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55세' 박명수 "아줌마 소리 듣는 건 관리 안 하는 것" ㅇㅇ
- 대만에서 후추테러 당한...한국인 ㄹㅇ...jpg Adidas
- 미세먼지4 시골 노가다엔 폰카 유작 설치는설치류
- 오요안나 1주기 mbc 근황 ㅇㅇ
- 현재 드론 업계 요약 짭태
- 이젠 취업하려면 '이것'까지…"요즘 웬만하면 다 하니까요".jpg 빌애크먼
- 박주호 대형사고는 이미 다 예고가 되어있었음 (필독) 해갤러
- 기대려던 교회서 '쓴소리'만 듣고 왔다 ㅇㅇ
- 싱글벙글 바다에관한 신비한 사실 미스터비스트
- 강민호가 존나 가증스러운 이유 ㅋㅋㅋㅋ..jpg ㅇㅇ
- 치파오 입고 성산일출봉 근처서 단체로 춤추는 집단 ㅇㅇ
- CEPR) 일본, 한국은 관세 25% 내는게 이득임 앵무새죽이기
- 남편이 비자금을 숨겼는데 배신감드네 디씨망령
- 단독) 과거 미국, 불법 구금했다가 천문학적 소송당해.jpg ㅇㅇ
- 요즘 10대들의 특이한 아이돌 소비 문화 ㅇㅇ
케데헌, 싱글차트 5주 연속 1위... BTS 이후 첫 동시 석권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운드트랙이 미국 빌보드 앨범과 싱글 차트에서 모두 정상을 차지했다는 소식임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주제곡, '골든'. 주인공인 걸 그룹 '헌트릭스'가 부른 노래로,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 '핫100'에서 통산 5주째 1위를 차지했음 애니메이션 사운드트랙 중에서는 빌보드 67년 역사상 최장 기록으로, 미국 애니메이션 '앨빈과 슈퍼밴드'의 주제곡이 4주간 1위에 올랐던 기록을 갈아치웠음 이 밖에 극 중 보이밴드 '사자 보이즈'의 '소다팝', '유어 아이돌' 등 다른 주제곡들도 싱글 차트 상위권에 올랐음 총 12곡이 담긴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사운드트랙은 빌보드 앨범 차트인 '핫200'에서도 정상을 차지했음 케이팝 장르의 앨범과 수록곡이 앨범과 싱글 차트를 동시에 석권한 것은 지난 2020년 방탄소년단(BTS) 이후 5년 만이라고 함 어떻게 이게 가능했을까? 최근 미국 극장가에서 관람객이 주제곡을 함께 따라부르는 '싱어롱' 상영회가 인기를 끌며 뒷심을 발휘했다는 평가임 미국뿐 아니라 영국에서도 오피셜 싱글차트 '톱100'에서 통산 6주째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열풍은 케이팝과 애니메이션, 각 분야에서 세계적인 진기록을 세우고 있음 미국뿐 아니라 다른 나랑에서는 다 기분좋게 즐기고 있는데 유독 한국 원종이들과 공산 짱깨들만 부들부들 거리던데... 혹시 동일한 것들인가 ㅋㅋㅋ
작성자 : 난징대파티고정닉
특이점이 온 한류... 한국을 넘어 전세계의 일상이 되다
수십년 전부터 꾸준히 세계로 뻗어나간 한류 이제는 소수의 팬들만 즐기는 문화가 아니라 전세계의 일상에 스며들고 있다고 함 베트남 연예인들은 최근 한국풍 예명을 쓰는 것이 유행임 수빈이라는 사람은 베트남의 임영웅급 가수고 장미나 화민지도 잘나가는 연예인들인데 공통점은 전부 한국식 예명을 쓰고 있다는 것 우리나라 연예인들이 서구식 예명을 쓰던 것과 같은 이치임 버튜버 등 음침한 문화를 향유하는 계층에서는 국적과 관계없이 일본식 예명을 많이 쓰듯이 세련되고 밝고 멋지고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배우 등 연예인들은 그러한 이미지를 가진 한국적인 이름을 택하는 것 이렇듯 과거의 단순한 인기 수준의 넘어 새롭게 진화하고 있는 한류덕에 한글의 인기도 치솟고 있는데 10여년 전과 비교하면 가파른 성장세를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음 특히 눈여겨 보아야 할 부분은 태국인데 태국은 동남아에서도 유독 친일 성향이 강한 국가고, 경제적으로도 일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그런데도 이제는 태국 대입시험과 제2외국어 선택에서 한국어가 일본어를 압도하고 있는데 이는 태국 내에서 차지하는 한일의 위상이 완전히 역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임 태국이나 베트남 외의 동남아국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이번 인도네시아 시위에서 한글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인니인들이 넘쳐났던 것도 그러한 현실을 보여줌 아무래도 한국에 취업하기 위해 학습하는 사람들도 많다보니 가능한 일이라고 함 물론 동남아 외에 서구국가들에서도 한국어 학습자는 가파르게 늘고 있으니 특정 지역에 국한된 현상도 아님 해외 기업들의 한글 마케팅도 늘어나는데 이 역시 한국이 가지는 세련되고 선진적인 이미지를 차용하고자 하는 이유임 한국 제품이 아니여도 무조건 한글을 박고 보고 소주 같은 것도 외국 기업들이 만들면서 한글을 박아서 한국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싶어함 라면 소주 뿐만 아니라 과자 등 간식거리도 마찬가지 이렇게 한국적임을 즐기는 것을 넘어 한국인처럼 살고자 하는 현상도 보임 몽골이 대표적인데 수도 한복판에서 한국식 포장마차를 찾을 수 있고 한식당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먹거리 편의점까지 전부 한국식 그냥 한국 그 자체를 자국에 이식중임 이런 현상은 서구에서도 통하고 있는데 과거에는 중국이나 일본, 동남아 등지에서 한국 문화를 표절하고 추구했다면 지금은 스파이스걸스 등 글로벌 팝스타들이 KPOP스타들의 도움을 받아 방송을 할 정도로 주류 문화의 한축으로 당당히 자리잡고 있는 중임 2010년대 초반만 해도 한류 얘기를 하면 전부 기획사들의 언플이라는 식의 자조적인 반응이 많았는데 이제는 진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경지에 온 듯
작성자 : 난징대파티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