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에어컨 설치/사용시 잘못 알려진 설치/사용방법--김캐리어 의TIP

김캐리어(223.131) 2019.04.22 20:13:50
조회 8230 추천 36 댓글 7

잘못 알려진 에어컨설치/사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합니다.

아직도 매년 가스를 충전해야한다고 알고계신분도계시고, 실외기 근처에 물건을 올려놓던가, 실외기에 비맞지말라고 합판이나 박스를 올려놓는분 등등 간간히 보여 정확한 사용방법과 잘못사용햇을경우 발생하는 위험성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1. 실외기 냉매 충전


참 아이러니하게도, 4~6년전엔 당연히 냉매를 매년추가해야한다고 일부 기사들의 암묵적인 용돈벌이가 있었습니다.(기업공식설치기사 포함)

저도 8년전에 배울때 노하우,tip,용돈벌이 라고해서 선배님들께 배웟으나, 사실상 사기에 가깝기때문에 퇴사하고난후엔 정확한 정보전달을위해 항시 말씀 드리고갔으나 아직 많은분들이 모르시는것같아 설명드립니다.

위에 설명드린용돈벌이 방법이라는것은, 가스를 아주 극소량 누출하게 만들고, 적정량보다 적게넘으로써, 딱 여름한철 냉매순환이 이루어지고,다음해 냉동력이 줄어들어 냉매를 추가하여 추가비용을 받는 식으로 용돈벌이를 햇엇습니다. 당연히 지금은 자취 를 감추엇습니다. 현재는 410냉매가 보편화 되었고, 구식프레온가스 22냉매자체의 가격이 비약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사용하기 힘든 방법입니다 걱정안하셔도 댑니다.


자. 22냉매든,410냉매든. 설치후, 다음해 여름이되엇는데 냉동력이 약하다, 2년도 안되서 가스충전을 해야한다고 매년 추가를 해야한다고 하면서 냉매추가비용을 받는다. 이러면 의심하시면댑니다.

일단 a/s 기사가와서 가스가 어디선가 새는데, 그것을 고치지못하고 냉매만 추가하면 100% 문제가 발생합니다. 냉매가 없다는것은. 100% 냉매가 어디선가 누출된다는 사항인데, 냉매만 추가하면 당연히 누출되겟죠, 누출되는 부분에 따라 수리가 가능할수도, 못할수도있으니, 정밀한 검사를 먼저 받으셔야 합니다.

통상적으로, 냉매는 설치하고나서 단0.01g도 누출되서는 아니되고, 그후로도 누출되면 안됩니다. 기억하시며댑니다.

냉매는 매년 추가하는 소모품이 아닌,기기내에 머물면서 계속 순환되는 리사이클가스입니다. 10년이 넘지 않으셧다면, 배관이 노후되지않으셧다면, 냉매추가할 이유가

없습니다.


2. 실외기 통풍


가끔보시면, 정말 풍향에 반대편에 나무판자를 넣거나, 물건을 올려두시는분들이 계십니다. 큰일납니다. 정말입니다.

한여름철의 외기는 내부온도 120도 이상 올라갑니다. 당연한 이유겟지만 에어컨은 실외기 내부에서 응축기의 냉매가스를 압축기(실외기 패널) 를 통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를, 방출하여, 증발기(냉각 패널)에서 저온저압의 냉매로 순환시켜 (기화현상을 발생시킨 냉매가스가 순환됨) 냉매의 온도를 내려 냉동력을 얻는 기계입니다.

(설명이 너무 간편화된점 이해부탁해요)

그런 실외기앞,뒤,위에 물건을 올려둔다면 무게로인한 부담도 부담이겟지만, 실외기의 부조현상(떨림),통풍의방해,고열에인한 전선손상,화재,기기오작동,등을 초래합니다, 작년여름에 난 아파트 화재사건등등 대부분의 에어컨화재의 경우 실외기에 무리한 물건적재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항상 실외기는 통풍이 잘되고,지면과 항시 2cm이상 떨어져야하며, 근처에 어떠한이유에서라도, 불이 붙는물건, 실외기 위에 화분 등등, 올려놓으시면 위험합니다.

제가 항시 고객분들께 가장 주의하라고 알려드리는점이 바로 " 실외기가 메인이며 실외기가 본체입니다, 반드시 실외기는 설치된 그상태로, 아무것도 그주변에 놓지마세요 " 라고 항상 말씀드리지만, 지켜지지않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항시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실외기 풍향제어판 을 설치하시는경우, 에어컨기사가아닌 일반인이 설치했을때, 지정된 실외기설치라인에 따라 설치하지않으면, 실외기 내부 냉각판과,기판을 손상시킬수있으니, 주의하시길바랍니다.


