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사신 양 날아올라내리꽃는발차기』제224화에 대한 전국적 당대회앱에서 작성

사다새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01 08:29:28
조회 50 추천 0 댓글 0
														

종래의 철학자들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해 왔을 뿐이다.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e720760afc1261aba35d79a52701a1233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f7207d61fb4e6dbe9c7fe969a50439b21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87207ccbe98567121d2b96e4c542dbef8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9720726a4f81ff59f77f548e0abb24636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a7207569920e45628aee4a928f72d033b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b720715512a5ef492719604ec0e197498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472075afbec2cdff9d9c780a567c7f01c

2eb2dd2fe6ed36a379ec9be74683706ce07d5c86c90c6140324eef83dab57207ee00d0d8c89bb26d435379274716

변증법이 난해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만약 형식 논리학에 일정 정도 지식이 있는 동지라면 그것이 통속적인 논리 사유와 간격이 너무 커 보이기 때문에 어려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중에 판매되는 코어 논리학이 제공하는 설명―조건문을 다룸에서 그것을 실재와 무관한 것으로 전제하거나, 또는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영역에 관한 언급이 전무하거나, 개념·판단·추론의 상호 규정적이고 상호 정립적인 측면을 아예 무시하는―에 경도된 상태라면 변증법을 자기의 세계관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사례는 제가 볼 때 극소수인 것 같습니다. 형식 논리학에 관한 기초 지식을 갖춘 사람조차 우리나라, 적어도 청년 세대에선 드뭅니다. 대부분은 변증법, 그중에서도 가장 고도의 체계를 갖춘 헤겔 변증법의 용어나 개념이 자기에게는 너무 생경하다는 데 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우 문제는 딱 하나, 철학사 지식이 없는 것으로 귀착합니다.



변증법을 이해하기 위해선 고대에서 근세에 이르기까지 형식 논리학이 어떠한 발전 과정을 거쳤으며, 또 어떠한 비판 과정을 거쳤는지 알아야 합니다. 형식 논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 단계―그 유명한 『분석론 전서』로 압축되는―에선 용어 논리(term logic) 형태로 나타났고, (비록 그전 메가라 학파에 의해 예비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스토아 학파의 제논 그리고 크리시포스의 단계에 이르러서야 명제 논리(propositional logic)의 형태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스토아학파 명제 논리에 관한 단편은 한스 폰 아르님(Hans Von Arnim)이 묶은 『고대 스토아학파 단편집(Stoicorum Veterum Fragmenta)』 두 번째 권 논리학 파트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속하는 단편의 원 출처는 일부 국문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이미 이 두 영역에서 헤겔이 주요하게 구사하는 용어와 개념의 9할 이상이 등장합니다. 고대 형식 논리학에 관한 기초 지식이 없이는 변증법이 형식 논리의 어떠한 측면을 비판 대상으로 삼고 발전해 왔는지 감을 잡기 어려울 겁니다. 다행히도 아리스토텔레스 주요 저서는 대부분 완역되어 있고, 스토아 학파 명제 논리에 관한 내용 또한 국내 개론서를 통해서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아리스토텔레스를 더욱 중시하는 이유는 그의 논리학에서 (비록 그가 가진 형이상학적 사고 때문에 제한적이지만) 변증법적 요소가 매우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레닌이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 관해 언급한 그대로, 변증법의 생생한 싹들과 변증법에 대한 ‘요구들’이 그 철학 체계 도처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스콜라주의와 교권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죽은 것을 취했으며, 살아있는 것은 버렸”(LW, 38, 366.)습니다. 반면 스토아 학파 논리학에는 변증법적 요소가 전무하며, 지엽적으로는 단순 조건문 또는 단순 명제의 성격―부정명제(to apophatikon)·부정단언명제(to arnitikon)·결여명제(to steritikon)·긍정단언명제(to katigorikon)·지칭명제(to katagoreutikon)·부정칭명제(to aoriston)―과 추론 형식에서 연결사 종류―연언(p∧q)· 배타적 선언(p⊕q)· 조건(p→q), 그리고 조건을 표시하는 또다른 연결사 하나와 가능성의 우열을 표시하는 연결사 하나―를 분류하는 기준을 보았을 때 그 내용 상 혼란이 심한 편(현대 논리학과 비교했을 때)입니다.



