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내가 가진 컴퓨터로 바둑의 정답을 찾는데 대략 얼마나 걸릴까?

(112.154) 2012.11.09 23:41:09
조회 189 추천 5 댓글 3

제 컴퓨터 사양은 AMD Phenom(tm) II X4 960T 3.65GHz, 4G 램, 64비트 윈도우 7 입니다.

쿼드코어 3.65GHz입니다.

쿼드코어... 쉽게 말해 4개의 cpu가 있는데

각각의 cpu는 1초에 대략 3.65 X 2^10 번 연산을 할 수 있다... 뭐 이런 뜻입죠.

이런게 4개가 있으니 AMD Phenom(tm) II X4 960T 3.65GHz 는

1초에... 4 X 3.65 X 1024 X 1024 X 1024 번의 연산을 합니다.

1초에 15,676,630,630 번 연산을 하네요.

바둑에서 경우의 수라는게... 계산의 편의상 각종 패, 착수금지 등을 제외하고 계산해보면

361! 입니다.

361 X 360 X 359 X ... X 3 X 2 X 1

인터넷에 디비보니 이 수는 1.4379232588848906548323625114999e+768 이라고 합니다.

1.4379... 뒤에 0이 768개 붙는 숫자네요.

계산의 편의상 361!는 1.4e+768 이라고 하고요.

제 컴의 cpu의 연산속도는 초당 14,000,000,000번 (= 1.4e+10) 연산을 한다 보면

제 컴으로 바둑에서 경우의 수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은 (1.4e+768)/(1.4e+10) 초 걸리는겁니다.

그러니까... 1.0e+758 초 네요 ^.,^;

1시간은 60분이고 3600초입니다.

하루는 24시간이고 86400초 입니다.

일년은 365일이고 31536000초입니다.

자...

그럼 바둑에서 경우의 수를 찾는데는 (1.0e+758)/31536000 년이 걸리는 셈입니다.

계산해보니 3.1709791983764586e+750 년 이렇게 나오네요.

대충 3.0e+750 년이 걸리는 셈이네요.

3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년 입니다. ^.,^;;;

숫자가 너무 커서 아직도 감이 안오는데요.

우주의 나이는 약 150억년 이라고 합니다.

1.5e+10 년 요렇게 쓸 수 있겠습니다~






자... 그러면 제 컴퓨터로 바둑에서 경우의 수를 대략 계산해보면...

3.0e+750년 이 걸리는거고요.

우주의 나이로 따지면 우주가 생기고 지금까지 걸린 시간이 150억년이라 했을 때

2.0e+740번 우주가 생겼다가 지금까지를 반복해야

제 컴퓨터가 바둑에서 정답에 어느정도 가깝게 갈 수 있지 않나... 생각 되네요.

그러니까

2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번 우주가 태어나서 지금까지... 또 우주가 태어나서 지금까지... 또 우주가 태어나서 지금까지... 입니다. ^.,^;;;

단, 계산의 편의상 각종 패, 착수금지 등을 제외하고 계산했고요.

바둑 두는데 대칭성 이런거 다 생략...

이런걸 감안해도

현재로선 순수하게 컴퓨터의 능력으론 바둑의 정답을 찾는건 불가능하네요.








그래서 바둑을 컴퓨터로 두게 하는 데에 있어서

단순히 이런 식의 접근은 불가능함을 깨닫고

몇 년 전부터 컴퓨터 바둑에 도입한게 바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이죵...

저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자세하겐 모르지만

아는대로 말씀드리면

19 X 19의 바둑판의 경우의 수를 찾는건 컴퓨터로 불가능하지만

범위를 좁혀 5 X 5 정도라든지 7 X 7 정도는 컴퓨터의 능력으로 어느정도 가능하거든요.

그러니까 포석은 미리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프로그램에 입력해두고요.

