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사가 쓰는 기사님 유형!?대응방법?팁? (장문)---김캐리어 의TIP

김캐리어(223.131) 2019.04.18 02:41:29
조회 4519 추천 19 댓글 7
														



이 글은,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며 그동안 겪은 동료,선배,제품지원처,대리점의 이야기를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이것이 모두 정답이라고 생각하진 마시고 참고만 해주셧으면 합니다. 모든 기사님들과 고객님들의 신뢰가 형성되길 빌며


1. 기업제품 설치기사

> 보통 기업에서는 고가 제품 (가격은 말씀드릴수없어요)고객에게는 숙련된기사(전문기사)+보조기사(1년이상)+@ 로 계획에 차질없이 모든환경에서 원하시는시간에 빠르고 정확하게 설치할수있는 기사를 보내준다고 합니다. 저는 이미 기업을 떠낫기때문에. 말씀드리는거지만 이거 말만그래요,

에어컨기사 대부분이 여름한철 알바하고 겨울엔 거희 짐꾼직원취급받거나 A/S만 하러다니는데 기업이 뭐하러 냉/난방기에 고정된 그 많은 인력을 유지하겟어요?

그래서, 개인기사(기업에 소속된 제품을 파는 대리점+ 그직원) 을 하나로 묶거나, 비정규직을 한철에 뽑아서 1주일 교육후 대리점에있는 전문기사에게 지원해주 는 식입니다 여기서 문제점은 전문기사의 수는 크게 늘어나지않는데 수습기사의 수는 기하학적으로 늘어나서 기사의 숙련도가 매우 천차만별입니다.

보통 나이좀계시고 딱봐도 전문가처럼 보이시는 분일지라도 수습겨우땐 기사님인경우를 허다하게보앗습니다.

여기서 응대요령은, 기사님들이 왓는데 뭔가 가르쳐주는식으로 말하면서 이건이렇고저렇고 해도 안심하시면댑니다.그렇게 가르칠만한 스킬이있는사람은 최소 1년은 햇다는 소리고, 웬만한 자회사 소속 제품의 유형을 모두 보앗다는 소리입니다.


근데...이게뭔가 상의하는것같고 자꾸만 설명서를 본다...근데 시간은 벌써 두시간이 넘어가고...세시간이 다되어간다..

둘다 수숩기사가 와서 하는경우입니다. 이런경우 수습기사이지만 연식이좀된 기사가 따라오고 충분히 설치가 가능하다는 판단에 온것이지만. 불안하죠 그러나 큰걱정은 마세요 마무리작업이나, 작은부분까지 캐치해서 깔끔하게 신경써주지는 못하지만 정석설치를 그래도 표방하고있으니까요. 이럴경우 보통은 수습설치기사의 하루 설치플랜이 적기때문에 천천히 꼼꼼히 확인하면서 설치하는경향이 대부분이라, 오래 걸릴수 있습니다.

이미 자회사에서 1주일정도 혹은 그이상 충분한 제품에대한 교육을 받고오기때문에,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기업설치기사가 올때는 보통 규정에 의한 추가비용만 받게 되어있기때문에 무리하게 추가비용을 요구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걱정마세요 ㅎ



2. 대리점 설치기사 의뢰시.

> 이경우에는 보통 고객이 가지고있는 에어컨or신제품이지만 대리점에서 구매한경우(하이X트같은 전자상가가 아닌 작은 소규모 대리점) 이럴땐 보통의 고객님들이 의심을 좀 많이합니다. 개인사업인데 대리점이니까. 작아보이고 큰 대기업의 용모가 안보이기때문이죠 허나 의심하시면 안댑니다. 대리점에는 반드시 실력이 출중한 전문기사가 반드시 존재합니다. 그분들의 기술력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저도 기업의 딸린 수습>전문기사 였습니다만, 대리점기사님들은 경력과 실력 모든것을 가진분들입니다.

보통 그분들의 주요 작업이 A/S에 치중되고(콘푸레셔 교환, PWB/PCV교환및수리,기판단자수리저항수리 등등등 개조기술과 수리기술 잘알고있습니다.

여기서 단점은 아무리 회사규정을 따른다 하여도 이런 실력있는분들은 대부분 자영업으로 분류되기때문에 돈을 더 벌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렇기때문에 " 이렇고 저렇고 어떠한 이유에서 말미암아 추가비용이 발생합니다. "라는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말로 유혹합니다.

저의 입장이라면 충분히 5만원을 더주고도 할의향이 있지만. 고객의 입장이라면 부담스럽죠.

