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은 조세정책만 후진국 feat 훠훠훠 모바일에서 작성

야갤러(223.62) 2024.06.19 06:49:29
조회 36 추천 1 댓글 0

IMD 국가경쟁력 20위 '역대 최고'에도…조세정책은 26→34위 '뚝'

IMD 국가경쟁력 20위 '역대 최고'에도…조세정책은 26→34위 '뚝'

입력2024.06.19 05:30:26 수정 2024.06.19 05:30:26


■스위스 IMD 67개국 조사 발표

전년비 8계단 상승…인프라 11위

법인세는 58위로 사실상 최하위권

<img alt='' data-cke-saved-src='https://newsimg.sedaily.com/2024/06/19/2DAIWMFFZV_1.png' src='https://newsimg.sedaily.com/2024/06/19/2DAIWMFFZV_1.png' style='text-size-adjust: none; max-height: 999999px; max-width: 100%; height: auto;'>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조세정책 평가에서 한국의 순위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소득세와 법인세 등 조세부담 증가가 순위 하락의 원인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IMD가 18일 발표한 ‘국가 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은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8계단 올랐고 한국이 평가 대상에 포함된 1997년 이후 최고 순위다. 30-50클럽(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000만 명 이상 국가) 가운데서는 미국에 이어 2위였다. 기업 효율성(33위→23위)과 인프라(16위→11위) 항목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 성과(14위→16위)와 정부 효율성(38위→39위)은 순위가 하락했다

조세정책은 특히 8계단 떨어지며 뒷걸음질했다. 상속세·법인세 등 세 부담 탓에 지난해 26위에서 34위로 밀려난 것이다. 조세정책 가운데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조세가 32위에서 38위, 소득세가 35위에서 41위로 하락했다. 법인세 역시 48위에서 58위로 추락했다. 조세정책은 GDP 대비 조세부담이 높을수록 순위가 하락하는데, 한국의 경제규모 대비 세부담이 늘며 나타난 현상이다. 이는 2018년 법인세 최고세율을 3%포인트 인상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는 “기준 연도가 2022년이라는 시점상 전임 정부의 법인세 인상과 비합리적인 상속세, 기형적으로 세부담이 고소득자에게 몰린 소득세 등이 종합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밖에 없다”며 “경제주체들의 조세부담을 줄여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는 전반적인 세제 개편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img alt='' data-cke-saved-src='https://newsimg.sedaily.com/2024/06/19/2DAIWMFFZV_2.jpg' src='https://newsimg.sedaily.com/2024/06/19/2DAIWMFFZV_2.jpg' style='text-size-adjust: none; max-height: 999999px; max-width: 100%; height: auto;'>



정부 효율성은 뒷걸음질…법인세 낮춘 美와 대조 이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 경쟁력 평가 분야 가운데 한국은 정부 효율성이 가장 낮았다. 기업 효율성(23위), 인프라(11위), 경제 성과(16위), 정부 효율성(39위) 등 4개 분야(총 336개 세부 항목) 가운데 유독 정부 효율성에서 부정적 평가가 두드러진 것이다. 이는 불합리한 세제와 각종 규제 등을 여전히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8일 기획재정부와 IMD에 따르면 한국은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하면서도 ‘정부 효율성’은 지난해 38위에 이어 올해도 39에 그쳤다. 비교 대상 67개국 가운데 중간에도 못 미쳤다. 정부 효율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도 여건(33→30위), 기업 여건(53→47위), 사회 여건(33→29위) 등에서 순위가 올랐지만 조세정책(26→34위)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소득세 부담(41위)과 법인세 부담(58위)은 최하위권이었다.

조세정책의 순위 하락은 문재인 정부 당시 법인세를 인상한 것이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했다. 조세정책 순위는 2018년까지만 해도 17위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2018년 법인세율이 3%포인트 인상되면서 순위는 줄곧 곤두박질쳤다. 우리와 달리 미국은 법인세율을 낮추면서 상위권 순위를 유지했다. 미국은 2017년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조정했는데 그 결과 조세정책을 포함해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의 올해 국가 경쟁력은 12위로 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000만 명 이상의 국가 가운데 1위였다. 12.5%의 낮은 법인세를 유지하는 아일랜드 역시 4위였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법인세 과세표준 구간별 세율을 1%포인트씩 낮춘 점 등이 내년 평가부터 반영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재부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 들어 법인세를 낮추고 각종 세제 혜택을 통해 기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 만큼 조세 순위 개선과 정부 효율성 평가 순위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업 효율성은 이와 대조적으로 지난해 33위에서 올해 23위로 10계단 뛰어올랐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 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이 두루 상승했다. 인프라 분야도 16위에서 11위로 5계단 올라갔다. 기본 인프라(23→14위), 기술 인프라(23→16위), 과학 인프라(2→1위), 교육(26→19위) 등의 부문 순위가 오른 덕분이다. 경제성과 분야는 14위에서 16위로 하락했다. 성장률(44→34위) 등 국내 경제 부문 순위가 11위에서 7위로 올랐으나 국제무역 부문이 42위에서 47위로 떨어졌다.

