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테셋 후기 및 팁 (N일의 전사 아닙니다)

학갤러(222.102) 2024.05.24 22:46:33
조회 1507 추천 19 댓글 19
														

 우선 본인은 경제 관련해서 완전 노베이스였음

고등학교도 이과였고 대학생때도 경제랑 접점은 1도 없었음.

제롬파웰이 누군지 모르고 농구선수 노먼파웰은 암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 쉬워져서 좋은거아님? 정도 수준



우선 이 글을 작성하게 된 계기는 내가 테셋 준비를 할 때

"이 시험은 도대체 범위가 어떻게 되는거지??"

"ㅅㅂ 무슨 시험이 홈페이지에서 나온다는게 말이되나??"

등의 의문점을 갖고 해매다가 몇 일을 날려먹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작성함.


대략 나는 2주정도 공부를 했음


테셋은 기본적으로 

경제이론 30문제, 시사경제 30문제, 응용복합 20문제 라고 보면 된다.

시사경제는 흔히 말하는 생글생글 사이트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고

경제이론은 유튜브 너무경 강의를 24강까지 듣고 나머지는 기출풀면서

이해가 안되는데 자주 출제되는 부분(비교우위, 가격차별, 환율 등)을 강의로 골라들어서 대략 50강정도는 들은거같다.

은근 중요하기 때문에 시간 짬날때마다 듣는걸 추천. 본인은 메이플 재획하면서 듣고 편의점 알바하면서 같이 들었음.

응용복합은 앞 경제 시사가 짬뽕되어서 나와서 이 부분을 따로 공부한다는 생각은 굳이 안해도 될거같음. 



본인이 공부한 책/ 내용 정리

1. 너무경 유튜브 강의(24강까지 듣고 나머지 그냥 골라들음, 시간많으면 다 들으셈)

2. 에듀윌 테셋 8회분 기출문제집 

+ 본인은 4회차까지만 풀고 뒷부분은 약한 경제이론 파트만 풀었다

3. 테셋 필수 핵심용어 100선

4. 테셋 핵심 문항 70선


3번과 4번은 구글링하면 바로 얻을 수 있다.


5. 생글생글 6개월/ 1년

6. 테셋 공홈 3일 전 경제시사 개념(10문제 거져줌)


아래부터는 생글생글 활용법에 대해 설명해줄건데

이게 나름 꿀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잘 활용하길바람


자 우선 생글생글은 우리가 볼게 대충 3가지로 나눠져있다고 보면 됌 


1. 생글+ 경제,금융 상식퀴즈


a15e2dac3d3273e87eb1d19528d52703833e8b97f346


 우선 경제금융 상식퀴즈는 경제시사에 자주 출제된다


1년치를 보는걸 추천하고 게시물당 8문제가 있는데


이걸 어떻게 활용하냐면


우선 눈으로 풀고 틀린문제는 바로 복붙해서 한글이나 워드로 옮기셈


그리고 1주 뒤에 또 눈으로 풀어보고 문제보자마자 1초만에 떠오르는건 버리고 또 틀린건 그대로 모아두고 시험전날에 봐라


애초에 사고가 필요한 부분이 아니라서 금방금방 볼 수 있다.



2. 테셋 공부하기 검증시험 맛보기



a67a2bad3606b27ebef1c6bb11f11a391ce82ba8f665a06ac9



 테셋공부하기에 있는 검증시험 맛보기 글이다


이건 시사보다는 경제이론 파트라고 보면 되는데


게시글당 대략 3개의 문제가 있고 양질의 해설이 있기 때문에 정말 추천함


시간이 있다면 1년치를 보는걸 추천함 


나는 맛보기랑 필수 100개념 70문제, 경제상식을 A4로 출력해서 책으로 제본하고 2번이상봤음



3. 테셋 공부하기 테셋 공부합시다


테샛 경제학
(144) 레버리지와 디레버리지

지난해 국내 기업들은 빚을 갚기 위해 유상증자를 전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렸다고 합니다. 주요국들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통화 긴축에 나섰기 때문이죠. 가계와 정부도 늘어난 빚을 어떻게 갚고 재정을 꾸려야 할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그렇다면 빚이 이렇게 늘어난 이유는 무엇일까요?이지머니(easy money)의 시대