실력은 좋은데 조금더 내야하는 그런 기사님들이 많습니다. 보통 이런분들은 시간은없고, 일은많은 분들이 많습니다. 차이는 많지만.서울시내에있는 모든 대리점이 아마 여름엔 정말 20만원을 더준다 하여도 개인의뢰는 잘 안받을거에요 너무바쁘셔서. 제 짧은 8년간의 경험으로 보아올때 대리점기사님들의 다수는 정말 실력이 좋으신 베테랑이시지만. 비싼 분들입니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이런분들께 뢰를 할경우 아무말없이 하시는분들께 음료수하나

고생햇다는 말한마디로 미리 점수를 따서 돈이 나갈곳을 약하게 막하주시면서 차근차근 공략해나가봅시다. 마음씨 좋은분들께서는 꼼꼼히 해주고 추가비용 만원이만원대는 그냥 넘어가실수 있습니다


3. XX냉동.XX에어컨수리 / 설치 같은 대기업이아닌 개인중소기사 의뢰시.

이런곳은 말그대로 작은 에어컨이아닌. 큰, 시스템(천장형) 이나 50평대가 넘어가는 대형냉동기/ 냉동.냉장창고 하시는분들이 기술이 매우 좋습니다.

보통은 중고or의뢰제작or이전설치or단종되거나 오래된 제품 등의 수리나 이전설치를 자주하시는분들이라, 기업에는 없거나 단종된. 이런 부품들을 항시 가지고계시며, 신품or중고 부품들로인해 상대적으로 저렴한가격으로 수리를 받을수있습니다.

기술력 좋죠, 보통 이런분들은 사람대 사람으로 전해지는 노하우,정식설치에 필요한 냉동기 이수증같은 이런분야에서 오랜시간 일을 하시는분들입니다.

놀라운점은 대리점보다 적은수의 기사님들인데도 불구하고, 1인사업장인경우 정말로 말도안되는 설치를 하시는분들이 대부분입니다.

보통 기업에서는 2인 1조로 다니는데도 힘들고 설치불량,설치오류등등 자잘한 문제가 빈번한데 비해서,

혼자 설치하고 작업하시는데도 엄청난 효율을 보는분들입니다. 제가 대충 알아본바로는 (귀동냥) 이런분들은 지인or지인의 소개 인맥의 인맥의 소개로 작업을 하시는분들이 대부분이고, 사업하시는 동네에서 멀어지지 않기때문에, 정말 신뢰관계를 위해 엄청난 공을 들인다고 사료됩니다.

이런분들을 대응하시려면...일딴 깍아달라고 말하지마시고 그분의 지인이 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이런분들은 엄청난 내공을 가지고계셔서.

8년을 에어컨을 단 저조차도 햇병아리 취급하시는분들이라 대응자체가 힘듭니다.

사람대 사람으로 기사님이 작업하실때 "엄청 실력이 좋으시네요"

이런식으로 계속 친근하게 다가가야 추가비용의 덫에 걸리지 않을거라 생각됩니다....근데 이런 엄청난 내공의 기사님들은 매우 어려워요..


4. 중고에어컨 수리/판매/설치점

중고에어컨을 구하는 분들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있다고 합니다

(제가 자주 부품찾으러 돌아다니는 중고판매업자피셜)

보통은 작은 중고판매처는 기사님이 없다고 보시면댑니다. 이런곳은 중고냉동기 수리하시는 개인사업자와 연관이 되엇거나. 그분밑에서 1~2년 정도 배워오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뭐랄까 대리점과 대기업 수습기사 의 중간정도라 할까요.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점은 이분들은 설치비가 매우 싸다는점입니다.

제가 놀랏던건 타공이고뭐고 진공이고뭐고 냉매추가비용과 앵글값을 제외한 설치비가 10~15만원선! 이게 배관이 포함된가격! 중고인데! 보통 배관값에 전선값, 자질구레하게 들어가는 케이블타이 마감재 보온재 기타등등등 아무리 싸게쳐줘도 10만원은 댈텐데, 희안합니다.

제가 그걸알아볼라고 중고업자하시는분께 물어보니, 이렇게 판매하시는분들은 직접 판매수입이 생기기때문에

( 중고에어컨구매>판매 시 이익 )

설치비를 많이 부를경우 중고에어컨이 비싸지니 인건비(3~5만원) 정도 챙기는선에서 하는곳이 대부분 이라고 들엇습니다.

업과 대리점같은경우엔 배관이나 각종 재료가 나오는데도 15만원이 최저가인데 비해서, 상당히 싸다고 생각햇습니다.

여기서 요점은, 설치시 모든 제품군을 다루시기때문에 각제품군의 파악이 용이합니다. 그러나 신제품일경우 설치를 피하시거나, 비싸게 받는다고합니다.

