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둑에서의 규칙, 판정시비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4.02.21 11:13:30
조회 878 추천 14 댓글 4

김연아 선수 관련해 말이 많길래  

바둑에는 판정과 관련해 어떤 경우가 있었나 몇가지 모아봤습니다. 

적고 보니 2010년에 유난히 많았군요.

'단순 해프닝'으로 치부할 수도 있으나 바둑에도 심판역할을 할 수 있는 '입회인'이 엄연히 있습니다.

현재처럼 '상대의 즉각적인 항의가 없으면 계속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심판처럼 입회인이 반칙 상황을 적극적으로 잡아내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998년 삼성화재배 예선 다케미아-홍종현 대국에서 다케미아 9단이 초읽기가 불공정하다며 입회인 조훈현 9단에 항의


2002년 일본 기성전 도전기 5국 류시훈-왕리청

공배 메우던 도중 왕리청이 흑 6점을 단수 쳤으나 류시훈이 다른 곳에 둠.

왕리청이 입회인 이시다 9단에게 ‘따도 되나’ 질문, 류시훈은 ‘종국 합의 후이므로 따낼 수 없다’주장. 비디오 판독 후 ‘종국 합의를 했다는 근거가 없다’하여 따낼 수 있다 판정. 왕리청 역전승. 따내도 되는지 물었다는 자체가 종국 합의 후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란 견해도 있음.


2010년 LG배 예선 마쓰모토 - 류싱

공배매우기 도중 류싱이 자충수 둠. 마쓰모토 7단은 수를 내지 않고 류싱에게 알려줌.

류싱이 가일수. 류싱 승.

미담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훈수’에 해당하므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

‘훈수’로 생각해도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상황이므로 어떻게 처리할지 애매함


2010년 삼성화재배 예선 김은선 - 루지아

대국도중 루지아가 중국룰로 착각하고 자신이 따낸 돌을 김은선의 돌통에 넣음.

대국 종료 후 계가시 김은선이 반집승 하였는데 루지아가 자신이 따낸 돌 하나가 김은선의 돌통에 있으니 자신의 반집승이라 주장.

이런 경우에 대한 대국룰이 정해져있지 않아 재대국 결정. 김은선 승

엄밀히 따지자면 루지아가 사석을 상대통에 넣은 것 자체가 반칙. 역시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반칙이라는 것이 문제

.

2010년 지지옥션배 안관욱 - 김윤영

김윤영이 반집이긴 상황에서 계가에 들어갔는데 안관욱 8단의 28점이 옥집으로 단수에 몰린 것을 보지 못하고 김윤영 초단이 사석으로 메워버림(집으로 인정한 것) 결국 김윤영의 반집패. 이 경우는 입회인이 알려줄 수 없음. 알려주는 자체가 '훈수'에 해당됨.


2010년 아시안게임 페어 대국 박정환, 이슬아 - 류싱, 탕이

타임아웃룰로 두던 도중 한국팀 4분, 중국팀 1분 남은 상황.

한국 팀이 시간승을 노리고 불필요한 시간 공격을 한다고 판단한 심판이 판정패 선언.

해당 사항에 대한 규정은 다 명문화되어 있는 상황.

룰에 대한 고지가 충분치 않았다는 항변과 ‘심판의 재량에 따라’ 판단한다는 규정이 애매하다는 지적도 있었음.


2013 팀서바이벌 박지은 - 정대상

앞선 고재희 - 김윤영대국에서 김윤영이 불계승, 대회 룰에 무승부면 랭킹합이 낮은 쪽이 이기므로 정대상 9단이 불계패해도 이기는 상황. 정대상 9단이 자신의 집에서 수가 나서 거꾸로 잡힌 상황에서도 계속 두어나감. 대국 종료 후 계가해야하는 상황에서 정대상 9단이 돌을 쓸어담았으나, 주최측에서 ‘대국 종료 후이므로 불계를 인정하지 않는다’하여 다시 계가, 68집 반패배로 인정됨. 결국 박지은-고재희조 승리(불계는 50집으로 계산)


