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이혼하자마자 집 나가라는 남편…방 못 구해 두 달 치 월세 내고 나왔다 감돌
- 부산 해녀 익사사건 근황 ㅇㅇ
- 8월 27일 시황 우졍잉
- 국힘, 국회 일정 전면 보이콧 "일절 협조불가" 도토리
- 싱글벙글 어느 시골지역 입찰 근황의 근황 ㅇㅇ
- 싱글벙글 한국에서 선결제가 위험한 이유 ㅇㅇ
- 최교진 교육부장관 후보자, 5년간 평양, 개성 등 북한 방문 16회 유동닉愛
- 女군무원 토막 살인 양광준 항소심 형량 ㄷㄷjpg ㅇㅇ
- "미국 여행 앞두셨나요? SNS는 잠그고 사진은 지우세요" 전문가 조언 조선인의안락사
- 국회의원에 월 430만원 주택수당…인니서 대규모 항의 시위 ㅇㅇ
- 소비심리 7년 7개월 만에 최고…경기 전망은 내린 이유.jpg 빌애크먼
- "시설 벌칙 때문에 힘들다" 유서 남기고 숨진 10대 ㅇㅇ
- 현대제철 하청 노조, 정의선 회장 고소 ㅇㅇ
- 28일부터 전세대출 막힌다, 빌라 집주인들 '파산 위기' 비명 ㅇㅇ
- “불닭볶음면 먹고 입원” 150억 달라고?…삼양식품, 입장 밝혔다 조선인의안락사
싱글벙글 한반도의 거북 화석들을 알아보자
[시리즈] 싱글벙글 고생물 2 · 싱글벙글 추운 지역에 살던 초거대 양서류 · 싱글벙글 키르기스스탄의 신종 육식공룡 · 싱글벙글 악어와 상어에게 물어뜯긴 듀공 화석 · 싱글벙글 지구는 토성처럼 고리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 싱글벙글 거제도에서 검룡류 공룡 발자국 국내최초 발견 · 싱글벙글 검치호의 미라가 최초로 발견되다 · (약혐주의) 싱글벙글 3억년전 거대 노래기의 머리가 발견되다 · 싱글벙글 코뿔이 달린 신종 육식공룡 발표(feat.칼칼이과) · 싱글벙글 매머드 싸움에 코요테 등 터진다 · 싱글벙글 티라노와 공존한 익룡의 이름이 지어지다 · 싱글벙글 공룡시대 포유류의 색깔이 밝혀지다 · 싱글벙글 포유류의 친척 반룡류의 피부화석이 연구되다 · 싱글벙글 용각류 공룡의 내장 내용물이 세계최초로 발견되다 · 싱글벙글 7월에 발표된 육해공 고생물 소식 한국은 예전부터 거북 화석이 종종 나와서 연구되는 편인데, 그동안 논문은 꾸준히 읽었으나 덧붙일 말이 적어 굳이 글을 쓰지 않았다가 어느정도 분량이 모여 그동안 발견된 거북 화석들을 알아보는 글을 한번 써봄1. 백악기 한국의 거북알 화석대한민국 경상도 진주시 북서쪽에 위치한 하산동층에서 1억 1천만년 전 백악기 초기 거북의 알 화석들을 연구한 논문이 2023년 발표된 바 있음동아시아는 비교적 엄청난 화석알 기록을 남겨왔지만 공룡 이외의 분기군에서 화석 알은 드문 형편이었음. 거북이의 알도 예외는 아니며 몽골, 중국, 일본의 화석을 포함하여 동아시아에서 높은 신뢰도의 거북 알 화석 연구는 거의 없는 판국인데 이 발견은 중생대 백악기 거북의 번식 역사를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됨발굴된 거북 알의 직경은 17~21mm, 껍질 두께는 0.27~0.31mm 정도이고 발견된 갯수는 20개 이상임. 상당한 양의 아라고나이트 광물질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거북알 화석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아라고나이트 중 하나임원형 칼날로 알을 절단하고 주사현미경(SEM)과 라만 분광법으로 연구 및 분석했다고 함. 꽤나 최신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네이 화석이 발굴된 하산동층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한 중생대 지질으로, 지금은 의문명이 되었지만 인지도는 있는 부경고사우루스를 비롯한 공룡, 익룡, 원시 악어 등의 여러 고생물 화석과 발자국이 발견되는 지층임언젠가 속명이 명명되는 공룡이 또 등장하길 바람2. 백악기의 한국 거북 신종프로아도쿠스 하동엔시스(Proadocus hadongensis)약 1억 1300만년 전 백악기 전기 대한민국 하동군 일대에서 서식했던 원시 거북임역시 한반도의 대표적인 지층인 하산동층에서 발견되어 2023년에 발표되었고, 표본은 사지뼈(상완골)와 30cm 정도의 등껍질(갑각 및 흉갑) 절반으로 구성되어 있음지금은 멸종한 아도쿠스(Adocidae)류에 속하는 프로아도쿠스는 반수생 거북의 일종으로 계통학적으로는 오늘날의 잠경아목, 그중에서도 자라상과 거북들과 유사함. 확실히 구분되는 해부학적 특징으로는 아도쿠스류 특유의 등갑 배열, 규칙적인 홈이 있는 등껍질, 두꺼운 늑골 등이 있음한국에서 최초로 발견된 아도쿠스과 거북이며 지금까지 보고된 아도쿠스과 거북들 중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편인데, 따라서 프로아도쿠스는 쥐라기 후기~백악기 초기의 남중국 및 동남아시아의 아도쿠스과 거북에서 분지한 것으로 추정됨3. 