소요학파의 일원인 아프로디시아스의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아리스토텔레스 『변증론(Topika)』 주해에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이 당대 스토아 학파 논리학보다 고도화된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전하고 있는데, 그 역시 스토아 학파의 형식주의가 내재하는 한계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해석을 가한 것입니다.



헤겔 역시 스토아 학파 논리학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습니다:



“형식 논리로서 그것[스토아학파]은, 근거에 관한 확고하고 확실하며 변하지 않는 파악으로서의 학(學)이며, 그것은 이에 관한 통찰에서 인식의 전개를 멈춘다. 이 논리는 본질적으로, 그 자체에 대립하지도 않고, 모순을 이루지도 않는 개념의 단일성(Einfachheit)으로 도피하는 것에 발군으로 되는 것을 우위에 둔다. 그 자체에 부정성도, 내용도 없는 이러한 단일성은 [그 자신의 확립을 위해] 떨쳐낼 수 없는 것으로서 특정한 내용을 요구하는데, 그것은 그 자신을 통해 이러한 특유의 다른 어떤 것(eigentümlich Anderem)도 마련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스토아학파는 종종 논리학을 가장 분절적인 방식으로써 탐구해 왔다.” (G. W. F. Hegel,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II, Gesammelte Werke, Bd. 14, Berlin: vollständige Ausgabe, 1842, S. 402.)



동지들은 이 학파의 유물론적 심리학설에 주의를 기할 게 아닌 이상, 개론서만 보고 건너뛰어도 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은 13-14세기에 걸쳐 서구 사회에서 폭넓게 수용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형식 논리학과 변증 논리학 사이 수차례 학문적 격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에 관한 내용이 국내에 폭넓게 소개된 바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을 해외 저술을 통해 습득해야 합니다. 사실 로렌초 발라(Lorenzo Valla), 루돌푸스 아그리콜라(Rodolphus Agricola),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나 니콜라우스 쿠자누스(Nicolaus Cusanus)와 같은 뛰어난 변증가들도 이 시기 토미즘과 아베로에스주의 간 격돌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중 그나마 번역되어 있는 학자가 뒤의 두 명이고, 네 학자 중 변증 논리학에 관한 가장 비상한 저술을 낸 쿠자누스 철학 체계는 아주 중요합니다. 발라는 아직 수사학의 영역 내에 있었고, 아그리콜라는 수사학과 변증 논리학 사이 어딘가에 위치해 있었으며, 에크하르트에게는 논리학에 관한 정형 체계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의 흐름에 관한 것은, 국내에 번역되어 있는 쿠자누스 저서를 읽는 것으로 현재로선 충분하다 할 수 있습니다.



헤겔이 『논리의 학』에서 보여준 범주적 연관은 거의 모두가 앞선 시기 논쟁의 대상으로서 거론되었던 논리학 상 범주 체계를 계승하여, 그것을 한 치의 군더더기도 없이, 변증법적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논리의 학』은 대중을 대상으로 한 책이 아니라 전문 철학의 영역에서 교육적 목적을 위해 쓰여진 논리학 강의를 통일적으로 재구성한 문헌이라서 최소한의 철학사 기반 없이 해석할 수 없는 문헌입니다.



헤겔 변증법을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해지는 변증 논리학의 지반이라고 한다면, 적어도 변증법이 논리학적으로 어떠한 성과를 가져왔고, 또 형식 논리학의 한계를 얼마나 뛰어넘었으며, 또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었는가를 알기 위해선 철학사 지식이 없으면 힘든 것입니다.

