매되는 코어 논리학이 제공하는 설명―조건문을 다룸에서 그것을 실재와 무관한 것으로 전제하거나, 또는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영역에 관한 언급이 전무하거나, 개념·판단·추론의 상호 규정적이고 상호 정립적인 측면을 아예 무시하는―에 경도된 상태라면 변증법을 자기의 세계관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사례는 제가 볼 때 극소수인 것 같습니다. 형식 논리학에 관한 기초 지식을 갖춘 사람조차 우리나라, 적어도 청년 세대에선 드뭅니다. 대부분은 변증법, 그중에서도 가장 고도의 체계를 갖춘 헤겔 변증법의 용어나 개념이 자기에게는 너무 생경하다는 데 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우 문제는 딱 하나, 철학사 지식이 없는 것으로 귀착합니다.



변증법을 이해하기 위해선 고대에서 근세에 이르기까지 형식 논리학이 어떠한 발전 과정을 거쳤으며, 또 어떠한 비판 과정을 거쳤는지 알아야 합니다. 형식 논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 단계―그 유명한 『분석론 전서』로 압축되는―에선 용어 논리(term logic) 형태로 나타났고, (비록 그전 메가라 학파에 의해 예비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스토아 학파의 제논 그리고 크리시포스의 단계에 이르러서야 명제 논리(propositional logic)의 형태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스토아학파 명제 논리에 관한 단편은 한스 폰 아르님(Hans Von Arnim)이 묶은 『고대 스토아학파 단편집(Stoicorum Veterum Fragmenta)』 두 번째 권 논리학 파트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속하는 단편의 원 출처는 일부 국문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이미 이 두 영역에서 헤겔이 주요하게 구사하는 용어와 개념의 9할 이상이 등장합니다. 고대 형식 논리학에 관한 기초 지식이 없이는 변증법이 형식 논리의 어떠한 측면을 비판 대상으로 삼고 발전해 왔는지 감을 잡기 어려울 겁니다. 다행히도 아리스토텔레스 주요 저서는 대부분 완역되어 있고, 스토아 학파 명제 논리에 관한 내용 또한 국내 개론서를 통해서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아리스토텔레스를 더욱 중시하는 이유는 그의 논리학에서 (비록 그가 가진 형이상학적 사고 때문에 제한적이지만) 변증법적 요소가 매우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레닌이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 관해 언급한 그대로, 변증법의 생생한 싹들과 변증법에 대한 ‘요구들’이 그 철학 체계 도처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스콜라주의와 교권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죽은 것을 취했으며, 살아있는 것은 버렸”(LW, 38, 366.)습니다. 반면 스토아 학파 논리학에는 변증법적 요소가 전무하며, 지엽적으로는 단순 조건문 또는 단순 명제의 성격―부정명제(to apophatikon)·부정단언명제(to arnitikon)·결여명제(to steritikon)·긍정단언명제(to katigorikon)·지칭명제(to katagoreutikon)·부정칭명제(to aoriston)―과 추론 형식에서 연결사 종류―연언(p∧q)· 배타적 선언(p⊕q)· 조건(p→q), 그리고 조건을 표시하는 또다른 연결사 하나와 가능성의 우열을 표시하는 연결사 하나―를 분류하는 기준을 보았을 때 그 내용 상 혼란이 심한 편(현대 논리학과 비교했을 때)입니다.



소요학파의 일원인 아프로디시아스의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아리스토텔레스 『변증론(Topika)』 주해에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이 당대 스토아 학파 논리학보다 고도화된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전하고 있는데, 그 역시 스토아 학파의 형식주의가 내재하는 한계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해석을 가한 것입니다.



