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중국 톈진 빈하이 지구 vs 한국 인천 송도 국제도시

CITY ULS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06.05 23:02:03
조회 456 추천 0 댓글 7








<h3 style="margin: 0px 0px 15px; padding: 0px; font-family: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4px; line-height: 22px; color: rgb(93, 93, 93); text-align: lef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표류하는 국가 사업] [1] 인천 송도국제도시
5500억 투자 글로벌캠퍼스 내년 신입생 고작 110명… 국제도시에 외국인 안보이고 아파트만 즐비한 베드타운 돼
</h3>15일 서해 바다와 붙어있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먹구름이 잔뜩 낀 가운데 장맛비가 오락가락했다. 도시 한복판인 국제업무지구에서 차를 타고 남쪽으로 10여분쯤 달리자 20층 이상 고층 빌딩과 컨벤션센터 등으로 이뤄진 대형 복합건물 단지가 모습을 드러냈다. 최근 골조 공사가 끝나고 실내 마감에 들어간 이 건물은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 말 그대로 세계 유수의 대학을 유치하려는 목표로 5500억원을 투자했고, 앞으로도 5000억여원이 더 투자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 캠퍼스에서 공부할 학생은 현재로서는 110여명에 불과하다. 미국 뉴욕주립대 한국 분교(SUNY Korea·내년 2월 말 개교 예정)가 외국 대학 중 유일하게 2개 과정에 신입생 110명을 모아 내년 3월 개교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2년 1월 연두 기자회견에서 "한국을 동북아 국제비즈니스 중심 국가로 만들자"며 인천 송도를 대표 프로젝트로 언급했다. 인천공항이 가깝고, 서울에 1시간 이내에 닿을 수 있으면서 항구(인천항)까지 갖춘 입지 여건을 고려하면 외국인과 기업이 오기에 충분히 매력적인 조건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정부는 2003년 8월 송도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면서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 지금까지 30조원에 육박하는 돈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현재 송도에 들어온 외국 기업은 25개. 연구소까지 포함하면 32개다. 그나마 한국 기업에 일부 지분 투자를 한 것이 대부분이다. 학교나 병원은 아예 없다. '국제도시'에서 '국제'는 간 곳 없고, 아파트만 즐비한 베드타운으로 전락했다.

중국 톈진(天津) '빈하이(賓海)신구'와 비교해 보면 초라한 송도의 현주소를 알 수 있다. 두 곳은 비슷한 개념의 경제특구 또는 자유도시 성격이며, 빈하이는 송도보다 뒤늦게 개발됐지만 성과는 눈부시다. 빈하이신구는 2006년 착수 이후 지금까지 4864개 외국 기업을 유치했다. '동아시아 경제 허브(Hub)' 경쟁에서 송도가 완패한 셈이다.

외국인이 없는 국제도시

송도는 외국 기업을 끌어들이기 위해 당초 대학교와 국제병원 건설을 약속했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이 바로 교육과 의료라는 점을 감안한 구상이었다. 그러나 송도에 들어온 외국 병원은 하나도 없다. 2009년 말 미국 존스홉킨스병원이 송도에 들어오기로 MOU를 맺었으나, 송도1공구의 첨단산업 클러스터 내 병원 부지는 잡초만 무성한 채 공터로 남아 있다. 한 주민은 "국내 유명 병원이라도 유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학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당초 10여개 외국 대학을 유치, 학생 수 1만명가량의 캠퍼스로 키워나갈 계획을 세웠다. 미국 조지메이슨대, 벨기에 겐트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대 등 글로벌 유수 대학 10여곳과 양해각서(MOU)를 맺기까지 했다. 하지만 실현된 곳은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하나뿐이다. 오죽하면 '송도는 MOU 도시'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외국 병원·대학 유치 실적이 거의 없다 보니 외국인을 위해 공급한 주택도 거의 팔리지 않았다.

<dl style="margin: 0px auto 10px; padding: 0px; text-align: center; width: 480px; "><d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dd></dl>
개발 사업 곳곳서 멈춰

송도와 인천공항을 잇는 인천대교 바로 옆에는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넓은 매립지가 나온다. 정부가 "외국 기업 유치에 필요하다"며 2018년까지 18조여원을 들여 지상 151층짜리 '인천타워'와 관광·레저·주거·문화시설 등이 어우러진 송도랜드마크시티를 짓겠다던 곳이다.

