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도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도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고급 개미알밥류 음식 노리유키
- ㅇㅎ) 싱글벙글 올해 51살 시라누이 마이 근황..jpg ㅇㅇ
- 니케 시작하는 만화...jpg 오솔희
- 싱글벙글 젤렌스키 근황.jpg y
- 용사님은 내가 필요해... *민들레*
- 오싹오싹 성수대교보다 더 큰사고가 날뻔했던 다리 수인갤러리
- 가정주부들 징징 거리지 말라는 한녀 ㄷㄷ 갓럭키
- 싱글벙글 당뇨에 걸렸다 ㅇㅇ
- 카페인 인간 5 취미가만화
- 싱글벙글 옛날 예능 수위.jpg 운지노무스케
- 엄청나게 비싼 종자 가격.jpg 감돌
- "서울이 도쿄보다 별로네요"…반전 결과에 '초비상' ㅇㅇ
- 은근 사람들이 잘 모르는 개씹상남자 게임 플랫폼... 야옹이
- 싱글벙글 집 나간후 아파트주차장에서 주인만 올려다보는 댕댕이 수인갤러리
-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사실상 실패 포만한
영식 스페셜 ㅋㅋ .gif
우리의 옥순 바라기 영식 ㅋㅋ 오늘도 하염없이 옥순만 바라보고 있었는데 ㅋㅋ 옥순의 충격발언에 그저 멍해지고 만다 ㅋㅋ 응 그치만 그건 그냥 옥순이 의례적으로 하는 대화였는걸 ㅋㅋ 영식 선택할 생각은 없는걸 ㅋ 옥순의 마음도 모르고 좋아서 죽어가는 영식 ㅋㅋ 응! 어! 잠깐만! 이사실을 나만 알고있을순 없잖아! 존나 말하고 다님 1트 존나 급함 빨리 더 알려야함 ㅋㅋㅋ 2트 ㅋㅋ 그와중에 영식표 재롱 직관하고 빵터진 둘 ㅋㅋ 돈내고 보세요 ㅋㅋ 3트 ㅋㅋ 영자 불어내서 4트 ㅋㅋ 정숙 불어내서 5트 ㅋㅋㅋ 진짜 배꼽잡고 안쓰러진 정숙 대단함 ㅋㅋ 그렇게 다가온 선택의 순간 이번에도 존나 달림 ㅋㅋ 이유 없음 그냥 존나 조음 ㅋㅋㅋ 그치만 옥순에겐 너무 많은 역대급 남출이 모여버렸는데 ㅋㅋ 어 상관없어 으이그 바보들아 ㅋㅋ 옥순은 어자피 나라고 ㅋㅋ 근데 왠걸 데이트때 다른남출과 다르게 크게 어필을 안하는데.. 보다못한 영수가 도와주려고 하는데 영식은 그저 피식피식 씰룩씰룩 웃고 말뿐이였음 ㅋㅋ 응 병신드라 기가차서 그런거다 씨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자피 옥순은 난데 ㅋㅋㅋㅋㅋㅋㅋ 진심 영식 레전드 찍고있음 존나 웃김 진짜 ㅋㅋㅋㅋㅋ- 다음주 킹영식 << 벌써 기다려지면 개추.gif
작성자 : 올팬으로갑니다.고정닉
싱글벙글 한국, 일본의 국자(國字) 모음
*국자(國字): 중국 외의 한자문화권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한자 [1] 한국 1. 변 똥 말그대로 똥을 음역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 사람 이름으로 쓰일 때도 있었다. 2. 그림 도 원래 존재하던 그림 도(圖) 라는 한자를 변형한 것이다. 3. 장롱 장 木(나무 목)의 뜻과 藏(감출 장)의 음이 합쳐진 형태이다. 4. 고개 점 일본에서 '유령 문자'로 알려졌다가 후에 지명용 한자로 밝혀진 한자와 모양이 같다. 5. 문바람 팽 문바람이란 문틈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을 뜻한다. 6. 실오리 루 가는실 먹(糸)의 뜻과 끌 루(婁)의 음이 합쳐진 형태이다. 7. 망치 마 일반적인 한자라기보다는 '마'라는 음절이 들어간 우리말을 표기할 때 주로 사용했다. 8. 말 달릴 휭 성씨로 쓰일 때는 '훵'이라고 읽는다 9. 떡 편 과거엔 송편과 절편의 음역자로 쓰인 적이 있다. 10. 대구 화 지역 대구가 아니라 물고기 대구이다. 입이 큰 물고기라 큰 대(大)에 입 구(口)를 합쳤으며, 음인 "화"는 조합 순서만 반대인 한자 큰소리칠 화(㕦)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11. 밥그릇 로/성씨 노 성씨로 쓰이는 노(盧)의 이체자이다. 12. 논 답 중국과 일본에서 수전(水田)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적은 있지만 아예 하나로 합쳐서 한자로 만든 건 한국이 유일하다. 13. 