세종=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mg alt='' data-cke-saved-src='https://img.sedaily.com/Journalist/e151012/56_5.jpg' src='https://img.sedaily.com/Journalist/e151012/56_5.jpg' style='text-size-adjust: none; max-height: 999999px; max-width: 100%; height: auto;'>

송종호 기자

경제부

joist1894@sedaily.com

구독

국가경쟁력 '역대 최고'에도…조세정책은 8계단 뚝정부 효율성도 뒷걸음질…법인세 낮춘 美와 대조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3444861 야스종합대학 [1] 야갤러(118.235) 03:11 112 0
13444859 아오...카톡정리하다 시간여행했네.. [1] 초고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108 0
13444858 낄낄은 투표다 범죄 ㅇㅇ(124.49) 03:10 17 0
13444856 중3강간짤…jpg 야갤러(211.218) 03:10 159 2
13444855 나 폭행한 교수가 인스타에 올린 글 야갤러(118.235) 03:10 67 0
13444854 3초 [1] 야갤러(182.221) 03:09 149 1
13444853 강동구나 송파구 사는분? [2] ㅇㅇ(220.65) 03:09 74 0
13444852 슬라브 신화 인면조 시린 그림 ㅇㅇ(59.187) 03:09 48 0
13444851 통일 운운하는 좌빨새끼들 통일하면 다 북한으로 이주시켜 ㅇㅇ(223.39) 03:09 73 0
13444850 가사 평가좀요 힙팝전사(14.36) 03:09 17 0
13444848 러시아 악기 구슬리 든 미녀 인면조 알코노스트 . ㅇㅇ(59.187) 03:08 66 0
13444847 송파구 사는분? 나 집나왔는데 밥사줄분 [1] ㅇㅇ(220.65) 03:08 99 0
13444846 후다 급식 야붕이 질문 받음 [4] ㅇㅇ(106.101) 03:08 85 0
13444844 쩌는 거 모음 야갤러(182.221) 03:07 177 1
13444843 요즘 딸치고싶다라는 생각이 안든다.. 야갤러(106.101) 03:07 40 0
13444840 치킨뿌린다 보면서 먹을사람? 야갤러(121.174) 03:07 29 0
13444839 통일을 한다고치자 북한으로 발령내면 갈 새끼 손들어 ㅇㅇ(223.39) 03:06 58 1
13444838 뉴진스 슈퍼샤이 그앨범까진 곡들 ㄹㅇ ㅅㅌㅊ였음 노무현.(175.193) 03:06 83 0
13444837 인팁인데, 본질을 봐야되. 야갤러(211.38) 03:06 37 0
13444836 ㄷㅁㅅ 모음 [1] 야갤러(182.221) 03:06 166 1
13444834 시 써봤다노... 많이 이상하노? [3] 운영자(219.241) 03:05 112 0
13444833 클리너 돌리는습관<은근 효자노릇함 [3] 사나이최광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5 111 1
13444832 국민의힘 지지율 떡상하는법 ㅇㅇ(222.111) 03:05 20 0
13444831 일본에서 팜 응옥헌 다운증후군이래 ㅋㅋ ㅇㅇ(118.235) 03:05 108 1
13444830 나 폭행한 교수가 인스타에 올린 글 [1] 야갤러(118.235) 03:04 82 1
13444829 룩셈부르크의 학살자 노무현.(175.193) 03:04 56 0
13444828 리히텐슈타인의 악몽 노무현.(175.193) 03:04 83 2
13444826 1학기 끝나면 105학점인데 80점 넘을지 모르겠다. [4] 간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62 0
13444825 조지아의 과부제조기 노무현.(175.193) 03:04 95 0
13444824 애매가 ㅇㅇ(222.108) 03:04 14 0
13444823 유튜브 댓글 이거 레전드네 ㅋㅋ [1] ㅇㅇ(218.153) 03:04 91 0
13444822 요즘 피씨방 웬만하면 키오스크 있는 편이냐? [6] 야갤러(121.135) 03:03 71 0
13444818 평양냉면 맛있다는 새끼들 = 애미 창년 [9] 야갤러(175.118) 03:03 47 4
13444817 야순인지 지랄인지 통매음 넣었는데 언제 연락 오냐?? [3] ㅇㅇ(49.165) 03:03 118 1
13444816 임산부석 뱃지 사고싶다 태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53 0
13444815 요즘 드는 생각이 녹음기능 때문에 갤럭시로 바꿀까함 ㅇㅇ(117.111) 03:02 55 0
13444814 요미야 여행어디가노이기 [9] 건전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86 0
13444812 아 c가 맞네 [3] 혜지의미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106 0
13444811 fc서울 호날두 영입....jpg ㅇㅇ(61.47) 03:01 70 0
13444810 bj 이름좀 [1] 야갤러(223.39) 03:01 114 1
13444808 세상이 그렇게 노나는게 아니야 ㅇㅇ(223.39) 03:01 67 1
13444807 나 폭행한 교수가 인스타에 올린 글 야갤러(118.235) 03:01 76 2
13444806 통매음 ㅇㅇ(49.165) 03:01 93 1
13444805 “임산부만 앉게 센서 붙이자”...‘여성 전용석’ 된 임산부석, 민원만 [1] 대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0 68 0
13444803 저번주에 길에서 한국독일 커플 유튜버 봤는데 야갤러(220.126) 03:00 30 0
13444800 어른아이랑 누구없소 어케 구분함? ㅇㅇ(118.235) 03:00 46 0
13444799 日 "北 쓰레기 풍선, '한국산 지원물품' 담겼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0 52 0
13444798 속보) 신두형 출격 1시간 전 [2] 토독이(218.148) 03:00 67 1
13444797 검스에도 종류가 있다는거 ㄹㅇ 최근에 알았음 야갤러(106.101) 03:00 23 0
13444795 건전맨은 브라질너트 살려내라 ㅇㅇ(220.121) 02:59 4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