추가로, 실외기는 고온을 방출하는 기기로써, 환기가 중요합니다, 반드시 바람이 나가는 통풍구의 위치가, 자연풍과 같이 자연스럽게 배출될수있도록, 벽과의 거리가

항시 사람의 손이 무리없이 통과할수있도록 해야 안전하고,오랫동안 고장없이 쓰는방법입니다.


3. 에어컨실내기 청소


여러분이 알고계시는 청소방법은 절반정도만 맞는정보입니다. 다이소나 마트에서 구매할수잇는 에어컨세정제는, 사실상 절반의 효과만 볼수있으며,

재료 또한거희 모든 제품이 PB세제의 혼합물입니다,

청소하실땐, 미리 온도를 20도내지 18도 사이에서 한시간 가량 틀어놓으신후에, (냉각패널에 수분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일으키는 과정) 작동정지 하시고, 전원까지 뽑으신후 외벽커버를 분리하여, 실내기에 보이는 냉각패널(촘촘하게 철판이 수놓여져있는 부분) 에 에어컨세척액,혹은 PB세제를 분무기로 골고루 적당량 뿌려주신후, 충분한 시간을 두고(10분정도) 기다리고, 분무기로 물을 뿌려 씻겨내려가면서 에어컨내에 달려있는 물호스를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셔야 합니다.

또한 실내기 흡입구에 달려있는 먼지거름필터는 먼지만 털어내시면댑니다,

깨끗이한다고 물뭍혀서 세제풀고,솔로 닦으시는분이계시는데, 망찢어집니다.

촘촘한 망 사이사이를 솔질하거나,수세미질하면 촘촘햇던 간격이 넓어져서, 먼지를 제대로 제거를 못하고, 흡입구로 큰먼지가 들어가서, 냉각패널사이사이에 끼면서, 냉동력이 약해지고, 고장의 원인이댑니다, 이점은 어느 기업에 설명서에도, "물뿌려서 솔로 살살문지르세요" 라고 알려주는데 틀린정보입니다.

또한, 물세척을 햇을경우, 제대로 건조시키지않고 조립하게되면 곰팡내의 원인이 댑니다.그러니 먼지만 제거해주세요


요즘나오는 제품군의 거희 대다수가, 교환식 고밀도 필터를 쓰는이유가, 바로 위의 이유에서처럼, 필터청소의 잘못된 방법으로인해 잔고장이 많아서

교환가능한 소모용 고밀도필터를 쓰는것입니다, 고밀도필터는, 각 제품의 서비스센터에서 구매하실수있으며, 직접 가정내에서 먼지만 털어내고 쓰셔도,

최소 5회까지는 재활용 할수있습니다. (절대 고밀도필터같은경우 물세척을 피해주시길 바랍니다 먼지만 털어내주세요)


이상 생각나는대로 적어보앗습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정보는 제품군의 모델에 따라 다를수있으며, 현장기사님의 판단에 따라 설치된 기기는 최적의 장소에 설치하오니, 구매자의 의도대로 변형,이동을

절대 하지마시길 알려드립니다.



* 에어컨디셔너, 일명에어컨의 사실상 원조는 캐리어입니다.

윌리스 캐리어 라는 선지자께서, 신의 계시를 받아 제작하신 성물입니다.

잘 관리하여 돈도아끼고, 여름에 시원하게 지내시길 바랍니다.


p.s 그렇다고 캐리어에어컨이 최고라는건 아닙니다...

(한 20년전까지만해도 캐리어가 최고였는데...지금은...)



추가로 글을씁니다.

에어컨실외기 커버에 대해 물어보시는 고객분들이 계셧엇는데.

가격대비 효과와 실질적 기능에 대해 정확하게 판별된 연구도,결과도,정보도업습니다,

단지 사용하지않는 계절에 실외기 녹슬지말고 이물질 들어가지말라고 쓰이는 제품이긴 하지만,

가을,겨울,봄 등 시즌이 아닌 계절에도 사용할수있는 제품이많고, 또 시즌계절이 아닐때,

내리는 비,바람 등으로인해 실외기 내부의 통풍으로 자연적으로 씻겨져 내려갑니다.

기본적으로 실외기의 명칭자체의 의미처럼, 굳이 커버를 쓰실이유가 없으십니다.