1500만년 전 포항에 서식한 자라 화석자라는 거북목 범자라과(Pan-Trionychidae)에 속하는 모든 분류군의 총칭으로, 이들은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보아 백악기 전기 동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됨과거 경상북도 포항시 연일읍 대송면에서 경북대학교 고생물학연구팀이 수행한 2004년 조사한 화석발굴조사 과정에서 거북의 배갑 파편 화석이 한 점 발견된 적이 있었는데, 최근인 2025년 7월에 논문이 발표되었음발견된 지층은 약 1500만년 전으로 추정하는 신생대 마이오세 중기 지층인 학전층(Hagjeon Formation)으로, 학전층에서 산출된 다른 화석으로는 불가사리류, 복족류, 이매패류, 그리고 미화석에 해당하는 규조류와 와편모조류 등이 있음해당 화석은 현재 KNUH-001란 표본번호를 부여받음표본 KNUH-001은 항판 일부와 왼쪽 1–2번 측갑판(costal)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서로 연결된 상태이고, 비록 단편적인 화석이지만 표면에 홈 형태의 구조들이 나타난다는 점과 배갑에 측판(peripheral)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은 이 표본이 흔히 자라라고 부르는 자라속(Pelodiscus)에 속한다는 것을 시사함현생 자라속 생물의 형태과 표본 가장자리의 형태를 고려해 전체적인 외형을 추정해보면 최대 너비 약 17cm, 최대 길이 약 19cm의 배갑을 가진 개체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골화(ossification) 정도를 고려해보아 본 개체는 성체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함흥미로운 점은 표본의 발굴 위치로, 현생 자라는 주로 호수, 하천, 연못 등 담수 환경에서 서식하며 화석종들 또한 비슷한 생태를 가졌을 것으로 추측하는데 KNUH-001은 해성퇴적층인 학전층에서 산출되었기에 이는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함첫 번째로 담수 환경에 서식하던 개체가 죽은 후 해양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지성 화석)과, 두 번째로 해양까지 이동한 개체가 죽은 후 그 위치에 그대로 보존된 화석일 가능성(자생성 화석)임우선 KNUH-001의 보존 상태를 살펴보면 갑표면의 장식구조가 뚜렷이 관찰될 만큼 마모와 풍화의 정도가 약해 오랫동안 먼 거리를 이동한 화석에서 흔히 관찰되는 특징은 보이지 않아 이지성 화석일 가능성은 떨어져 보임 그러나 동시에 해양성 거북들은 담수성 거북들에 비해 현저히 큰 체격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나아가 해양으로 유영하는 현생 자라의 사례를 보면 대부분 수심 40m 이하의 얕은 연안에서 활동하는데, 정작 KNUH-001은 배갑 추정치가 20cm 이하로 자라 중에서도 소형에 해당하는 데다가 학전층은 수심이 깊은 지층이기에 이 또한 가능성이 낮아보임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해석을 절충해서 비교적 짧은 거리 및 시간을 이동한 후 매몰된 단거리 이지성(short-distance allochthonous) 화석일것으로 판단했는데, 즉 KNUH-001에 해당하는 개체는 해안과 인접한 기수 환경에서 서식하다 죽고 폭우 등으로 빠르게 바다로 옮겨졌을 것으로 추정한다는 의미임이번에 발견된 펠로디스쿠스(Pelodiscus cf. P. gracilia)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자라 화석으로, 원래 추측했던 것보다 더 이른 시기부터 이 속이 동아시아에 서식했다는 것을 시사함과 동시에 여러 궁금증을 안겨주는 친구임한국의 쿠파들아, 진화 과정이 흥미롭고 궁금하다!논문 링크: https://doi.org/10.1080/02724634.2023.2183866https://doi.org/10.1016/j.cretres.2023.105665https://doi.org/10.14770/jgsk.2025.017
작성자 : ㅅㅇ,고정닉
한,중,일,대 상반기 출산율, 혼인, 이혼 추이 비교(수정)
한국 출처 : 통계청 1월달에는 23,947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11.6%증가 (21,461명) 2월달에는 20,035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2%증가 (19,413명) 3월달에는 21,041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6.8%증가 (19,694명) 4월달에는 20,717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8.7% 증가 (19,059명) 5월달에는 20,309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8% 증가 (19,567명) 전체적으로 1~5월달 합산 106,048명으로 작년 대비 6.9% 증가 (99, 