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중소기업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중소기업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찰리커크 죽음…jpg 레인맨
- "시부야 스카이, 범부로 만들겠다" 타카나와 게이트웨이 시티 평범씨
- 마블런 문제점 기사 나왔습니다. 응원단어린이
- 한화생명 2025 월즈 진출 HLEorROX
- 히토미 볼법한 사건들 3편 첫번째 사건을 좀 더 자세히 ㅇㅇ
- 현재 김연아 핑계고에서 사람들이 가장 정색하는 부분 ㅇㅇ
- 싱글벙글 동양인의 지능이 서양인보다 낮다는 선동은 과연 사실일까? ㅇㅇ
- 서니파 보러 간 코즈시마 성지순례 5편 코즈시마 2일차 랩핑버스,야간온천 업사다
- [분석] 한국에서 순자산 1억은 어떤 수준일까? ㅇㅇ
- 싱글벙글 이집트 쓰레기장 청년과 친구가 된 곽튜브 옥자아빠
- 2008년 금융위기 통화스와프 만화. jpg ㅇㅇ
- sd카드 안가져와서 폰카로 찍은 사진들 가샥샥
- [금주의 신상] 9월 3주차 신제품 먹거리 모음.jpg dd
- 게스트로 나온 이민정의 팬이었던 김원훈...jpg ㅇㅇ
- ㅓㅜㅑ 아이콘매치..박주호 인스타 현재상황....jpg 티롱씨4
헝가리의 대꼴캐 "유치커"
헝가리 인민공화국에서 연재된 성인 대상 만화 <유치커 (JUCIKA)>그 주인공인 유치커. 귀엽지만 엉뚱한 미녀 유치커가 벌이는 소소한 옴니버스가 매력임. 작가는 푸스터이 팔(Pusztai Pál). 60년대 헝가리에서 큰 인기를 끌었음. 이쁘장하면서 몸매도 좋아서 끌리는 그림체임. 과연 시대를 앞서간 디자인인지 현대에도 이렇게 재창작되는 비율이 은근 높다. 흑발 보브컷에 올라간 눈매가 넘넘 귀엽고 꼴릿하다. 잠시 그녀의 매력을 감상해보도록 하자.크으푸스터이 팔은 헝가리가 배출한 최고의 예술가인듯 하다.
작성자 : ##고정닉
공포주의) 영국 전문잡지사에서 선정한 역대 공포영화 TOP 100 (下)
- 관련게시물 : 영국 전문잡지사에서 선정한 역대 공포영화 TOP 100 (上)上 편 : https://gall.dcinside.com/m/singlebungle1472/1990337런던 소재 글로벌 컬쳐 큐레이션이자 매거진, 타임 아웃(Time out)이 선정한 2025년 기준 역대 공포영화 TOP 100을 알아보자.上 편 이후로 이제 52위부터 1위까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52. 딥 레드 (1975)51. 악령들 (1971)50. 디센트 (2005)49. 엿보는 톰 (1960)48. 링 (1998)47. 바디 스내쳐 (1978, 리메이크작)46. 죽음의 밤 (1945)45. 디 아더스 (2001)44. 양들의 침묵 (1991)43. 세입자 (1976)42. 늑대의 시간 (1968)41. 악마의 등뼈 (2001)40. 소유 (1981)39. 야곱의 사다리 (1990)38. 얼굴 없는 눈 (1960)37. 프랑켄슈타인(1931)36. 위커맨(1973)35. 영혼의 카니발(1962)34. 프랑켄슈타인의 신부 (1935)33. 유전 (2018)32. 캣 피플 (1942)31. 비디오드롬 (1983)30. 체인지링 (1980)29. 새 (1963)28. 이블 데드 (1981)27. 블레어 위치 (1999)26. 폴터가이스트 (1982)25. 오멘 (1976)24. 프릭스 (1932)23. 노스페라투: 공포의 교향곡 (1922)22. 더 헌팅 (1963)21. 오디션 (1999)20. 나이트메어 (1984)19. 렛미인 (2008)18. 파리 (1986)17. 이블 데드 2 (1987)16. 런던의 늑대인간 (1981)15. 캐리 (1976)14. 이노센트(1961)13. 쳐다보지마라 (1973)12.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1968)11. 서스페리아 (1977)10. 죠스 (1975)9. 시체들의 새벽 (1978)8. 할로윈 (1978)7. 악마의 씨 (1968)6. 괴물 (1982)대망의 TOP 5는 ......5. 사이코 (1960) 4. 에이리언 (1979) 3. 텍사스 전기톱의 학살 (1974)2. 샤이닝 (1980) 1. 엑소시스트 (1973)
작성자 : 영단어봇고정닉
르노의 원메이크 대회 역사에 관하여