단, 냉난방기면 절대 쓰시면 안대겟군요,



* 합금배관(알루미늄) 과 동배관의 장단점

합금배관 동배관

배관 성형(배관의 꺽임,용접등) 성형우수,꺾임우수,용접불가 (용접을 할수없으니 성형과 꺾임,고정이 용이

성형준수,꺾임힘듬,용접사용용이(꺾을수있으나,힘들고,휘어지기보다 꺾여져서 터짐 용접을 하면안전성과 배관연장이 매우 편리함)


냉매전달력 우수, 10M이상시 전달력 상실이 10할대비 2할정도 손실 

냉매전달력 우수,10M넘어가도 전달력상실이 1할미만,


내구성 자체적으로 보온재와 표면마감재가 있기에 우수하나 보온재의 보온력과 내구성이 약함, 적정사용기간3년

 보온재를 따로구입해서 쓰이며,배관크기,보온재자질의따라다름,일반적인스펀지보온재일경우 적정사용기간5년


*사용기간은 마감재가 뜯어진상태로 부식되는기간 


내성 알루미늄합금배관의 특성이 녹이슬지않고 잘썩지않음 수축현상으로 파손될확률은 낮으나  외부충격에 약함

 보온재가 벗겨지면 잘삮고 녹이생김, 겨울철에 얼엇다가 여름에 녹을때 수축현상으로 파손될가능성있음,충격에강함


가격:  합금배관은 미터당 동배관보다 10~30%저렴

        동배관은 시세가 동의 시세에 비례하여 올라감, (싯가)