그러나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7565795 여자작가 럽코 특징 하나 있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28 0
7565794 솔까 남자는 이렇게 많이 필요없긴함 [1] ㅇㅇ(220.76) 01:29 30 0
7565793 백종원은 근데 진짜 신기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57 0
7565792 진실을알고있는데 말을 못하겠음 [4] 연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35 0
7565791 아빠가 비처녀면 어떻게 함 [2] 톳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20 0
7565790 님들 저 자러감,,, [8] 매일라디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27 0
7565789 만수니 자작랩 불러밨는데 평가점 들어주세여(106.102) 01:29 21 0
7565788 어흥 [2] ㅇㅇ(106.101) 01:29 18 0
7565787 어버이날도 휴일이어야하는거 아닌가 [1] Ay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23 0
7565786 처녀하라를 광고로 쓰려면 얼마나 줘야될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26 0
7565785 나만 여자 티팬티보다 그냥 삼각팬티가 더 좋음? [1] ㅇㅇ(223.38) 01:29 53 0
7565784 만돌이,,,jpg [4] 히로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55 0
7565783 잘하는게 없으면어캄 [4] 추위사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26 0
7565782 만붕이 노래방 왔어오 [14] 테드펀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50 0
7565781 만삐 이번주 켄간 보고 옴 만갤러(118.235) 01:29 55 0
7565780 쿠로미 가능하면 개추점 めざあ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6 0
7565779 자꾸만 고집을 부리게 되는거야 [2] 무적할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19 0
7565778 미즈하라 밀당하지마 나 죽어 ㅜㅜ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15 0
7565777 만갤유동은 고닉을 파야됨ㅁ [3] ㅇㅇ(106.102) 01:28 32 0
7565776 우정펠라경험2번인데ㅁㅌㅊ임 [10] 한성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64 0
7565775 처녀하라 끄오오옷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22 0
7565773 백종원 너무 과하게 까이는거같긴함 [5] ㅇㅇ(222.232) 01:28 69 1
7565770 50년뒤 <~ 한국에 사는 사람들 이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 ㅇㅇ(211.54) 01:28 51 0
7565769 세일러문 공식일러 왤케 야하냐.jpg [1] 만고통(125.177) 01:27 58 0
7565768 번역추) 손흥민의 유관교실 특별편 개추랑 댓글 부탁드립니다 A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11 0
7565767 좆울증걸린여자애들 보통 애비이슈 있음 [2] ㅇㅇ(211.234) 01:27 32 0
7565765 키타산 하면 겨드랑이임 [2] ㅇㅇ(115.88) 01:27 65 0
7565764 음잘알만 인정하능 슈퍼셀 명곡 원탑 [2] ㅁ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32 0
7565763 내가 하렘물에서 제일 싫어하는게 [8] 마르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48 0
7565762 "키스도, 섹스도 싫지 않아" ㅇㅇ(175.112) 01:27 65 0
7565761 루데우스 이해하기 ㅇㅇ(223.38) 01:27 28 0
7565760 슬슬 완결각인가..? [12] 미즈하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61 0
7565759 우리는 모두 하나의 덩어리에서 나온 것 [5] 김호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39 0
7565758 백수 만붕이 할 줄 아는 건 코딩 밖에 없어요 [4] ㅇㅇ(132.226) 01:27 39 0
7565757 만화추천좀 [2] 엄마폰으로접속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16 0
7565756 미즈하라가 노아보단 낫지 [8] 무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49 0
7565755 수상할 정도로 굴을 좋아하는 여초12딩...jpg [3] 연어는왜맛있을까(39.117) 01:27 70 0
7565754 남편이 줄이자고 말할 정도로 성욕이 강한 [1] ㅇㅇ(39.7) 01:27 44 0
7565753 이거난데머해줄래 소나장(219.254) 01:26 13 0
7565752 인도망하면 카레못먹어서안대는데 [2] 한남대가리뚝스딱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22 0
7565751 흑백만화가 만화얘기 할때마다 때리고시펔ㅋㅋㅋ [4] ㅇㅇ(1.24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6 0
7565750 만붕이 자러갈게요 [9] 만붕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0 0
7565749 파리 아스날 <<< 솔직히 ㅁㄹ겠음,,, [7] 히로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7 0
7565748 짱원영 < 리치 존나 기네요 만갤러(211.178) 01:26 24 0
7565747 만화에서대학얘기하면 고학력자던데 [6] 2023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49 0
7565746 노아선배 돼지된거보고 몰아볼마음사라짐 추위사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20 0
7565745 커뮤에서 우울증걸린 여자애들보면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49 0
7565743 야인의 시대는 끝나고 만 것인가.. ㅇㅇ(211.235) 01:26 14 0
7565742 오늘 미즈하라 폼 왜이래 [4] 난다날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3 0
7565741 간달프 ㅇㄷ [4] Fu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28 0
뉴스 나카시마 미카, 첫 내한 공연 개최… 소외계층 초대 디시트렌드 05.0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