추천 비추천

14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3917 저우루이양 ㅋㅋㅋㅋㅋ [1] ㅇㅇ(81.17) 14.07.22 141 0
23916 저우루이양 정말 한국팀인듯 [10] e(75.80) 14.07.22 306 0
23915 왕시 왕야오 추쥔 퉈자시 장웨이제 16강 진출 [1] ㅇㅇ(81.17) 14.07.22 126 0
23914 이원영 탈락 ㅇㅇ(81.17) 14.07.22 79 0
23913 박정환 김지석 16강 진출 ㅇㅇ(81.17) 14.07.22 80 0
23912 커제 16강 진출, 판팅위 탈락 ㅇㅇ(31.7) 14.07.22 99 0
23911 천야오예 16강 진출 [1] ㅇㅇ(179.43) 14.07.22 127 0
23910 지금 백령배 목진석 선수가 엄청 자유롭게 두네 dd(61.106) 14.07.22 146 0
23909 판팅위 2:2 커제 [1] ㅇㅇ(179.43) 14.07.22 182 0
23908 최철한 99수만에 16강 진출 [1] ㅇㅇ(81.17) 14.07.22 174 0
23907 판팅위대 커제는 중국입장에서는 진짜 욕나올듯 [1] ㅇㅇ(81.17) 14.07.22 206 0
23906 프로 초단이랑 견줄려면 아마추어 몇단 정도여야 하나요 [4] (223.62) 14.07.22 227 0
23904 타이젬은 국내1위 바둑사이트를 표방하면서 ㅇㅇ(81.17) 14.07.22 1263 0
23903 배태일 발표 세계바둑랭킹 [4] ㅇㅇ(14.39) 14.07.22 554 0
23902 한국기원->무학기원->육형제바둑 문화센터 정주행 소감 [7] ㅂㅂ(106.185) 14.07.22 5369 7
23901 백령배 32강 분석...... [1] ㅇㅇ(31.7) 14.07.22 361 0
23900 일선에서 물러난 프로들 진짜 양심불량이구나 [5] ㅇㅇ(179.43) 14.07.22 415 0
23899 9급 정도 되는 실력이면 타이젬에서 몇급 정도인가요 [2] (223.62) 14.07.22 211 0
23898 김성룡 신수특집 재밌네요.. [1] 오효효효효(121.158) 14.07.21 324 0
23897 백성호프로 오늘 해설 ㅇㅇ(211.58) 14.07.21 190 0
23896 혼자 둔건데 어느쪽이 이긴거임? [3] (223.62) 14.07.21 254 0
23894 영화 신의한수를 보고 바둑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2] なでし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21 301 0
23893 바둑인구 조사 같은 숫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2] 박근혜사랑(210.221) 14.07.21 258 0
23891 노땅은머죠 [3] ㅇㅇ(14.39) 14.07.21 314 0
23889 커제 작년 10월 20일부터 현재까지 [5] ㅇㅇ(179.43) 14.07.21 200 0
23888 바둑인구 천만은 뻥이 아님 ㅇㅇ(179.43) 14.07.21 242 0
23887 커제 지금 갑조리그 몇연승인지 아시는분? [4] dd(218.101) 14.07.21 285 0
23885 바둑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죠? [8] 씨스톤(203.226) 14.07.21 445 0
23884 판전영수? [2] 마운틴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20 384 0
23883 바둑인구 1000만은 진짜 너무 구라가 세다 [9] 비자나무(103.25) 14.07.20 344 0
23882 요즘 젊은 세대는 잡기를 즐기려면 바둑보단 차라리 마작을 하지 [4] ㅇㅇ(1.229) 14.07.20 379 0
23881 소리소문없이 사라진 기전들 [4] ㅈㅈ(223.62) 14.07.20 476 1
23880 주말인데도 글이 별로없네ㅋㅋ [3] dd(218.37) 14.07.19 115 0
23879 바둑 고수 중 인생위너와 인생루저 중 어느쪽이 많을까? [10] ㅁㅁ(14.32) 14.07.19 431 1
23878 프로 9단끼리 접바둑 두려면 덤이 몇집이어야 성립할까 [5] ㅍㄹ(118.217) 14.07.19 395 0
23876 한국기원에서 4단 단증 받았으면 타이젬으로는 몇단인가요? [4] ㅇㅇㅁ(110.70) 14.07.19 590 0
23875 '프로기사'라면 그에 걸맞는 소양을 갖춰야지 [7] 쟁선(119.71) 14.07.19 677 3
23874 일본에서 컴퓨터가 4점깔고 프로기사 이겼다는데 [5] ㅇㅇㅁ(110.70) 14.07.19 390 0
23873 2014 캉팅배 중국바둑TV 페어속기대항전 4국 ㅇㅇ(175.206) 14.07.19 145 0
23872 2014 캉팅배 중국바둑TV 페어속기대항전 3국 ㅇㅇ(175.206) 14.07.19 366 0
23871 우리아빠가 타이젬5단인데 실제로는 그럼 몇급임? [5] ㅇㅇㅁ(182.213) 14.07.18 672 0
23870 근데 우리나라에 기재들 [8] 궁금(112.167) 14.07.18 468 0
23869 김택용 3.3 혁명vs김민호 7.18 혁명 [4] ㅇㅇ(175.206) 14.07.18 308 0
23868 이창호 사범님의 위대함 [3] ㅋㅋ(112.167) 14.07.18 407 0
23867 요즘 세돌님 컨디션이 영아닌듯 빵야빵야(27.35) 14.07.18 121 0
23866 묘수풀이 좋은거 있으면 추천좀 [1] dd(218.37) 14.07.18 320 0
23864 바둑은 그냥 재미로만 두어라. [6] j(14.46) 14.07.18 432 0
23863 근데 다른 나라에서도 바둑이 노인네들 취미야? [3] ㅎㅇ(118.217) 14.07.18 315 0
23862 가장 위대한 바둑왕은? [8] 더이글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18 741 0
23861 이거 흑은 빅 혹은 양패로 삶인가요? [1] 1111(180.71) 14.07.17 333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