사용하는 냉매비중: 80%>410냉매사용, 20%>22냉매사용 

                     60%>22냉매사용, 40%>410냉매사용


사용하는 기기종류:소,중형,인버터,냉방기,냉난방기,시스템

                    대형,시스템,인버터,냉난방기,구형,일반용


기타 특이사항 : 합금배관은 유니온소켓으로 연장가능, 

                 용접연결, 용접시 안전성,효율이 높음








추천 비추천

36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2431 파세코 난 43만원에 샀는데 누가 59만원주고 샀어? [1] ㅇㅇ(110.70) 19.06.27 322 0
2428 에어컨 하루 8시간 정도 틀면 물 얼마나 나옴? ㅇㅇ(218.52) 19.06.27 95 0
2426 21센추리 세로형 쓰는 사람들 온도는 잘 내려감? ㅁㅅㅍㅌ(49.164) 19.06.27 117 0
2425 파세코 창틀 고정 나사 원래 이렇게 빡빡함? [2] 심심(118.33) 19.06.26 231 0
2424 오늘도 현대홈쇼핑에서 파세코 45만에풀렷더만 [2] ㅇㅇ(182.224) 19.06.26 321 0
2423 파세코 아무래도 중고로 팔아야겠다 [3] ㅇㅇ(110.70) 19.06.26 569 1
2422 파세코 박았습니다 [2] 은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6 534 0
2421 파세코 뒤에 방충망 있어도 되냐? [1] ㅇㅇ(112.172) 19.06.26 482 0
2420 실외기 바로 앞에 나무가 있는데 잘라야 되나요?? [2] ㅇㅇ(59.14) 19.06.26 154 0
2419 듀얼 덕트 이동식 에어컨 사용하시는 분들? [1] dd(183.102) 19.06.26 209 0
2418 창문형 이렇게 쓰면 효율 ㅆㅅㅌㅊ됨? [1] ㅇㅇ(115.21) 19.06.26 347 0
2417 제방구조엔 창문형 에어컨 못다나요?? [9] ㅇㅇ(125.132) 19.06.26 276 0
2416 근데 니들 에어컨 18도로 틀어놓음? [5] ㅇㅇ(14.34) 19.06.26 234 0
2414 인버터 유무 중요하냐?? [3] ㅇㅇ(221.158) 19.06.26 309 0
2413 진짜 인터넷에서 에어컨 사지말아라 [1] ㅇㅇ(223.38) 19.06.26 312 1
2411 삼성오피셜몰에서 비싸게 주고 사면 기사 제대로 된 놈 오냐?? [4] ㅇㅇ(221.158) 19.06.26 214 0
2409 에어컨 물 호스로 벌레들어올수잇음?? [4] ㅇㅇ(39.7) 19.06.26 761 0
2408 이동식 듀얼덕트 안하면 걍 냉풍기급이냐? [3] ㅇㅇ(14.34) 19.06.26 470 0
2407 파세코 사용자들아 18도 세팅해놔도 18도까지 안떨어지는거 실화냐 [3] ㅇㅇ(39.7) 19.06.26 283 0
2406 근데 일본인은 남한테 피해 주는 거 싫어한다면서 [2] ㅇㅇ(14.34) 19.06.26 225 0
2405 벽걸이 에어컨 사려는데 머리에 지진날것같다 [5] ㅇㅇ(39.120) 19.06.26 352 0
2404 내방 3~4평인데 그냥 에어컨 듀얼덕트개조하지말까 [2] ㅇㅇ(218.55) 19.06.26 227 0
2402 아니 근데 일본은 창문형 30만원이면 사는구만 [2] ㅇㅇ(14.58) 19.06.26 327 0
2399 인버터 에어컨 아니고선 콤프레셔는 똑같이 돌아가지 않냐? ㅇㅇ(121.173) 19.06.26 91 0
2398 올여름 많이 안 더우면 에어컨 가격 떨어지냐 [3] ㅇㅇ(218.52) 19.06.26 152 0
2397 하도 더워서 이동식 에어컨 켰다 [1] ㅇㅇ(198.16) 19.06.26 197 0
2396 파세코 왤캐 까이냐 ㅋㅋ [5] ㅇㅇ(182.224) 19.06.25 416 0
2395 파세코는 폭염때 아주 폭동일어날거 확실하다 ㅇㅇ(211.48) 19.06.25 300 0
2394 제발도움좀ㅠ)창문형 걍 젤싼거 중고로 하나 구하고싶은데 도움좀 [1] ㅇㅇ(223.38) 19.06.25 176 0
2393 창문형 냉방능력이랑 벽걸이 냉방능력 같다고 생각하면 안되지 [4] ㅇㅇ(211.48) 19.06.25 254 0
2392 창문형 뭐 새로나오는거 없나... [1] ㅇㅇ(218.39) 19.06.25 140 0
2391 파세코 냉방능력 의심가긴 하네 [3] ㅁㅁ(175.194) 19.06.25 311 0
2390 파세코 결국 22도 까지만 찍어보고 as 불러야겠다 [13] ㅇㅇ(39.7) 19.06.25 329 0
2389 파세코 플러그선 몇미터임? ㅇㅇ(106.102) 19.06.25 77 0
2388 파세코 1시간 넘게 틀었는데 이제 겨우 22도 찍었더 [3] ㅇㅇ(39.7) 19.06.25 169 0
2387 파세코 이제 겨우 23도 찍었다 [1] ㅇㅇ(39.7) 19.06.25 133 0
2386 파세코 송풍구 상단부분에서 소리 들리는데 AS 각임? [2] ㅇㅇ(119.194) 19.06.25 126 0
2385 파세코 실망됐다 아직도 24도 밖에 안떨어졌다 ㅇㅇ(39.7) 19.06.25 84 0
2384 파세코 쓰는ㄷ 25도 밑으로 떨어질 생각을 안한다 [3] ㅇㅇ(39.7) 19.06.25 278 0
2382 벽걸이 에어컨 실내기만 사면 배관 하나도 없음? [1] ㅇㅇ(218.52) 19.06.25 116 0
2381 에어컨 호스에서 물 나오는거 실외기 밑에 고이던데 이상없나요? [2] ㅇㅇ(222.120) 19.06.25 240 0
2380 형님들 에어컨 조언 부탁드립니다 사진有 [23] ㅇㅇ(211.243) 19.06.25 425 0
2379 복도식 아파트에서 사는거 너무 힘들다 [1] ㅇㅇ(121.190) 19.06.25 234 0
2378 21센치 창문박스형 소음 [2] 인간조무사(110.70) 19.06.25 227 0
2377 이동식은 외부에서 들으면 소음 어떰?? [1] ㅇㅇ(14.34) 19.06.25 143 0
2376 이거 재설치 요청하는데 돈 줘야되냐 ? [9] 호구(121.172) 19.06.25 241 0
2375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 소음 내가 느끼는건 보일러 돌아가는 소리랑 비슷 ㅇㅇ(59.11) 19.06.25 189 0
2374 실외기 없는 에어컨 발명하면 [7] ㅇㅇ(14.34) 19.06.25 251 0
2373 창문형 가로형 소음 오지뉴 ㅋㅋ ㅇㅇ(175.223) 19.06.25 165 0
2372 파세코 창틀 길이 짧아도 설치 가능 ?? [3] ㅇㅇ(14.34) 19.06.25 16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