현장에선 굉음을 내며 움직이는 중장비나 트럭은 찾아볼 수 없었다.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참석해 대대적인 기공식 행사를 가졌지만 4년째 터 파기만 하고 있다. 당초 목표인 2014년 완공은 물 건너간 지 오래다. 사업비 조달도 안 되고 현재 사업 계획이라면 1조원이 넘는 적자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국제업무지구는 미국 게일(Gale)사가 사업을 주도했지만 기업 유치보다는 아파트 분양에만 열을 올렸다. 게일은 당초 투자하기로 약속했던 외자 유치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현재 송도에서 그나마 제대로 돌아가는 시설은 골프장과 인천대학교 등 내국인을 위한 시설이나 학교 기관들뿐이다. 

[국내 最高 동북아트레이드타워] 겉은 휘황찬란 속은 폐허 방불

송도국제도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 프로젝트는 ‘동북아트레이드타워’다. 지하 3층, 지상 68층 규모로 층고만 305m에 달한다. 그간 국내의 완공건물 중 가장 높은 서울 도곡동 ‘타워팰리스3’(지상 73층·264m)보다 41m 더 높다.

2007년 착공한 이 건물은 겉보기에는 화려하다. 푸른색 통유리로 만든 건물은 송도 내 어느 지역에서도 금세 눈에 들어오고, 햇빛을 받으면 눈이 부실 만큼 번쩍거린다.