[테샛 공부합시다] 늘어난 빚, 선제적 대응으로 위기 대비해야

2008년 미국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던 벤 버냉키는 “헬리콥터로 공중에서 돈을 뿌려서라도 경기를 부양하겠다”며 기준금리를 0% 수준으로 내리고 국채를 매입하는 등 통화량을 늘리는 양적완화를 시행했습니다. 부동산과 금융시장 충격으로 초유의 경기침체에 대해 극약 처방을 한 것이지요. 바야흐로 ‘이지머니’의 시작이었습니다. 위기에서 벗어나고 있었음에도 중앙은행은 또 침체에 빠지지 않을까 하여 긴축을 주저했습니다. 경제주체들은 저금리를 바탕으로 막대한 대출을 받아 주식과 부동산 등에 투자했지요. 이렇게 대출을 해서 수익을 내는 과정을 ‘레버리지(leverage)’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0억 원을 투자해 10억 원의 순이익을 내면 자기자본이익률은 10%입니다. 하지만 자기자본 50억 원에 타인자본 50억 원을 더해 10억 원의 수익을 낸다면 자기자본이익률은 20%로 뛰지요. 이처럼 경제주체들은 각종 자산에 투자를 늘리거나 사업 규모를 키워 여기서 발생한 수익으로 이자를 감당했습니다. 장밋빛 미래는 지속할 것 같았지요. 하지만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어둠이 드리워졌습니다.긴축 시대 맞아 부채 줄일 방법 찾아야코로나19 팬데믹에서 벗어나면서 그동안 억눌렸던 물가상승이 급격히 진행됐지요. 연준도 처음엔 일시적일 줄 알았지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물가에 깜짝 놀라 급격한 금리인상에 나섰습니다. 1970년대 폴 볼커 미 연준 의장의 급격한 금리인상 시절 이후 긴축의 시대가 다시 시작됐지요. 그러면 경제주체는 어떻게 행동할까요? 빚을 갚아 규모를 줄이거나 성장을 해서 이자를 감당해야 하죠. 하지만 긴축에 따른 경기침체로 성장에도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때 방법은 부채를 줄여나가는 ‘디레버리지(deleverage)’입니다. 경제주체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보유 자산을 팔거나 빚을 상환해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소비·투자가 위축되고 경기가 침체하는 고통이 있지만, 빚이 감당할 수 없게 늘어나면 파산하기에 부채를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주요국과 달리 한국은 오히려 부채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2분기 말 총부채는 5956조 원,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73.1%를 기록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전년 동기 대비 부채가 증가한 유일한 나라(사진)가 되었지요. 경기침체기를 맞아 부채를 줄여야 하는 시점에 그에 걸맞은 정책을 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최근 홍콩 법원이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파산을 결정한 것도 과도하게 늘어난 빚이 가장 큰 요인이지요. 한국도 이와 같은 충격을 겪지 않으려면 선제적인 디레버리지로 위기에 대비해야 할 때입니다.

정영동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원



위와 같이 기사형식으로 나온다


이건 6개월정도만 봤고 어떤식으로 공부해야하냐면 


여기서 나온 개념들만 간략하게 정리하고 가면 된다


예로 위에서는 래버리지랑 디래버리지 개념, 이지머니의 뜻 같은거 캐치해서 가져가면 됌


나는 앞 두개보다는 중요도가 다소 떨어진다고 판단했음 




마지막은 테셋 시험 3일 전에 공홈에 올라오는 시사용어가 있다

여기서 10문제정도는 나오기때문에 기출푸는거보다 훨씬 잘나올거임

무조건 이건 외우고 가자. 너무경 유튜브에도 올라오기때문에 

이해하면서 볼거라면 강의도 괜찮음 텍스트로 영 안들어오면 강의도 봐보렴



대충 이정도라고 보면 된다


나는 너무경 강의를 먼저 듣고 에듀윌 기출을 4회까지 품

기출 풀면서 오답하고 너무경 강의로 보완하고 

생글생글/ 70문제/ 단어100개 책으로도 보고 PDF로도 메이플 사냥하면서 봤음


참고로 성적인증은 해야제?