보통은 개인업자분의 보조를 받거나, 아예 기업에서 비정규직으로 근무하다 나온 수습기사or전문기사를 고용하는경우도 있다고합니다.(비공식)

보니까 일이 많은경우 시간이 비는 기업에어컨기사에게 소개시켜서 설치해주게 하는 방법도있다고합니다.

대부분이 쉬운설치를 지향하는편이며, 웬만하면 고객의 요구를 제일 잘들어주는 곳이기도합니다. (실질적은 구매자이기때문에)

거희 대부분의 중고업자들은 A/S를 안하는편이며, 몇몇 큰 중고매장은 A/S 3개월부터 2년까지 해주는곳도 보긴했습니다,

대응할 부분은 솔직히 별로없다고 생각됩니다. 직접구매를 하는곳이며, 반품이 가능하고, 오히려 깎아달라고 말씀을 할수있는 곳이기때문에.

고객의 입장에서는 편한곳이긴 합니다. 설치시 오류는 생각보다 적은편이며, 보통 수습이상의 기사가 설치하는편이나, 설치시간이 오래걸릴수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지인 중고판매업자 의 말로는 냉동전문기사가 소형 에어컨설치(벽걸이/스탠드)를 귀찮아해서 설치를 꺼린다고 합니다. 또한 매장마다의 설치경험과 실력의 차이가 극과 극으로 나뉘는 곳이라 설치를 할때 자연스럽게,척척하는곳이 있는반면, 초심자의 티를 못벗은 기사가 올수도있다고 합니다.


[본인피셜 > 저의 형수님이 중고에어컨을 구매해서 설치를 부탁햇엇으나 바뻐서 계속 설치일을 미루다보니 중고매장에서 설치까지 햇다고 해서 직접가보니,

배관성형은 정말 전문가적으로 해놨는데, 베이스설치,전선정리등 세심하게 신경쓰지는 않는것 같앗습니다. 그래도 정상작동잘대고 그정도 가격에

했다고 하니 이해는 햇지만 차라리 10만원정도 더주고 대리점에서 하시지..라고 말해버리고말았습니다

(설치는 정석으로 잘해놨으나 마무리가 약간 서두른듯이 되어있었습니다 문제는없지만 보기에 않좋고 고객만족이 떨어진다는 단점)

여러분께서 혹여 중고기기매매후 설치를 하신다면 깔끔하게 신경써서 해달라 부탁하시면서 커피한잔 주는정도라면 아마 해줄거라 사료됩니다.]


5. 그외 지인/아는기사


뭐 설명이 필요한가요 잘해달라고 협박하시면 댈듯싶습니다.






*추가되는 배관과 설치시 필요한 자재등을 요구하는것은 정당한 요구입니다. 하지만 가격부풀리기,쓸데없는 추가비용 이런것들이 사라져야,고객과 판매/설치기사님들의 갈등이 사라질것이라 믿습니다. 부디 기사님들도 고객분들도 적절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윈윈햇으면 좋겟습니다.

< ㅇ ㅏ 기사님들한테 욕먹는거 아닐지 모르겟네 >



viewimage.php?id=2cb4c225eadc3caf7ab6d9bb13c3&no=24b0d769e1d32ca73fee83fa11d02831be17f6b16442b2da382c1b3eac22e2b669b123f3d50a495bdd68696b86751870b5fb54be90762bf15c70de37ff69b886c5324e6969