밑에 르노가 GT3 만들었다는거 보고 씀 르노는 프랑스의 대중차 기업으로써 고성능 차량과는 거리가 먼 기업임 하지만 여타 프랑스의 대중차 기업이 그렇듯(푸조, 시트로엥 등) 모터스포츠에 참여한 역사가 엄청나게 길고 큰 족적을 남겼음 이번 글은 르노가 이상하리만치 집착한 원메이크 레이스에 대해 다뤄보려고 함 르노가 원메이크 레이스를 존나게 많이 차렸다 보니 뭐가 시초인지 정보를 구하기 어려웠는데 다행히 위키피디아에 목록을 정리해둔 글이 있었음 시초는 1966년 르노 8 고르디니 컵. 첫 우승자는 로버트 미수엣(발음이 헷갈림)이라고 함 이 대회는 프랑스에서만 열리다 1969년 스페인에서도 개최됨 스페인에서의 첫 우승자는 살바도르 카넬라스. 르노 8이 단종되거 대체되는 대회로 르노 12 컵이 있었음. 다만 정보가 부실하고 비교적 평범한 차였으니 패스하고 그 다음 대회 차량인 르노 5 터보 컵을 보자. 참고로 1974년부터 영국에서도 대회가 열렸고 넬 맥그레스가 3연챔+1챔을 먹었다. 이탈리아에서도 1975년부터 대회가 열림. 스위스에서도 1978년 대회가 열리기 시작. 르노 5는 평범한 FF 소형차인데, 우리에게 이 차가 유명한 이유는 다들 알 것임 바로 5 터보라는 트림 때문. 알다시피 FF 차량이 베이스인데 엔진을 미드십에 쳐박고 뒷바퀴를 굴리는 정신나간 차량은 랠리에서 미친 활약을 선보여서 유명함. 이 차로 원메이크 대회를 열며 대회 인지도가 올라갔고, 미국에서 원메이크가 열린 것도 이 때부터. IMSA 르노 컵이라는 이름으로 1982년부터 열렸음. 그리고 시간이 흘러...(중간 내용은 알아서 찾아보도록 하셈) 르노는 다시 한 번 레이스만을 위한 이상한 차를 만들기로 함 바로 2000년 르노 5의 후속 르노 클리오에 V6 엔진을 심기로 한 것.(사진은 도로용, 페이즈 2) 그냥 평범하게 6기통 엔진을 앞에 실었다면 화제가 안 되었겠지만, 르노는 이번에도 엔진을 뒤에 싣고 뒷바퀴를 굴리게 하는 미친 짓을 저지른다. 이 때 남미에서도 원메이크 컵이 열리고, 독일에서도 열리는 등 대회가 더 커짐. 그리고 2005년, 르노는 이전까지 진행하던 메간 쿠페 컵과 클리오 V6 컵을 대체할 새로운 차를 내놓는데...(클리오 컵은 다시 평범한 FF 클리오로 대체됨) 바로 이 차 되시겠다. 르노 원메이크에서 R.S. 01 이전까지 최상위 티어를 담당하게 되는 르노 스포트 메간 트로피인데, 클리오 V6처럼 엔진을 미드십으로, 뒷바퀴를 굴리는 MR 쿠페가 되었음. 차량 관리는 마녜티 마렐리가 맡았고, 엔진은 르노 벨 사티스에 들어가는 V6을 튜닝해 320마력까지 올려서 얹었는데, 사실 이 엔진은 닛산의 VQ35DE다. 뭐냐면 SM7 3.5와 같은 엔진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엔진 튜닝도 닛산의 니스모가 맡았음. 그리고 메간이 풀 체인지를 거치게 되자 메간 트로피도 새로 나왔는데 생각보다 디자인이 잘 뽑혔다. 엔진은 동일한 VQ35DE를 니스모가 튜닝해 355마력까지 올렸고, 구동 방식은 동일한 MR임. 걸윙 도어까지 달려서 보면 생각보다도 더 멋있다. 워낙 디자인이 잘 뽑힌 덕에 이 차 양산 좀 해주세요!! 양산하는 김에 GT4 호몰로게이션도 채워서 대회 팍팍 나가면 좋잖아! 라는 의견이 많았는데 르노는 우리 원메이크만으로 충분할 거 같은데? 양산은 돈도 많이 들고 그래서 힘들 듯? 하면서 거절해 버렸다. 사실 로드 버전을 만들어 버리면 저 정도의 과격한 바디킷과 걸윙 도어는 빠질 가능성이 높고, MR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메간에는 이미 고성능 트림인 R.S. 275가 있어서 굳이? 싶었을 가능성이 높다. 몇 년 뒤 메간이 페이스리프트와 풀 체인지를 거치며 메간 트로피를 사용하는 대회는 끝나고, 메간 베이스의 원메이크 레이스는 역사 속으로 사라짐. 그래서 르노는 원메이크 최고봉 레이스인 르노 트로피 컵의 명맥을 잇고자 새로운 차를 만드는데... 바로 이 차, 르노 스포트 R.S. 01 되시겠다. 디자인은 2010년 나온 콘셉트카 르노 드지르를 기반으로 마침 자사가 내놓은 플래그십 중형차인 탈리스만(SM6)의 디자인을 거의 그대로 이식했다. SM6이 다 까여도 디자인은 안 까이는 만큼 역시 디자인은 나온 지 9년차인 지금도 이쁘다. 엔진은 닛산 GT-R의 VR38DETT를 550마력으로 조정해 미드십에 탑재했고, 섀시 개발엔 달라라가, 파워트레인 설계엔 니스모가 참여했다. 한편 르노가 지금까지 아예 만든 적이 없던 태생부터 MR인 차인데다 이렇게 잘 빠진 차를 오로지 원메이크 대회에만 투입할 리가 없다고 생각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로드 버전이 나올 거라고 생각함. 왜냐? FIA-GT3 호몰로게이션 조건엔 공도용 버전이 200대 이상 판매되어야 했기 때문임. 근데 르노는 이번에도 공도용 버전은 없다고 못을 박아버림. 그래서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실망했으나, 대신 르노는 FIA-GT3 공인이 아닌 다른 GT3 대회는 나가도 되잖아? 라며 뉘르부르크링 24시와 같은 대회에는 참여함. SP-X 클래스로 참여해 최고 기록은 2등. 이후로 르노는 더 이상 원메이크 전용으로 차를 만들지 않았고 알핀 브랜드를 부활시킨 후에는 A110 원메이크와 클리오 컵만 열고 있음. 참고로 A110 원메이크는 한국에서도 열었는데, 한국에 A110은 단 100대만 수입해 팔았다는 점이 웃긴 점이다. 글이 존나 길고 장황하며 내용도 영양가가 없지만, 이걸 끝까지 읽어준 갤러들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