하지만 15일 둘러본 건물 내부는 딴판이었다. 시행사(포스코건설과 미국 게일)의 자금난으로 지난 연말부터 6개월 동안 공사가 중단됐기 때문이다. 1층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니 2500㎡ 규모의 로비는 텅 비어있었다. 바닥에는 시멘트 가루만 수북하게 쌓여있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위층으로 올라가자 천장엔 전깃줄이 1m 이상 아래로 늘어져 있었다. 현장 관계자는 “아직 천장을 석고보드로 제대로 마감하지 못해 그렇다”면서 “지난 1일부터 공사 재개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건물은 6000억원을 투자해 당초 32층까지 업무 시설을 들이고 33층부터는 호텔을 지으려고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업무 시설은 임차인이 전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줄요약---
1.송도가 톈진보다 먼저시작
2.올ㅋ? 톈진이 4864개나 유치했는데 송도는 고작 32개?
3.인천 시장 "엥엥엥 국가지원 정부지원 엥엥엥"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지금 결혼하면 스타 하객 많이 올 것 같은 '인맥왕' 스타는? 운영자 24/10/28 - -
348554 남포동, 서면 메인스트릿을 바르는 동성로의 이름없는 뒷골목 [3] 아이템베(125.137) 12.08.09 72 0
348553 동성로 대단하다 다 발라버리네 ㅋㅋㅋㅋㅋ [1] 화랑관창(112.140) 12.08.09 58 0
348551 서울은 산악 도시 입니다 정신차리세여 [2] 화랑관창(112.140) 12.08.09 68 0
348549 대구 동성로는 너희들이 터치할 수준이 아니다 일본 시부야와 [1] 화랑관창(112.140) 12.08.09 79 0
348548 부산서면 직찍 ~~~~ zz(175.200) 12.08.09 63 0
348545 광복동 메인스트릿 [5] 마린시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36 0
348542 부산은행.한국은행 공사현장 zz(175.200) 12.08.09 173 0
348540 넘사벽 용산 업무지구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200 0
348539 어디가 올림픽 유치전에 뛰어 들어야 할까? [7] 기가참(59.23) 12.08.09 99 0
348537 인구대비 자료 폐업한다는 자랑스럽게 올린 태군이어디갓니 ? ㅋㅋ zz(175.200) 12.08.09 20 0
348535 연예인 서울 집들 땅값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63 0
348532 마린시티보아라 / [3] zz(175.200) 12.08.09 75 0
348531 내가 점점 상권이 커지고있는 남포동의 위엄을 보여주께 [4] 마린시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05 0
348530 세종시 뜨겠냐? 망하겠냐? [1] ㅋ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77 0
348528 서면 퀄리티 [3] 아이템베(125.137) 12.08.09 136 0
348527 다른말은 사양하지 [2] 붕어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44 0
348525 부산롯데타운 공사현장 [2] zz(175.200) 12.08.09 217 0
348524 부산금융단지 매우큰모습 공개 [ 2012년 8월 9일 최근짤 ] ★★★★ [14] zz(175.200) 12.08.09 290 0
348523 명동 한줄짜리 번화가??ㅋㅋㅋㅋㅋㅋㅋ아오 정말 [7] 화랑관창(112.140) 12.08.09 88 0
348521 김태군 의 정의 zz(175.200) 12.08.09 28 0
348520 충장로하고 성안길중에서 [5] 마린시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42 0
348519 광주시내가 유스퀘어라던데..ㅋ [5] 퐁퐁(211.234) 12.08.09 164 0
348516 청주가 광주 앞질럿다던데 사실인가요? [17] 핑핀(211.234) 12.08.09 229 0
348515 센텀에 현대백화점 부지 호텔 들어오잖아 [2] 해운대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65 0
348514 한국은 대구올림픽 유치에 올인해야함 [2] .(59.23) 12.08.09 89 0
348513 세금 쳐부은 혁신도시 명단.jpg [7] ㅇㅅㅇ(14.55) 12.08.09 233 0
348512 한국에도 유럽에도없는 신개념의 거대한 번화가>>>대구 수성.들안길 번화가 [12] 화랑관창(112.140) 12.08.09 130 0
348511 한국은 아파트 때문에 시가지 면적이 좁을 수 밖에 없음 [13] HSBC(211.246) 12.08.09 151 0
348510 ? [8] SEOUL(124.197) 12.08.09 65 0
348509 부산 남포동 번화가 사진 [12] 마린시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521 0
348507 이중에서 수도권 최대 오지는 어디? [14] 람머스출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98 0
348506 영국 데벤함스 백화점이 들어오는 범어네거리 [6] ^^(59.23) 12.08.09 316 1
348505 여기 개쩔지 않나? 람머스출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55 0
348504 고양이 최고도시라 생각한다 [4] 불타는손바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46 0
348503 성남이조아 안산이조아? [8] 김치찜(203.226) 12.08.09 155 0
348502 한국 최고의 공항 인천공항 [3] 람머스출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131 0
348496 성냥갑으로 도배된 아산시 + 구글어스 3d맵 성냥갑 [1] (175.119) 12.08.09 155 0
348495 대구가 잘 나가던 시절의 신문기사 [6] ㅇㅇㅇ(180.182) 12.08.09 253 0
348494 (필독) 아파트브랜드 순위 최신판 [1] ㅗㅗ(125.129) 12.08.09 241 0
348493 경북 新 수도 안동시 분양예정 및 분양중인 아파트 [2] 경상안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448 1
348492 어디서 원주가 [4] 違約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87 0
348491 나름 멀리서 보면 괜찮은 서울시청 [5] 몰롸몰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09 228 0
348490 한국 3대 번화가 [6] 화랑관창(112.140) 12.08.09 152 0
348489 대구는 지존 동성로말고 성서모다나 들안길 번화가로 명동.서면과 비교해야 화랑관창(112.140) 12.08.09 117 0
348488 우사인볼트를 취재하기 위해 대구세계육상대회에 왔던 bbc직원이 찍은 대구 [3] 화랑관창(112.140) 12.08.09 313 0
348486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아시아 2번째, 2013 평창 스페셜 올림픽. [1] New hozions(58.226) 12.08.09 115 0
348484 에코델타시티에 거주 인구 채울려면 [9] HSBC(211.246) 12.08.09 212 0
348483 지금 현재 3교대근무제를 하는 갤러리는 디시전체에서는 도갤이 유일하지 [5] メ부산해적단メ(116.93) 12.08.09 157 0
348482 영주촌년=태뀬이=겨울연가=부해 (도시짤있음 자르지마라) [6] 도하의방주(203.226) 12.08.09 95 0
348471 강원도의 최대도시는 원주다!!!!!!!!!!!!!!!!!!!!! [4] 엔리퀘(115.86) 12.08.09 15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