굴꾹 돌 온돌을 적을 때 이 한자를 포함해서 온돌(溫堗) 이라고 적거나 아니면 온돌(溫突)이라고 적는다. 14. 음역자 덩/강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할 수 없는 '덩' 발음을 한자로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이다. 15. 음역자 꺽/걱 임꺽정의 '꺽'에 이 한자가 쓰였다. [2] 일본 1. 榊 비쭈기나무를 의미한다. 神가 붙는 이유는 일본에서 이 나무가 신사에서 신에게 제사지낼 때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 さかき(사카키) 라고 읽는다. 2. 영 영(〇) 숫자 0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영 영(零)이 획이 복잡해서 쓰는 한자이다. 3. 凪 '바람이 멎고 바다가 고요해지다.' 라는 뜻이다. なぎ (나기) 혹은 なぐ(나구) 라고 읽으며, 일본에서 인명에 자주 쓰인다. 4. 畑 일본에서 밭 전(田)은 밭이 아닌 논을 뜻하기 때문에 畑가 밭을 나타낸다. 한국과 중국에서 밭을 뜻하는 田가 논이 된 이유는 논농사의 비중이 높던 일본열도의 특이성 탓으로 추정된다. はた(하타) 혹은 はたけ(하타케)로 읽는다. 5. 辷 '미끄러지다' 라는 뜻이다. 辷る의 형태로 쓰이며 すべる (스베루)라고 읽는다 6. たいと(타이토) 현재 유니코드로 쓸 수 있는 한자 중 가장 획이 많은 한자이지만 실존 여부조차 확실하지 않다. 사람의 성씨로 쓰인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현재 일본에 이 한자를 성씨로 사용하는 사람은 없고, 쇼와 시대에 쓰였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 역시 확실하지 않다. 일본에서 가장 획이 많은 한자 기록을 가지고 싶어서 임의로 만들었다는 견해나 구름모양 퇴(䨺)와 용이 가는 모양 답(龘)을 붙여쓴 것을 후대에 하나의 한자로 착각한 거 아니냐는 견해가 있다. 뜻은 불명이며, たいと(타이토) 혹은 おとど(오토도)라고 읽는다. 7. 込 단독으로 쓰일 때는 붐비다/혼잡하다 라는 뜻으로 쓰이며 합성어에 붙을 때는 들어가다/잠기다 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일본에서만 쓰이는 한자이나 일제강점기의 영향탓에 한국에서도 과거엔 지입을 持込이라고 적는다거나 음반에 곡 넣는 것을 취입(吹込)이라고 하는 등 흔적이 조금 남아있었다. 8. 鰯 본래 일본에서는 いわし(이와시)라고 읽으며 정어리를 뜻하는 한자였으나, 우리나라로 흘러들어오면서 멸치 약(鰯)으로 변형되었다. 9. 鳰 논병아리를 뜻하는 한자로, にお(니오)라고 읽는다. 10. 軈 '잠깐, 잠시'를 뜻하는 한자로, '곧' 이라는 뜻의 軈(やが)て(야가테)에 쓰인다. 다만 한자가 너무 어려워서 히라가나로만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1. 鮟 물고기의 일종인 '아귀'를 뜻하는 한자이다. アン(안)이라고 읽는다. 12. 匁 もんめ(몬메)라고 읽으며 일본의 전통적인 무게 단위를 나타낸다. 3.75g으로 환산된다. 13. 饂 '우동'을 뜻한다. ウン(운)이라고 읽는다. 14. 霻 뇌신(雷神)을 뜻하며, ほう(호우)라고 읽는다. 15. 錵 칼을 불에 달굴 때 표면에 생기는 빛깔을 의미하며, にえ(니에)라고 읽는다. 16. 瓩 킬로그램(kg)을 뜻하는 한자이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그냥 영어로 kg이라고 쓰거나 가타카나로 キログラム라고만 적는다. 음은 그냥 キログラム(키로구라무) 그대로 읽는다. 17. 裃 かみしも(카미시모)라고 읽으며, 카타기누라고 하는 어깨뽕이 심하게 들어간 민소매옷 상의와 하카마라고 하는 하의가 같은 색으로 이루어진 세트를 뜻한다. 이렇게 생겼다. 18. 鯱 '범고래'를 뜻하는 한자이다. 물고기 어(魚)와 범 호(虎)가 합쳐져서 만들어졌으며, しゃち(샤치) 혹은 しゃちほこ(샤치호코)라고 읽는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