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바람의 나라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바람의 나라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카페 와이파이를 쓰면 안 되는 이유 신갤러
- 요즘 여초에서 본격적으로 한국남자들 까이는 요소...jpg ㅇㅇ
- 트럼프, 푸틴과의 회담 결렬 예상해 밑밥 깔기 시작 "기대하지 마라" NMH-523
- 세상에 이런일이에 나온 에메랄드 눈동자 k-송아지 케갤러
- 싱글벙글 깡! 원본 하무열
- 통일교 ‘윤석열 지지’ 현금다발…전국 교구에 수천만원씩 뿌렸다 ㅇㅇ
- 역관절 소녀 逆關節小女 ㅇㅇ
- 페이커 lck 첫번째 700승 달성 ㅇㅇ
- 싱글벙글 해외 반출생주의 밈.jpg 뇨키하라배
- 인스타충이 보는 대한민국 선동....manwha 릴더맨
- (블라) 퇴직연금, 연저펀은 자산인가? 라이자의레버리
- 전자기기 유튜버 아이폰17 프로라인 소신발언...JPG ㅇㅇ
- ㅌㅅ)몇주전 엄청 이슈였던 스님 버튜버 분 근황 ㅇㅇ
- 애국 서인 작가님 근황…… ㅇㅇ
- 퍼즐게임 심플래 (SimPlaE) BIC 참가합니다! remora21
싱글벙글 전 세계에 존재하는 한민족을 알아보자..jpg
1. 한국인 (대한민국인)한반도 남반부에 터를 잡은 한민족으로대부분 민주주의, 자본주의 국가인 대한민국 태생의 시민권자를 일컫는다.한민족계 중 가장 많은 인구수인 5100만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2. 북한인 한반도 북반구에 자리잡은 한민족으로1948년 소련군 진주 후 세워진 북한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살아가는 한민족 계열이다.20세기 말부터 이어지는 지속적인 기아로 인해한민족계 중 키와 피지컬이 가장 아담하며 가장 생활수준이 낮은 한민족이기도 하다.대한민국인 다음으로 많은 2500만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3. 재일 조선인 (북한) 일본의 종북단체인 조총련(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소속되어북한인의 정체성을 가진 한민족으로, 북한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조선학교에서 북한식 주체사상을 학습한다.이들은 일본에서는 일명 조선적, 조선인이라고 불리며1950년대부터 시작된 이들의 야쿠자 활동으로 일본 사회에 큰 해악을 끼쳐중국인과 더불어 일본 우익에게 가장 많이 증오받는 집단이기도 하다.현재 조총련 산하 조선인은 약 2만명.4. 재일 한국인 (대한민국)위의 조선인들과 달리 대한민국 산하의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일명 민단)에 소속되어 한국인의 정체성을 가진 한민족으로21세기 이후로 북한계 조총련을 밀어내고 자이니치 사회에서주류가 된 이들이다.민단 산하 재일교포 수는 약 50만명이다.5. 조선족 (재중한국인)19세기 말~20세기 초 한반도 북방에서 중국 만주로 이주한조선인들의 후손들로 연변조선족자치구와 대한민국, 중국 전역에 거주한다.이들은 한국인과 북한인 다음으로 많은 200만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6. 고려인 (중앙아시아)19세기 연해주로 이주한 한국인들이 소련 시기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를 당한 후 정착한 계열로,이들은 대부분 구소련 지역인 카자흐스탄, 키르키스스탄에 거주하며인구는 약 50만명.-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까치가 조류계의 조폭이라 불리는 이유.jpg
까치 (동양까치, Oriental Magpie)참새, 비둘기 등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새 중에 하나인 까치.중국 동부, 한국, 일본 등지에 서식한다.우리나라의 정식 국조는 아니지만 거의 국조격으로 받아들여지는 새다. 친근하고 귀엽게 생겼지만 이녀석들의 실체를 알고나면 이제부터 까치가 달리 보일거다.(한 성질하는 갈매기를 내쫓아버리는 까치)조류계에는 3대 조폭 새들이 있다. 바로 갈매기, 까마귀, 까치. 하지만 단언컨대 성질머리는 까치가 제일 더럽다고 할 수 있다(!!!)(까치들의 협동 공격)까치들은 정말로 상대를 가리지 않는다. 상대가 맹금류라도 마음에 안들면 냅다 시비를 턴다. 무리지어 다니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서로 협동해서 공격하기도 한다. (독수리는 오늘도 괴롭다...)까치와 까마귀는 영역 본능이 강한 새들이다. 둘의 사이는 평소에 그닥 좋지 않지만 독수리 같은 큰 맹금류가 자기들 나와바리에 나타나면 그때만큼은 서로 협력해서 쫓아낸다. 정말 집요하게 시비를 털고 괴롭힌다...(겁대가리가 없는 까치들...)이런 싸움이 벌어지면 대부분 까치의 승리로 끝난다. 물론 독수리와 까치가 1:1로 제대로 붙는다면 독수리가 이기겠지만, 보통은 까치의 등쌀에 못이겨 독수리가 먼저 자리를 뜨곤 한다.(지금도 수많은 새들이 까치의 피해조로 살고있다...)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한다. 머리가 굉장히 좋은데 조류계의 천재들인 앵무새나 까마귀에게 밀려 머리가 좋다는 이미지가 널리 알려지지 못한 편이다.4~6월 무렵에 까치나 까마귀 둥지 근처를 지나가면 이들의 공격을 받을 수가 있다. 가끔 새들한테 공격받았다는 뉴스를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십중팔구 까치 아니면 까마귀다.참고로 까치라는 이름을 가진 새들의 상당수가 성격이 더럽다. (물까치, 때까치 등)(전문가한테도 예외는 없다! 고의로 옷 안쪽의 맨살을 찾아 부리로 물어버리는 까치)제주도에는 원래 까치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모 신문사가 1989년, 창간 20주년 기념으로 모 항공사와 함께 까치 60여마리를 방사하는 일이 있었다. 그 이후 까치는 어마어마하게 번식해 2020년 기준 제주도 내의 까치는 10만여 마리로 늘어났다. (제주도엔 원래 없었던 새라서 꽤 골칫거리로 여겨지는 듯 하다)기억력이 좋아 사람의 얼굴도 기억한다. 옛말에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는 말이 있는데, 이는 까치가 평소에 자기 나와바리에서 보지못한 놈이 갑자기 나타나니 저리 꺼지라며 위협하는 소리였을 가능성이 높다. +) 까치 설날은 왜 어저께일까?국어학자 서정범 교수의 설: 옛날에는 설 전날을 '아치설', '아찬설'(작은 설날이라는 뜻)이라 불렀는데 이것이 음이 비슷한 까치로 엉뚱하게 바뀌어 동요에 사용되었다는 설.삼국유사 설화를 바탕으로 한 설: 신라 소지왕 때 왕후가 한 스님과 모의해 왕을 시해하려 했는데 까치(혹은 까마귀), 쥐, 돼지, 용의 도움으로 왕이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 쥐, 돼지, 용은 십이지에 포함되어 공을 인정받았지만 까치는 십이지가 아니라 공을 기념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설 바로 전날을 까치의 날로 따로 정해 공을 기념했다는 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성자 : 태정태새문단새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