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8/16 시티필드 직관 후기 시트론
- 내가 본 오컬트 영화 중 수작 이상 30편 후기 ㅇㅇ
- 금붕어 휠체어 제작 후기 & 반성 한손해머맨
- 상의 탈의 러닝 왜 민폐야? vs 배 내놓는 中아저씨 괜찮나? 감돌
- 싱글벙글 찐따가 흑화하면 벌어지는 일 코드치기귀찮아
- 싱글벙글 현재 세계적으로 난리난 렉서스 신형스포츠카 ㄷㄷ ㅇㅇ
- 싱글벙글 멤버 본인이 작곡 작사해서 대박난 한국 그룹들 ㅇㅇ
- 대부분의 국민들이 잘못알고있는 사실.txt 테술탄
- [OTT 이야기] 1)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Renew
- '방사능 괴담' 피해 강화도 "한 철 장사 망쳤다" ㅇㅇ
- 군침군침 설탕 안들어가는 닭도리탕 레시피.jpg 수인갤러리
- 대학교 가는 히사히토 황태자의 모습...jpg 수류탄이야
- 여천NCC 사태, 시작에 불과...석유화학 업계 '위태' 마스널
- 오사카-히메지 왕복 192km 무사복귀... ErikA
- 오늘의 이정후.webp 카디네스
락 밴드 폭망했다가 작곡가로 세계 1위 찍은 남자
스웨덴 출신의 작곡가 겸 프로듀서 맥스 마틴 현재 살아있는 대중음악계의 전설로 불리는 프로듀서이다 그는 사실 어렸을때는 작곡가 프로듀서보다는 메탈 밴드에 관심이 있었고 그래서 친구들과 함께 밴드를 만들어 활동했다 그는 보컬과 작곡 담당 하지만 2집부터 완전히 폭망하고 해산 그는 절망했지만 이후 맥스 마틴의 재능을 눈여본 사람이 있었으니 데니즈 팝이라는 스웨덴의 작곡가 프로듀서였다 데니즈 팝은 맥스 마틴을 만나 그를 프로듀서의 길로 이끌었고 이후 맥스 마틴의 재능은 그야말로 폭발 그가 프로듀싱한 대표적인 뮤지션들만 이 정도 그가 참여한 빌보드 핫 100 1위곡들 참여한 1위곡만 이 정도 맥스 마틴 한테 노래 한곡 만들어달라고 부탁할려면 1곡당 10만 달러(1억 3000만원) 따로 줘야함 맥스 마틴은 곡 만들때마다 개당 1억 넘게 받는것 (저작권료랑 상관없이 별도로 받는 돈임) 저작권료도 엄청난데 현재 그는 아무것도 안하고 숨만 쉬어도 저작권료로만 1년에 200억 이상이 들어올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물론 이건 숨만 쉴때이고 그도 꾸준히 일을 하기에 실제로는 더 버는것으로 추정 2020년 자료 기준 그의 추정 순자산은 4억 달러(5400억원) 이상 이것도 이미 5년전 오래된 자료라 현재는 훨씬 더 많을것으로 추정됨 메탈밴드때는 듣보로 폭망 엔딩이였던 사람이 현재는 21세기 최고의 작곡가 프로듀서로 꼽히는거 보면 결국 사람은 자신에게 맞는 길을 찾는게 중요한듯
작성자 : 롤갤러고정닉
광복절 연설서 한국 뺀 김정은…‘러시아 협력’ 강조
김정은한테도 패싱당하는거는 진짜 ㅋㅋㅋㅋㅋhttps://youtu.be/sk0LVEi89zQ- 김정은, ‘김일성 항일투쟁’ 흔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https://www.khan.co.kr/article/202508151800001#c2b “붉은 군대 공적” 김정은…‘김일성 항일투쟁’ 흔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국해방의 날’(광복절) 80주년 연설에서 조선의 해방에 “붉은 군대 장병들의 공적이 력력히 새겨져 있다”고 밝혔다. 1960년대 중반 이래 이어져 온 ‘해방은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투쟁의 결과’라는 북한의 역사 인식을 약화시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전날 평양...www.khan.co.kr김정은 “조선의 해방…붉은 군대 공적” 앞서 “러시아 없었다면 조선 해방 없었을 것” 전문가 “선대 업적 부정…러시아 이익 기대” 바뀐 역사관, 북한 주민이 얼마나 수용할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국해방의 날’(광복절) 80주년 연설에서 조선의 해방에 “붉은 군대 장병들의 공적이 력력히 새겨져 있다”고 밝혔다. 1960년대 중반 이래 이어져 온 ‘해방은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투쟁의 결과’라는 북한의 역사 인식을 약화시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전날 평양 개선문광장에서 열린 ‘조국해방 80돌 경축대회’ 연설에서 “조선의 해방을 위한 결전의 기록에는 세계 반파쇼 전쟁의 일선에서 영웅적으로 싸운 붉은 군대 장병들의 공적이 력력히 새겨져 있다”고 밝혔다고 15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항일혁명업적은 조선 인민이 개척한 자력독립 로정(노정)의 뚜렷한 증명”이라고도 밝혔다. 김 위원장은 “로씨아(러시아) 인민의 우수한 아들딸들의 숭고한 국제주의적 위훈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며 “오늘 조·로(북·러)친선관계는 력사에 전무한 동맹관계로 발전되고 있으며 신나치즘의 부활을 저지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혈맹의 전통을 소급 적용해 러시아의 현재 역할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5월 김 위원장은 같은 역사 인식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지난 5월9일 러시아가 제2차 세계대전 승리를 기념하는 전승절 80주년을 맞아 평양의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해 “로씨아의 전승절인 5월9일이 없었더라면 조선과 동방의 해방의 날인 8월15일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김 위원장의 러시아 대사관 방문은 처음이었고, 딸 주애가 동행했다. 해방은 소련군의 투쟁 성과라는 역사 인식은 북한의 기존 역사관과 충돌한다. 북한은 1963년부터 일제 군국주의를 물리친 것은 소련군이 아니라 김일성 주석이 이끈 조선인민혁명군이라고 주장해왔다. 당시 소련과 외교 관계가 악화하자 기존의 소련군이 일제를 패망시켰다는 역사관을 버리고 북한의 독자 노선을 강조한 것이었다. 김 위원장이 역사 인식을 바꾼 것은 러시아와 밀착을 통해 얻는 체제보장과 경제적 이익에 사활이 걸렸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두진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유라시아센터장은 “청진과 원산에 소련군이 투입돼 한반도를 해방시켰다는 러시아의 역사관을 북한이 소환해 동조한 것”이라며 “선대의 업적을 부정하면서까지 러시아로부터 얻는 이익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날 연설은 북한 매체가 지난 13일 김 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처음 공개한 데 이은 것이다. 15일(현지시간) 미국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미·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러시아와 공동 노선을 취하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도 나온다. 김 위원장의 역사 인식을 북한 주민이 얼마나 수용할지에 대한 의구심도 나온다. 백두산을 거점으로 한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투쟁의 승리가 해방을 성취했다는 역사 인식은 백두혈통의 3대 세습의 정당성을 마련해주는 논거이기도 하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명분 없이 진행한 러시아 파병을 정당화하려고 ‘붉은 군대의 공적’을 내세운 것”이라며 “선대의 업적을 부정하는 것은 김 위원장의 권력을 흔드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연설에서 미국과 남한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통상 남한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대북 제안과 대일 관계에 대한 비전을 내놓는 반면 북한은 조국해방의 날(광복절)에 러시아와 축전을 교환해왔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토붕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