ㅌㅌㅌㅌㅌㅌㅌ

추천 비추천

19

고정닉 0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3636 창문형 뒤창문 활짝열어야지? [1] ㅁㅁㅁ(101.235) 19.08.18 176 0
3634 이거 에어컨 괜찮은 거임? [5] ㅇㅇ(211.227) 19.08.18 340 0
3633 창문형 에어컨 담배냄새 어떻게 없애냐? [6] ㅇㅇㅇ(220.124) 19.08.18 805 0
3632 에어컨 틀면 춥고 끈적거리는 건 싫으면 [4] ㅇㅇ(39.7) 19.08.18 262 0
3631 아니 시발 에어컨 얼마 쓰지도 못했는데 미친 [1] ㅇㅇ(125.130) 19.08.18 169 0
3630 코로나 도란스 15만원짜리 써야함 [1] ㅇㅁㅇ(121.174) 19.08.18 268 2
3628 에어컨 살 시기는 지난거 같은데 지금 사야할까 [3] ㅇㅇ(59.16) 19.08.17 216 0
3626 파세코사려다 관두고 다른거사려다 관둔 나의 승리네 김해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8.17 149 0
3625 올만에 토출구 온도 찍어봄 [1] 엔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8.17 195 0
3624 하루에 전기 20~24정도 쓰는듯 [1] ㅇㅇ(223.62) 19.08.17 128 0
3623 여름 진자 끗낫나요? [3] ㅇㅇ(110.70) 19.08.17 182 1
3622 이거 전기량좀 알려주세욤 [2] 핵찌(112.150) 19.08.17 113 0
3621 정속형도 진공 작업 필수임? [4] ㅇㅇ(211.205) 19.08.17 347 0
3620 지금 ㅍㅅㅋ 산 애들은 몰모트지 [3] ㅇㅇ(110.70) 19.08.17 259 3
3619 내년에 코로나 생각중이였는데 아래 도란스보고 생각이 달라짐.. [2] ㅇㅇ(175.117) 19.08.17 253 0
3618 변압기 그켬 ㅇㅇ(119.64) 19.08.16 93 0
3617 작년은 6월부터 더웠음 그냥 [2] ㅇㅇ(220.84) 19.08.16 182 0
3616 서울은 시원한가보네 ㅇㅇ(121.174) 19.08.16 87 0
3615 파세코 떼기 귀찮은데 [2] ㅇㅇ(182.222) 19.08.16 301 0
3614 여름 끝났넼ㅋㅋㅋㅋㅋㅋ [2] ㅇㅇ(49.166) 19.08.16 231 4
3613 야 가을 날씨다 에어컨 철수해 [1] ㅇㅇ(112.146) 19.08.16 146 0
3612 창문형이랑 벽걸이형은 누수위험에 노출 될 수밖에 없음 [2] ㅇㅇ(210.123) 19.08.16 412 0
3610 제습모드 하지마 ㅇㅇ(203.234) 19.08.16 248 0
3609 내가 쓰는 200만원짜리 에어컨 [2] ㅇㅇ(117.111) 19.08.16 234 2
3608 파세코 창문형 이거 청소 어떻게 하냐? [1] ㅇㅇ(14.37) 19.08.16 344 0
3607 코로나 에어컨 개좆같네시팔 [4] ㅇㅇ(223.62) 19.08.16 355 0
3606 창문형에어컨 가로 설치설명서 보니까 [3] ㅇㅇ(121.136) 19.08.16 314 0
3605 가로형 창문형 전기세 많이 나오냐? [1] ㅇㅇ(211.225) 19.08.16 356 0
3604 창문형 에어컨 쓸대 무조건 방충망 열어라 [1] ㅇㅇ(58.238) 19.08.16 434 0
3603 10년만에 에어컨 구매한다. [2] ㅇㅇ(218.239) 19.08.16 2116 2
3601 제습이 요금 더 나가는 거 ㄹㅇ임? [1] ㅇㅇ(211.246) 19.08.16 571 0
3598 실외 배관에서 물방울 엄청 떨어진다.. [2] T.O.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8.15 239 0
3597 창문형 누수는 송풍기능으론 절대 못잡음 [2] ㅇㅇ(182.213) 19.08.15 411 0
3595 파세코 토출구 13~14도 나오네 [1] ㅇㅇ(121.174) 19.08.15 274 0
3594 세로형 누수글 볼때마다 느끼는거 ㅇㅇ(119.64) 19.08.15 177 0
3593 나도 파세코 누수 당첨이네 [5] ㅇㅇ(220.122) 19.08.15 556 1
3592 이동식 에어컨 소음 관련해서 층간소음이웃사이에 문의한 결과 [17] ㅇㅇ(103.212) 19.08.15 2301 6
3591 밑에 파xx 토출구 온도 20도가 정상은 아니지 않나? [3] 엔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8.15 265 0
3590 3w짜리 에어컨 켯다 [3] ㅇㅇ(119.64) 19.08.15 164 1
3589 가로형 창문형에어컨 미만잡 [3] ㅇㅇ(119.64) 19.08.15 303 3
3588 실외기돌아가는데 에어컨이 안시원함 시발 [1] ㅇㅇ(220.84) 19.08.15 335 0
3587 파세코 고무마개 질문좀 [3] ㅇㅇ(211.36) 19.08.15 483 1
3585 DC 선풍기 자연풍 수면풍 그런 모드 대박이네 [2] ㅇㅇ(211.219) 19.08.14 284 0
3584 캐리어랑 위니아? 에어컨 사면 되나요?? [2] ㅇㅇ(61.253) 19.08.14 476 0
3581 삼성에어컨 시발 ㅇㅇ(211.57) 19.08.14 100 0
3580 삼성에어컨 시발 [3] ㅇㅇ(211.57) 19.08.14 261 0
3579 이번 달 전기요금.. [4] T.O.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8.14 330 0
3578 선풍기로 버티다 저번주 투인원 달앗다 ㅇㅇ(118.235) 19.08.14 117 0
3577 문닫고 에어컨 켜고 자면 죽어요? [5] 너그거꼭사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8.14 522 0
3576 실외기 자가수리 하려는데 전문지식인 커몬 ㅇㅇ(1.241) 19.08.14 14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