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방탄소년단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방탄소년단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1박 24만원 제주도 숙소 클라스 ㅇㅇ
- [단편] 악마와의 내기 쇠마치
- 게임스컴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 2025 정리 ㅇㅇ
- lg전자 우즈백 국결 주작아님? 디씨망령
- 어제 찍혔다는 일본 운석 영상 ㄷㄷ morin
- 싱글벙글 냉동 계란후라이 제조 과정 ㅇㅇ
- 북한에 무기 밀수출한 중국인, 미국에서 징역 8년형 토붕
- 돈많은 코쟁이들 긴급방한 바지를내리며
- 훌쩍훌쩍 미국 롯데리아 1호점근황 ㅇㅇ
- 싱글벙글 500만 고기유튜버가 평가한 한국식 갈비 rtOS
- 오랜만에 보는 중국 근황 부갤러
- 120년 전통의 냉면집을 찾아간 쯔양 근황 ㅇㅇ
- 단독] "주식 잘 모른다"던 김건희, 희대의 분식 회사에 투자했다 00
-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해 설명하는 일본 방송.jpg 너구리
- 신라면 약 40년간 몰래 한국인 단련시켰다 판갤러
관세발 2차 하락이 온다 (1), (2) 8월부터 계속 부진한 경제지표들
배경음악 BGM ??? ??? ???????? ??????? ????? ??? ???? ???? | ??? ??? ????? ??????????1 Hour Working Music for more productive sessions.Michael Burry, portrayed in The Big Short, is a hedge fund manager who predicted the 2008 financial crisis ...www.youtube.com이번 달 초부터 계속 부진하게 나온 지표들...과연 이번 주 잭슨홀미팅, 다음 달 FOMC에서 연준은 어떤 결정을 내릴까요?이를 알아보기 위해 위의 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8월 초에는 ISM제조업ㆍ서비스업 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보시면 두 지표는 모두 50pt 이하 수준으로 나와있는데 이는 올해 5월, 1년 만에 하락전환한ㅜ이후 이러한 감소세가 계속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 이는 4월 부과된 기본관세 10%의 영향인 것으로 생각됩니다.다음으로 12,14일의 CPI, PPI 발표입니다.먼저 12일 CPI 발표에서 CPI(YoY)는 예상치인 2.8~9%를 하회한 2.7%, 근원 CPI(YoY)는 전년 대비 증가하며 예상을 크게 웃돌았습니다.두 지표 중 더 중요하고 연준에서도 더 주의 깊게 보는 근원 CPI와 슈퍼코어의 상승폭이 저번 달보다 커졌지만, 시장에서는 이보다 CPI가 예상치를 하회한 것에 집중했고, 이는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을 더 키우며 증시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하지만 저는 이번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온 것은 관세가 물가에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이라기보다 관세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 및 opec의 석유증산으로 인한 유가 하락분 덕분에 그렇게 보이는 것, 즉 착시라고 생각합니다.게다가 서비스 부문 물가가 내렸음에도 품목 부문 물가가 올라가 (관세 영향) 근원 cpi가 오른 것을 보면 관세 영향이 데이터에 나타나는 데도 지금 시장이 너무 낙관적으로 금리인하를 기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골드만삭스의 조사결과처럼, 현재 관세 비용의 2/3를 기업이 부담하고, 이를 기업이 아직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시키지 않았는데도 근원 cpI가 이렇게 안 좋게 나온 상황이면, 향후 8월 7일 부과된 상호관세가 데이터에 잡히는 연말 쯤에는 물가가 큰폭으로 뛸 수 있는 상황입니다.마지막으로 15일 소매판매ㆍ소비자심리지수입니다. 데이터를 보면, 소매판매 데이터는 괜찮게 나왔지만 그중에서 수입품목물가가 상승했습니다. 이는 연준이 금리를 결정할때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PCE를 구성하기 때문에 매우 치명적입니다그리고 미시간소비자 심리지수도 예상보다 하락했는데 이는 말그대로 관세로 인한 비용상승 분을 그동안은 기업들이 부담했지만 갈수록 이를 감당하기 어렵게 되자, 기존 재고가 소진된 중소기업부터 가격을 올림으로써 비용을 소비자들에게 전가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그래서 소비자들은 앞으로 고용이 둔화되고 경기가 침체될 것 같냐는 질문에 60%가 그렇다고 답했고, 이것은 192-30년대 대공황 이후 최고 수치입니다.2부 - 향후 전망과 대응전략에서 계속- 관세발 2차 하락장이 온다 (2) 향후 전망과 대응 전략배경음악 BGM이전 편(1편) 링크지난 편에 이어서, 그렇다면 앞으로의 상황은 어떻게 될까요?저는 앞에 나온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잭슨홀 미팅때 파월이 금리인하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 증시에 찬물을 끼얹고, 9월에는 8월 7일 발효된 상호관세까지 포함한 유효관세 18%가 PPI에 먼저 드러나 FOMC때 영향을 줘 금리인하가 아닌 동결이 된 후, 10월 이후부터는 CPI, PCE까지 안 좋게 나와 오히려 금리인상 압박이 들어오며 조정이나 하락이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물론 시장의 금리인하 예상 확률은 90%를 넘어서지만(FED Watch 기준), 저는 이 시나리오대로갈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금리 결정은 시장의 기대, 예상이 아니라 연준, 그중에서도 파월의 생각대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PPI 발표 전만하더라도 시장에서 9월에는 금리인하는 물론이고 빅컷(0.5bp)까지 할 것이며,올 해 안에는 금리를 3번까지도 내릴 수 있다고 했는데 결국 이들은 틀리지 않았습니까?맞았기는 했죠. 한 대 맞기 전까지는 말이죠.무엇보다 4월 관세발 하락(나스닥 기준 -25~30%)이 있은 후 관세 90일 유예 연장만으로 가파르게 상승한 증시인데,이후 8월 7일 다시 관세가 시행되고 오히려 관세율이 10 -> 18%로 더 늘고 무엇하나 해결 되지 않은 상황에서 조정 없이 오르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이는 마치 A라는 사람이 B를 한 대 때 때리려다가봐준다며 이를 90일 유예했는데, 그후 90일 뒤A가 오히려 2대를때리려고 하자 B가 좋아하는 것과 같습니다.월가, 버핏 역시 조정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soxs를 현 6불대에서 대량매수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하락 트리거가 나오고 그 속도가 가팔라지면 vix를 15 이하에서 분할매수할 생각입니다. (현재 14.5 정도) 콘탱고(vix는 선물로 구성 되어 있는데, 그래서 당월 선물을 팔고 일반적으로 우상향하는 차월물을 사 돈이 갈려나감)로 매월 평균 -5%씩 더 갈려 나갈 예정이지만, (이번달은 -20%까지 갈 수 있음-vix central 기준, 따라서 롤오버 이후 잭슨홀 때 들어가는 것을 추천) 역사적으로 vix 15 이하일때는 몇 번 없었고, 손익비가 괜찮았기 때문입니다. (4월에 uvlx는 2만에서 16만 정도까지 갔음)2년 반 동안 주식을 하며 하락장 때 롱 분할매수 후 장기보유 밖에 하지는 않았지만(코로나, 올해 4월) 이번에는 soxs와 vix로 숏 배팅을 하려 합니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