헤겔 역시 스토아 학파 논리학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습니다:



“형식 논리로서 그것[스토아학파]은, 근거에 관한 확고하고 확실하며 변하지 않는 파악으로서의 학(學)이며, 그것은 이에 관한 통찰에서 인식의 전개를 멈춘다. 이 논리는 본질적으로, 그 자체에 대립하지도 않고, 모순을 이루지도 않는 개념의 단일성(Einfachheit)으로 도피하는 것에 발군으로 되는 것을 우위에 둔다. 그 자체에 부정성도, 내용도 없는 이러한 단일성은 [그 자신의 확립을 위해] 떨쳐낼 수 없는 것으로서 특정한 내용을 요구하는데, 그것은 그 자신을 통해 이러한 특유의 다른 어떤 것(eigentümlich Anderem)도 마련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스토아학파는 종종 논리학을 가장 분절적인 방식으로써 탐구해 왔다.” (G. W. F. Hegel,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II, Gesammelte Werke, Bd. 14, Berlin: vollständige Ausgabe, 1842, S. 402.)



동지들은 이 학파의 유물론적 심리학설에 주의를 기할 게 아닌 이상, 개론서만 보고 건너뛰어도 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은 13-14세기에 걸쳐 서구 사회에서 폭넓게 수용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형식 논리학과 변증 논리학 사이 수차례 학문적 격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에 관한 내용이 국내에 폭넓게 소개된 바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을 해외 저술을 통해 습득해야 합니다. 사실 로렌초 발라(Lorenzo Valla), 루돌푸스 아그리콜라(Rodolphus Agricola),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나 니콜라우스 쿠자누스(Nicolaus Cusanus)와 같은 뛰어난 변증가들도 이 시기 토미즘과 아베로에스주의 간 격돌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중 그나마 번역되어 있는 학자가 뒤의 두 명이고, 네 학자 중 변증 논리학에 관한 가장 비상한 저술을 낸 쿠자누스 철학 체계는 아주 중요합니다. 발라는 아직 수사학의 영역 내에 있었고, 아그리콜라는 수사학과 변증 논리학 사이 어딘가에 위치해 있었으며, 에크하르트에게는 논리학에 관한 정형 체계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의 흐름에 관한 것은, 국내에 번역되어 있는 쿠자누스 저서를 읽는 것으로 현재로선 충분하다 할 수 있습니다.



헤겔이 『논리의 학』에서 보여준 범주적 연관은 거의 모두가 앞선 시기 논쟁의 대상으로서 거론되었던 논리학 상 범주 체계를 계승하여, 그것을 한 치의 군더더기도 없이, 변증법적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논리의 학』은 대중을 대상으로 한 책이 아니라 전문 철학의 영역에서 교육적 목적을 위해 쓰여진 논리학 강의를 통일적으로 재구성한 문헌이라서 최소한의 철학사 기반 없이 해석할 수 없는 문헌입니다.



헤겔 변증법을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해지는 변증 논리학의 지반이라고 한다면, 적어도 변증법이 논리학적으로 어떠한 성과를 가져왔고, 또 형식 논리학의 한계를 얼마나 뛰어넘었으며, 또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었는가를 알기 위해선 철학사 지식이 없으면 힘든 것입니다.