포석이 끝난 후 중반 이후부터 돌이 부딪히는 전투는

거의 모두

흑돌이 놓인 다음 백돌

또는

백돌이 놓인 다음 흑돌은 프로의 실전에서 통계적으로 다음의 수가 위치상 그렇게 멀리 떨어져있지 않는다는 걸 이용합니다.

그래서 직전에 놓인 수를 기준으로

7 X 7 정도의 범위에서 자주 나타난 모양이면 확률상으로 많이 두었던 위치를 기반으로 무작위로 흑과 백을 두게하여

시뮬레이션 해서 결과도출 계속하여 그 중에서 가장 나은 결과 - 수상전 또는 전투의 결과에서 상대 돌을 잡든지 해서 계가가 많이 나오는 등 - 가 나오는 수를 두는게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라고 알고 있네요.

여기에다가 자주 나타나는 모양이나 포석이나 돌의 분포는 프로의 실전이라든지 프로의 감수를 통해서 프로그램에 입력해두고...

이런 방법으로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을 몇 년 전부터 진화시켜 왔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이 엄청 강하게 느껴지고요...

사실 바둑프로그램 만드는 사람의 일종의 꼼수라고도 볼 수 있죠.

워낙 바둑판이 크니까... 이전 수에서 일정범위 내에서만 최선의 수를 찾는 프로그래밍...

그래서 제 생각인데 몬테카를로 기반의 바둑프로그램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약점이 있을 수가 있겠더군요.

아주 먼 곳에 축머리 활용이라든지 진행을 결정짓지않고 반면운영을 여기저기 좀 어지럽게 한다든지...

(아마추어의 수준에선 쉽지 않겠지만 ㅡㅡ;)