194명), 합계 출산율로는 0.80명 (1~5월달 치) 참고 이미지 출처 : @birthgauge 6월달 통계는 8월 말에 나올것으로 예상(아직 공식통계 없음) 혼인 건수와 이혼 건수는 각각 1~5월 합계 추산으로 혼인 건수는 99,386명으로 작년 대비 6.7% 증가 (93,108명) 이혼 건수는 36,191명으로 작년 대비 -5.7% 감소 (38,366명) ——— 일본 출처 : 일본 e-Stat 정부 통계 포털 https://dashboard.e-stat.go.jp/graph?screenCode=00020 1월달에는 51,816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5.14%감소 (54,624명) 2월달에는 48,256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7%감소 (51,887명) 3월달에는 50,767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25%감소 (52,470명) 전체적으로 1~3월달 합산 150,839명으로 작년 대비 -5.12% 감소 (158,978명), 합계 출산율은 1.09명 (1~3월달 치) 참고 이미지 출처 : @birthgauge 주의할점으로 위의 이미지를 보면 한국의 표 부분과는 다르게 일부 오류가 있는데 가장먼저 일본의 공식적인 25년 인구통계표는 아직까지 1~3월 달까지라는 점(인구통계 속보 제외) 혼인 건수와 이혼 건수는 각각 1~3월 합계 추산으로 혼인 건수는 66,643명으로 작년 대비 -5.5% 감소 (70,525명) 이혼 건수는 30,178명으로 작년 대비 -3.9% 감소 (31,414명) ——— 대만 출처 : 대만 내정부 호정사 인구 통계 자료 https://www.ris.gov.tw/app/portal/346 1월달에는 9,495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13.86% 감소 (11,023명) 2월달에는 10,407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7.7% 증가 (9,663명) 3월달에는 9,388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13.29% 감소 (10,827명) 4월달에는 8,684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19.26% 감소 (10,756명) 5월달에는 8,433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24.49% 감소 (11,168명) 6월달에는 8,963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14.15% 감소 (10,440명) 7월달에는 8,939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14.25% 감소 (10,424명) 전체적으로 1~7월달 합산 64,310명으로 작년 대비 -13.45% 감소 (74,301명), 합계 출산율로는 0.74~0.76명 (1~7월달 치) 참고 이미지 해당 이미지 표는 1~6월달 치만 계산되있음. 혼인 건수와 이혼 건수는 각각 1~7월 합계 추산으로 혼인 건수는 68,217명으로 작년 대비 -9.37% 감소 (75,270명) 이혼 건수는 29,878명으로 작년 대비 -2.83% 감소 (30,749명) --- 중국 중국은 일반적으로 인구 통계 자료를 연초 중순쯤에 발표하기 때문에 지금으로선 25년도 출산율을 확인할 방법이 없음 또한 2025년 1월 중순에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2024년 중국의 출산율은 1.05명으로 902만 명으로 집계됨 다만 통계 마사지가 일상인 중국 특성상 출산율또한 조작했을 가능성이 제기 되는데 실제로 위스콘신-메디슨 대학의 중국 인구학자 이푸셴(Yi Fuxian)교수의 타이페이 타임즈 기고문에 따르면 ——— 중국의 의심스러운 인구 데이터 이푸센 (Yi Fuxian, 易富贤) 최근 기자회견에서 리창 중국 총리는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인구 배당 효과(demographic dividend)는 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인상적으로 들리는 수치를 제시했습니다: 중국은 14억 전체 인구 중 거의 9억 명에 달하는 노동 가능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1,500만 명 이상이 노동 인구에 합류한다는 것입니다. 이 숫자들을 믿어야 할까요? 중국의 인구 통계를 조사해보면 명백하고 빈번한 불일치가 드러납니다. 예를 들어, 중국 국가통계국은 1991년에서 2016년 사이에 4억 7,400만 명의 출생아가 있었다고 밝혔는데, 이는 중국 교육부가 1997년부터 작년까지 기록한 초등학교 1학년생 4억 7,800만 명과 거의 일치합니다. 