그러나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예능 출연 한방으로 인생 바뀐 스타는? 운영자 25/02/03 - -
6095042 Kfc 치킨원탑 맞나? 생각보다 별로임... [6] ㅇㅇ(1.225) 08:53 58 1
6095041 [필리핀앙헬레스클락워킹스트리트마닐라] KTV JTV BAR CLUB 만갤러(120.29) 08:52 15 0
6095040 일본 동방프로젝트 조기교육. jpg [7] ㅇㅇ(182.222) 08:52 199 4
6095039 디시광고계정은 무규규도 없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2 30 0
6095038 오줍짤 평가 ㄱ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2 83 0
6095035 만붕이 내일 자전거 받는날임 축하좀 ㅋㅋ [18] 나키리아야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1 88 3
6095034 찐따들아 괜히 화법 배우지 마라 [4] 만갤러(61.79) 08:51 93 1
6095033 록시 팬티.jpg [1] ㅇㅇ(106.102) 08:50 177 0
6095032 패로인 단다단 빠는새끼들은 바이콘들임? [3] ㅇㅇ(39.116) 08:50 65 0
6095031 이거 물가 미친거아님? [2] ㅇㅇ(1.225) 08:50 82 1
6095030 아랴양 모유에밥말아먹기 [1] ㅇㅇ(223.38) 08:50 76 0
6095029 베르세르크 << 보다가 초반에 포기했는데 [1] 시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20 0
6095028 아배고파 [1] 172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16 0
6095026 아니 시발 엔화 왤케 올랐어 [2] 만갤러(211.118) 08:50 73 0
6095025 "저기, 다른 만화 없어?" [1] 만갤러(114.206) 08:49 109 0
6095023 위치워치 정주행중인데 재밌는데? [3] ㅇㅇ(211.234) 08:49 21 0
6095022 햄버거가 남자 근육 두껍게 하는데 [1] 루치루치랜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8 30 0
6095021 짜내는건 기가막히는 여초5딩 [4] 톳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8 113 0
6095019 후부키시로<<개꼴리는 부분 메스이키쉐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8 43 0
6095018 일본 2024 애니 캐릭터 투표 마임.. [3] 오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8 47 0
6095017 유튜브가 있어서 정말 다행이다. [3] ㅇㅇ(1.233) 08:48 28 0
6095016 육포 <- 너무 비싸서 직접 만들어먹음 [7] ㅇㅇ(125.136) 08:47 59 0
6095014 일어못하는데 일본여행 어케감? [11] ㅇㅇ(1.225) 08:47 59 1
6095013 춥지만 않았어도 봉래제갔을텐데 당근에나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7 19 0
6095012 한강뷰 아파트에서 살고 싶다 만갤러(61.79) 08:47 15 0
6095010 등짝을 보자 보빔에서 나온게 아니구나 [1] 이타적인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7 54 0
6095009 모닝 오버워치 평균.jpg [4] 만븧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7 107 0
6095008 만부이 밥먹으니까 눕고싶어진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7 17 0
6095007 '이게 중국여자의 매력임' ㅇㅇ(220.123) 08:47 67 1
6095006 요즘 햄버기 가게들 키오스크 쓰면서 불편해짐.. [8] 아오자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7 72 0
6095005 폭력없어지니까 남자들이 여성스러워진듯 [2] ㅇㅇ(1.225) 08:46 44 1
6095004 디시콘 결과는 주간에 나오지? [2] KA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6 20 0
6095002 한국에 태어난것부터 이미 중위권 이상 인생이란 생각이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6 22 0
6095001 남자 근육 두껍게 할려면 [1] 루치루치랜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6 26 0
6095000 웹툰 적자 얘기하니까 그거 생각남 [6] 메스이키쉐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5 70 0
6094999 요즘 여초2딩 섹시한 다리라인레전드 ㅇㅇ(118.235) 08:45 62 0
6094998 만삐 밥해먹은거 모음..jpg ㅇㅇ(218.146) 08:45 24 0
6094997 과음만삣삐 입갤… [1] 220.6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5 59 0
6094996 700있는데 일본여행 함 갈까 [2] ㅇㅇ(1.225) 08:45 33 1
6094994 지방살면 이재명 찍어야지 [3] ㅇㅇ(223.39) 08:44 51 0
6094993 일페에서 기절한사람잇으면 저인줄아샘,,, [3] 매일라디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61 0
6094992 아침엔 역시 햄버거지 [12] 준치는생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68 0
6094991 시이발 이따 팀장따라 등산 가야된다ㅜ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50 0
6094989 섬란카구라 볼 때마다 슬퍼짐 [8] 화력이부족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3 70 0
6094988 얼리기상ㅋㅋㅋㅋ 당근에나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3 12 0
6094987 나루토 같은 만화 추천좀 ㅇㅇ [5] 채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3 52 1
6094985 일본여행 혼자가면 얼마정도 듬? [6] ㅇㅇ(1.225) 08:42 58 1
6094984 "만붕아, 안에다 싸면 어떡해..." 시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2 115 0
6094983 키+몸+꼬=200 만삣삐에겐 정답.txt [4] ㅇㅇ(118.235) 08:42 65 0
6094982 " 이게 중국 여자의 매력임 " [5] ㅇㅇ(39.7) 08:42 177 0
뉴스 소음발광, 멜론 트랙제로 2월 ‘이달의 아티스트’ 선정 디시트렌드 02.0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