야심한 밤에 심심하고 잠도 안와서 넋두리글 싸고 갑니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3779 근데 포석은 아무렇게 둬도 별차이 없다는데 무슨뜻임? [5] ㅇㅇ(120.136) 14.07.09 459 0
23778 천야오예는 초반만 보완하면 최고일거 같은데 [1] 121(39.112) 14.07.09 197 0
23777 이세돌사범님vs천야오예 와 바둑진짜재밌다 [3] Rolex20(211.36) 14.07.09 335 0
23776 2회 응씨배 결승 5국은 기보만 봐서는 엄청 졸작인데 ㅇㅇ(179.43) 14.07.09 697 0
23774 제가 어려워하는 스타일이 점에 다두고 시작하는건데 파해법 [3] 바둑이(103.25) 14.07.09 627 0
23773 2014 갑조 11라운드 대진표 ㅇㅇ(81.17) 14.07.09 107 1
23772 55정석도 있나요? [6] 꽃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9 225 0
23771 이.슬아 기사는 맥심화보를 찍었었군요 [5] d(110.9) 14.07.09 459 0
23767 오늘의 바둑 콘서트 [4]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8 417 1
23766 왕십리에 기력 짜다고 소문난 기원이름이 뭐임? ㅇㅇ(183.96) 14.07.08 159 0
23763 조혜연 영어책 봤는데... [7] 가자7단(121.167) 14.07.08 450 0
23762 함정수 질문입니다. [9] 함정수(118.39) 14.07.08 1763 0
23761 백선으로 흑 상변돌 잡는게 가능한가여?.jpg [8] 무투님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8 280 0
23760 내 신포석 평가해줘라 [7] ㅇㅇ(223.62) 14.07.08 419 2
23759 완전 고전 포석인데 이거 흑백 누가 좋음? [10] ㅇㅇ(175.255) 14.07.08 388 0
23758 구리, 대기록 종료될 것인가? ㅇㅇ(141.255) 14.07.08 191 0
23757 일본 프로초단은 역시 약한가보네 ㅇㅇ(141.255) 14.07.08 155 0
23756 커제 랭킹 변화 ㅇㅇ(179.43) 14.07.08 145 0
23755 신포석 개발했다 [4] ㅇㅇㅇ(223.62) 14.07.08 420 1
23754 제가 예전에 길거리 어르신들 장기두는 거 구경하다가 한 판 경기 한 적이 [2] pro將棋기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8 268 0
23753 장기 애호가인데 난이도 높은 인공지능 프로그램 없을까영? [3] pro將棋기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8 300 0
23752 원래 완전 하수나 9단 욕하지 5단쯤 달면 농담으로라도 9단욕안함 [1] ㅇㅇ(141.255) 14.07.08 244 0
23750 커제, 불가사의한 랭킹 수직상승 ㅇㅇ(179.43) 14.07.08 141 0
23749 미래라면 커제나 양딩신이나 못해도 리친청 셰얼하오급은 돼야하는데 ㅇㅇ(81.17) 14.07.08 513 0
23745 한국바둑미래 꼬마곰(P) [11] 황선희..(14.52) 14.07.07 619 2
23743 바둑 둔다고 하면 여자가 좋아하는 이유 [8] 바갤지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7 533 0
23740 기력이 늘고싶은 타이젬 5단인데 바둑책좀 추천해주세요..ㅠ [1] 진지함(121.152) 14.07.07 635 0
23739 이세돌 "나는 20~25살까지 제일 잘 뒀다" [3] ㅇㅇ(179.43) 14.07.07 515 0
23738 어제 11시에 한 신의한수 본사람 ㅋㅋ? [1] 실명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7 1159 0
23737 기본수법사전 샀는데... [3] 바둑이..(112.165) 14.07.07 509 1
23736 예전 정석책들은 다 폐기처분해야함. [7] ㅇㅇ(175.253) 14.07.07 718 0
23735 밑에 시간패얘기가나와서말인데 난진짜 저렇게두는놈이해가안가더라☆ [4] 복기는무덤가서(223.62) 14.07.07 216 0
23734 갑조리그 역대 개인기록 [2] ㅇㅇ(81.17) 14.07.07 334 1
23733 안해수읽기 미쳤네 [8] ㅇㅇ(141.255) 14.07.07 483 0
23730 2012년 비씨카드배 강동윤 양딩신 기억하시는분 계신지요 [2] ㅁㅁ(211.33) 14.07.07 193 0
23729 초보인데 포석 이후 단계 [5] ㅍㅅ(118.217) 14.07.07 265 0
23728 신의한수 개재밌음 진심여친이랑보고왔는데 바둑몰라도재밌고 알면미치도록잼씀☆ [5] 복기는무덤가서(211.108) 14.07.07 422 2
23725 타이젬 5단부터 기력이 잘 안느는거같다 맞아(121.152) 14.07.06 181 0
23723 형들 눈사태 정석에서 흑이 이단젖히면 어떻게해 [2] 실명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6 296 0
23722 목이 뭐죠? 바둑에서 [4] 바둑촙오(121.65) 14.07.06 188 0
23721 그냥 간명하게 처리하는 삼삼정석은 세력이랑 실리랑 확연히 나뉘는데 [3] 실명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6 224 0
23719 기본수법사전 살건데 기력이 어느정도 되어야 볼수있나요?? [1] 바둑이(112.165) 14.07.06 364 0
23718 흑선 수내기 문제 [12] 1945(112.223) 14.07.06 393 1
23717 이렇게 침입해오면 어떤게 대응해야 하나요 ? [5] 바둑(118.39) 14.07.06 249 0
23715 안해수읽기가 누구냐 [2] 바갤지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6 344 0
23714 신의한수 재밌네 [3] 이창호18급(114.199) 14.07.05 392 0
23713 소목걸침당했을때 그냥 밑으로 붙여서 받았는데 [7] 실명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05 254 0
23712 다롄vs충칭 결과 ㅇㅇ(175.206) 14.07.05 107 0
23710 바갤 대회 한번 해보자 [2] 바갤지존(175.223) 14.07.05 195 0
23709 프로들도 아마추어같은 착각을 하는구나, 심지어 박정환인데 ㅇㅇ(211.226) 14.07.05 17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