a17d2cad2f1b782a99595a48fa9f3433f728bd6f6b8abd3f6259aef4


시험장에서 애매했던 문제가 11개정도 있었고


다들 공부하면서 느끼겠지만 1시간 40분동안 뭐하냐 하겠지만 


막상 들어가서 시험쳐보면 시간이 그렇게 많이 남지 않을거임


암튼 고생하고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됬으면 좋겠다


테셋은 절대평가니까 다같이 보게 개념글좀 보내주라




끗 




추천 비추천

19

고정닉 2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학점은행제 1위 해커스, 과목당 최대 80% 할인 운영자 24/01/02 - -
공지 학점은행제 갤러리 이용 안내 [64] 운영자 11.06.22 46444 12
244891 컴활1급, 소방설비기계기사, 한국사2급 [1] ㅍㅍ(39.7) 15:44 17 0
244889 장원 2학기 3차 며칠임? [1] ㅇㅇ(211.246) 14:46 24 0
244888 학은제 이렇게 신청하면 되는걸까요? 학갤러(175.125) 14:34 19 0
244887 학붕이 기말 중 서디평인데 좆됏다 급함 [1] 학갤러(223.39) 14:33 30 0
244886 중대 매경 + 매테나만 보고 시험치러가면 400점대 나오겠지? [1] ㅇㅇ(223.39) 14:06 31 0
244885 케이묵 그냥 개인공부하는데 써도 되지 ?.. [1] 학갤러(180.71) 13:12 51 0
244883 네관 실기 하루전사 간다 [1] 하하이(59.10) 12:12 33 0
244882 매경어느정도 깊게봐야됨?? [12] 학갤러(61.79) 11:52 83 0
244877 요번 29일 테셋시험 인천 문곡고에서 보는사람있나요 학갤러(118.235) 10:19 24 0
244876 산업기사 16점->기사 20점 업글할때 돈 다시 내? [6] 학갤러(42.82) 10:01 81 0
244875 네관 테셋 스맷 다 치는사람있음? [2] 학갤러(106.101) 09:34 46 1
244874 ㅈㅇ 사이버님 [1] 학갤러(39.7) 09:23 32 0
244873 저저번달에 플래너한테 고졸 경영학 플랜 받고 튀엇는데 ㅁㅌㅊ? [8] 학갤러(221.165) 09:09 98 1
244871 학은제 전문학사로 운산기 [2] 학갤러(121.159) 08:16 38 0
244870 원격으로만 수업받는 경영과면 훈련기관 지역상관없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3 17 0
244866 테샛 학점 17점 등록한거 2년지나면 0점 돼? [2] 학갤러(42.82) 02:49 81 0
244864 테셋 미시경제만 공부해도 3급 받을수있어? 학갤러(211.209) 01:42 36 0
244863 쪽지시험 챗지피티 [4] 학갤러(121.190) 01:08 96 3
244862 컴공 독학사 3단계 3과목 vs 정처산기 [11] ㅇㅇ(220.65) 06.21 107 0
244861 매경테스트우수 난이도 어떤가요? [3] ㅇㅇ(223.39) 06.21 102 0
244860 대학 재적(재학, 휴학)생의 학점은행제 이용 주의사항 [3] 학갤러(104.28) 06.21 98 1
244859 전문대 + 학은제 병행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9] 학갤러(119.202) 06.21 105 0
244857 케이묵 2년마다 10개씩 강의 늘려나가네... [2] 학갤러(104.28) 06.21 125 0
244856 다들 수업 들음? [6] ㅇㅇㅇ(59.2) 06.21 87 0
244855 전기산업기사 보려는데 오로지 전적대 학점만 가지고 가능? [1] ㅇㅇ(125.132) 06.21 54 0
244853 학은제뉴비 [20] 학갤러(175.118) 06.21 156 0
244852 의무 18만 듣는다고 편입할때 ㅇㅇ(118.235) 06.21 41 0
244851 의무 18학점만 듣는다고 했을때 몇개월 걸리나요? [7] 학갤러(119.202) 06.21 95 0
244850 답변 안달려도 섭해하지마라 [4] 학갤러(222.104) 06.21 125 7
244847 근데 밑에 80점 5개월충 학갤러(183.103) 06.21 68 1
244846 형들 자격증 3개 따놨는데 타전공으로 등록해서 학점인정이 안된데 [4] ㅇㅇ(118.38) 06.21 85 0
244845 학은제 전적대 학점 입력하는거 학갤러(211.210) 06.21 39 0
244844 일반편입 지격 충족만 하려면 ㅇㅇ(124.146) 06.21 40 0
244843 아니 학위 질문하는데 답하는 인간들이없냐 [2] 아어우(118.33) 06.21 73 1
244842 장원 모바일로 들을 수 있음? [2] ㅇㅇ(39.7) 06.21 90 1
244841 학은제 6/19 2학기로 처음듣는데 강의 들을때 [1] ㅇㅇㅇ(59.2) 06.21 48 0
244840 지금부터 11월말까지 학점80점 채우는게 가능한가요? [19] 학갤러(106.101) 06.21 142 0
244839 6과목 과제 15분컷 ㅋㅋㅋ ㅇㅇ(39.117) 06.21 89 0
244838 매경 인경 추천 좀 [2] ㅇㅇ(221.140) 06.21 65 0
244837 케이묵 학점반영 보통얼마나걸림? [2] 학갤러(58.123) 06.21 73 0
244835 2학점 자격증 뭐가 쉬움 [1] ㅇㅇ(106.102) 06.21 66 0
244834 오늘 ㅅㄷㅍ 기말까지 다 쳤다 ㅇㅇ(119.195) 06.21 56 1
244833 독학사 3단계 시험이 8개던데 8개 다 쳐도되는건가요? [2] 학갤러(112.162) 06.21 70 1
244832 과목당 3만원 이하 사이트 어디임? [4] 학갤러(220.71) 06.21 94 0
244831 매경 경제 경영 문제 비율 경제가 앞도적으로 많냐 [3] ㅇㅇ(223.39) 06.21 53 0
244829 학점은행제 어디에 물어볼지 몰라서 갤러리에 왔습니다. [1] 학갤러(183.97) 06.21 43 0
244828 학점은행제 요즘 젤 싼곳이 어디야? 학갤러(220.71) 06.21 44 0
244827 a+노리는거면 오히려 쉬운곳이손해아님? [1] 학갤러(39.7) 06.21 99 0
244825 독학사 학점 왜 안올라옴? [2] 학갤러(223.38) 06.21 12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