2000년의 경우, 통계국은 1,770만 명의 출생아가 있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2006년의 초등학교 1학년생 1,750만 명과 완벽하게 들어맞습니다. 하지만 2000년 인구 조사에서는 1세 미만 아동이 1,380만 명으로 나타난 반면, 2014년에는 9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이 1,430만 명으로 집계되어 총 등록률이 104%에 달함을 시사합니다. 중국의 인구 통계가 신뢰할 수 없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중국의 지방 정부들은 인구 수치를 부풀릴 강력한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주민 수는 중앙 정부로부터 교육, 연금, 빈곤 완화와 같은 우선순위 사업에 대한 더 많은 재정 지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각 가구도 더 많은 혜택을 받기 위해 구성원 수를 더 많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정치는 출생아 수를 과장하는 또 다른 동기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한 자녀 정책에서 두 자녀 정책으로의 전환이 효과가 있었고 공직자들의 경력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2016년에 전년 대비 27% 증가한 1,885만 명의 출생아를 발표했습니다. 산둥성과 저장성에서는 그 증가율이 각각 56%와 75%로 훨씬 더 높았습니다. 통계국과 심지어 UN의 세계인구전망 보고서도 비슷한 수치를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두 자녀 정책은 2016년 1월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그로 인한 '베이비 붐'은 빨라야 그해 4분기에나 나타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2016년에 그렇게 큰 급증이 있을 수 있었을까요? 가장 간단한 설명은 그런 일이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모든 신생아에게 의무적으로 접종되는 BCG 백신의 투여량은 2016년에 거의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더욱이, 작년(2022년)의 초등학교 1학년생은 1,700만 명에 불과했는데, 이는 2006년보다 적은 수치이며, 2016년의 실제 출생아 수는 1,300만 명에 불과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상했던 급증 대신, 전국의 초등학교 1학년생 수는 전년 대비 5%, 산둥성과 저장성에서는 1% 감소했습니다. 30년 이상에 걸친 중국 관리들과 인구학자들의 부정행위는 인구 데이터를 너무나 혼탁하게 만들어, 리 총리 같은 최고위 관리들조차도 실제 수치를 아무도 모르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 이렇다고 함 또한 뉴욕 타임즈의 한 기사에 따르면——— 중국의 낮은 출산율은 주요한 경제적 부담이 되었고, 이를 가리키는 일부 데이터 또한 사라져 버렸습니다. 2000년대 중반, 이푸센(Yi Fuxian)이라는 이름의 한 경제학자는 중국 인구 데이터의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중국의 모든 신생아는 결핵 예방접종이 의무이기 때문에 이것이 인구 성장을 측정하는 더 나은 척도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의 민간 싱크탱크인 '포워드 비즈니스 앤 인텔리전스(Forward Business and Intelligence)'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 이러한 백신은 540만 회 투여되었습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그해에 1,210만 명의 출생아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 이렇다는 말도 있음 중국은 신생아 출산시 백신 접종 필수인점 그리고 이런 실제 백신 접종수 540만회와 2020년대 중국의 공식적인 출생아 수 1200만명을 비교하면 이미 2020년대부터 0.7~0.9명대에 진입했을 가능성과 그로부터 5년이 지난 지금은 어떻게 됐을지... 아무튼간에 일단 공식적인 2024년 출산율은 1.05명대임 + 번외로 중국인들의 반응 마지막으로 재미로 보는 주요 유럽국가들과 아시아국가들 출산율 증감 추이 표 참고 : 해당자료는 출생아 수 합산 및 합계 출산율 계산에서 자잘한 오류들이 있기 때문에 추세정도만 재미로 볼 것 전반적으로 서유럽 및 동유럽 국가들의 출산율이 내려가고 있고 발칸쪽은 선방 중 아시아권은 중앙아시아 및 몽골과 베트남 제외하고 하락중인 추세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